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어 통발어업의 자동기계화에 관한 연구 - 3 . 모릿줄과 고달이채기의 자동화 -

        정식 한국어업기술학회 1990 수산해양기술연구 Vol.26 No.2

        PP 로프의 유연도와 모릿줄이 사려지는 현상등을 기초적으로 조사한 다음, 반원형 안내판의 회전중심이 편심되도록 고달이채기 레버를 회전시켜 고달이를 자동으로 채어서 이송벨트에 정리하면서, 모릿줄이 고르게 사려지도록 줄받이의 왕복 회전장치 등을 제작하여 실험실과 통발어선에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직경 10mm의 PP 연심 모릿줄이 양승풀리에서부터 사려질 때 한 코일의 최소직경은 14cm 정도, 줄더미의 직경은 60cm 정도였다. 2. 소형 고달이채기에서 이송벨트의 상, 하 10cm이내에 분포하는 고달이의 비율은, 납이 1개 있는 모릿줄에서는 93%정도이나 납이 없는 모릿줄에서는 98%이상이었다. 3. 감속비가 3:1인 소형 고달이채기에서 레버의 회전수 N 하(1) (rpm)과 양승풀리의 회전수 N 하(p) (rpm)와의 관계는 N 하(p) =2.86N 하(1) +23.74 이며, 양승속도에 대한 고달이의 수평최대 이동속도의 비는 70%정도였다. 4. 보조양승기와 고달이채기를 연계시켜 줄받이를 상, 하로 왕복시킬 경우 모릿줄은 길이 방향으로 고루 사릴 수 있었으며, 고달이채기 레버의 회전과 줄받이의 왕복운동 주기는 고달이의 간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The rope winder in addition to the line hauler was used for recoiling of the main line to the rope pond at the stern, however, catching the loops, evenly revoiling and arrangements of the loops were done manually by two men. The automatic loop catcher under the rope winder was consisted with the rotary lever, semicircle guide plates, transfer belt and swing rope receiver for arrangements of the loops and evenly recoiling.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inor diameter of a loop and the diameter of the coiling pile in a lead core PP rope(ø 10mm) are about 14cm and 60cm while the rope is piled on the bottom. 2. Distribution ratio of the loops within upper or lower 10cm from the transfer belt is 93% with a lead sinker and 98% without sinker using by the smaller loop catcher. 3. The relationship between revolutions of the rotary lever N sub(1) (rpm) and the hauling pulley N sub(p) (rpm) by gear ratio 3:1 in the smaller loop catcher is as follows: N sub(p) =2.86 N sub(1) +23.74 and optimum ratio of horizontal speed of the loops by the rotary lever to hauling speed is about 70%. 4. The rope receiver is swung front and rear for the evenly recoiling and its period can be controlled by gear ratio or hydraulic circuit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 of the loops

      • KCI우수등재

        중학생의 창의적 성향 잠재집단 전이와 학생과 가정 관련 영향요인

        유경,조한익 한국교육학회 2024 교육학연구 Vol.62 No.6

        본 연구는 중학생의 창의적 성향 잠재집단 전이와 학생과 가정 관련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학교 1학년(1차)과 중학교 3학년(3차) 2,590명으로 남학생은 1,405명, 여학생은 1,185명이다. 중학교 1학년 창의적 성향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창의적 성향은 유능성, 독창성, 창의적 능력 과시, 비인습성의 4개 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3학년에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창의적 성향 요인들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중학교 1학년과 중학교 3학년 시기 창의적 성향 잠재집단을 살펴본 결과 모두 3개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나 창의적 성향 하집단, 창의적 성향 중집단, 창의적 성향 상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중학교 1학년의 창의적 성향 하집단은 중학교 3학년 창의적 성향 하집단(88.10%)으로, 중학교 1학년의 창의적 성향 중집단은 중학교 3학년 창의적 성향 하집단(67.8%)으로, 중학교 1학년의 창의적 성향 상집단도 중학교 3학년의 창의적 성향 하집단(62.4%)으로 전이되는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중학교 1학년 창의적 성향 잠재집단이 중학교 3학년 창의적 성향 잠재집단으로 전이되는 데 있어서 주관적 성취도, 학업만족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행복감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과 중학교 3학년 시기 창의적 성향의 잠재집단 전이를 통해서 학생들의 창의적 성향이 어떠한가를 살펴보고 이를 낮추기 위한 방안으로 학생과 가정 관련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ansfer of creative tendencies in latent group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related to students and their families. The study subjects were 2,590 middle school students, including 1,405 male students and 1,185 females from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creative tendencies showed that competence, originality, creative confidence, and unconventionality were appropriate for creative tendencie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a good fit. Creative tendencies latent group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low creative group, middle creative group, and high creative group. The low creative group showed a high probability of transferring to the low creative group (88.10%), the middle creative group showed a high probability of transferring to the low creative group (67.8%), and the high creative group showed a high probability of transferring to the low creative group (62.4%). Subjective achievement, academic satisfaction,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were essential to transferring to the creative latent group.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dentified creative latent group transfer to the lower group and examined influences of student and family-related factors.

      • KCI등재후보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류형선(Ryu, Hyung Sun),주현(Hah, Juhyun),이병임(Lee, Byung Lim)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2 창의력교육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cision-making ability(high or low)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high or low) on group creativity. The 4 experiment groups were composed of the decision-making ability(high or low)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high or low). The subjects are college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n=237). Total 47 teams were analyzed in the study. The data i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by SPSS 14.0. The results are following; The main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s significant, which is F=15.84, P<.001, but the main effect of decision-making ability and the interactive effect of decision-making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re not significant. 본 연구는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는 수도권 내의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교 재학생 237명을 대상으로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을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였다. 집단은 의사결정능력 상·하, 대인관계능력 상·하로 구분하여 4개의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그 결과 의사결정능력 상·대인관계능력 상인 집단 11팀(64명), 의사결정능력 상·대인관계능력 하인 집단 10팀(47명), 의사결정능력 하·대인관계능력 상인 집단 13팀(62명), 의사결정능력 하·대인관계능력 하인 집단 13팀(64명)으로 총 47팀(237명)의 피험집단이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대인관계능력의 효과는 검증되었으나, 의사결정능력의 효과와 두 요인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의 창의성이 높은 집단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를 제시함과 동시에 연구를 통해 추출된 요인의 효과까지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