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성찰 및 민주시민의식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하주현 ( Juhyun Hah ),이병임 ( Byunglim Lee ),류형선 ( Hyungsun Ryu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성찰과 민주시민의식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 유아교육과 학생 총 177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적률상관계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자기성찰과 민주시민의식이 다문화교육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연구결과는 첫째, 자기성찰, 시민의식, 다문화교육역량 변인 중 민주시민의식의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성찰, 민주시민의식 그리고 다문화교육역량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자기성찰, 민주시민의식은 다문화교육역량 및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으로 첫째, 질적 접근 방법을 고려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학년별 차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관련수업이나 다문화 경험들이 자기성찰과 민주시민의식, 다문화교육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추가연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self-reflection and democratic awareness on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77 early childhood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 in total.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s a research content, It was verified that self-reflection and democratic awarenes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The results showed following. First, among the variables of self-reflection, democratic awareness,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the lowest average was shown in democratic awareness. Second, self-reflection, democratic awarenes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ird, self-reflection, democratic awarenes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As a limitation and suggestion of the study, first, a follow-up study considering a qualitative approach is nee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grades of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the multicultural classes 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of prospective infant teachers are self-reflection and democratic citizens.

      • KCI등재

        창의적 인물의 특성 : 양극성

        하주현(Juhyun Hah)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07 창의력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창의적 인물의 특성 중 하나로 양극성을 제안한다. 양극성이란 사고나 정서에 있어서 두 극단의 사이를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인지적 유연성이나 정서적 유연성을 의미한다. 양극성과 관련되었거나 유사한 이론들을 정리하여보자면 복합성, 야누스적 과정, 적응적 퇴행, 삼차과정, 순환적 사고과정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이론들을 고찰하고, 그 공통점으로서 양극성을 제안하며, 동시에 문헌과 인터뷰를 통해서 얻은 창의적인 인물들의 사례를 가지고 양극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특히 10명의 한국의 창의적 인물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에서 그 중 5명은 양극성의 경향성이 있다고 답변함으로써, 양극성은 창의적 인물과 관련이 있는 특성으로 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suggests the polarity as the special quality of creative person. Polarity is defined as simultaneously operating different thinking processes or coming and going to opposites of thinking processes or emotion. It means cognitive flexibility or emotional flexibility. The theories about the polarity are ‘complexity’ of Csikszentmihalyi, ‘yanusian thinking’ of Rothenberg, ‘adaptive regression in the ego’ of Kris, ‘the third process of thinking’ of Arieti, ‘recursive thinking’ of Basadur. To prove the polarity, researcher surveyed documentary records and interviewed 10 Korean creative person. Especially 5 creative persons of 10 answered yes in the item of polarity.

      • KCI등재

        부모의 경제적 수준과 양육태도가 자녀의 창의성에 미치는 서로 다른 영향 탐색

        하주현(Hah Juhy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5 창의력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경제적 수준과 양육태도가 자녀의 창의성에 미치는 서로 다른 영향력에 관한 이유를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인 인물들 의 부모의 경제적 수준과 양육태도의 특성은 어떠하였으며,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 가? 둘째, 부모의 경제적 수준과 양육태도가 일반아동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연구방법은 문헌고찰과 질적인 분석이다. 연구결과 첫째, 창의적인 인물의 경우 대체적으로 가정형편이 어려웠으며, 부모님의 양육태도는 주로 권위적이거나 자율적인 양육방식이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그러한 가정환경과 양육태도에 대한 창의적 인물들의 태도라고 볼 수 있다. 둘째, 부모가 자녀에게 제공하는 물리적 자극과 심리적 지원의 양이나 질에 따라 아 동의 창의성에 영향을 줄 수도 있으며, 반대로 아동이 부모의 양육태도를 어떻게 지각하느냐 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결론적으로 창의적인 인물이건 일반아동이건 상관없이 부모의 경제적 수준이나 양육태도가 자녀의 창의성에 일방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보기에는 어려우며, 자녀가 부모의 경제적 수준이나 양육태도를 어떻게 지각하느냐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후속연구로는 부모의 경제적 수준과 양육태도에 대한 자기성찰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창의성을 설명하는 모형을 개발하여 연구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son of separate effects of parent’s economic status & parent’s nurturing behavior on their kid’s creativity.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what relation is the parent’s economic status & parent’s nurturing behavior to the eminent people’s creativity? Second, what relation is the parent’s economic status & parent’s nurturing behavior to the kid’s people’s creativity? The methods of the study are literature review and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reative individuals, though parent’s economic status & parent’s nurturing behavior are poor, are persistent to show their talent. Second, parent’s economic status & parent’s nurturing behavior may have a influence on kid’s creativity and maybe not. Therefore, a variable, like a self-reflection or self-interpretation, can exist between their creativity and parent’s economic status & parent’s nurturing behavior. A follow-up study is suggested that parent’s economic status & parent’s nurturing behavior have a influence on their creativity through self-reflection.

      • KCI등재후보

        우수과학영재를 위한 창의적 문제발견/문제해결 모델개발

        하주현(Juhyun Hah),김명숙(Myung Sook Kim) 한국영재교육학회 2010 영재와 영재교육 Vol.9 No.1

        본 연구는 청소년후기에 속하는 과학영재의 발달적 특성을 연구하고, 문제발견 및 문제해결에 대한 문헌들을 검토한 후 창의적 문제발견 및 문제해결 모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기의 과학영재들은 공통적으로 과학분야의 지식, 높은 인지능력과 창의적 사고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 외에도 높은 수준의 문제발견사고가 가능하며, 과제집착, 흥미, 동기, 자신감 등의 정의적 특성과 대인관계의 어려움 등의 사회적 특성을 나타낸다. 문제발견은 잘 정의된 문제상황보다는 잘 정의되지 않은 문제 상황에서 이루어지며, 문제에 대한 민감성, 문제생성, 문제의 질 평가, 문제 재구성, 문제의 정교화와 같은 복잡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은 주로 Osborn과 Parnes의 창의적 문제해결모형을 적용하여 문제발견 이후의 단계인 아이디어발견, 해결안 발견, 수용 단계를 접목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발견/문제해결 모형은 반드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생략, 반복, 또는 순환 등의 과정을 밟아가며, 영재 의 인지적 특성과 정의적 특성을 고려하고, 특정영역 지식만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활용하는 팀 협력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model of problem finding and problem solving for scientific gifted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after examining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young scientific gifted students and reviewing the literatures about problem finding and problem solving. Scientific gifted students in adolescence commonly have not only domain specific knowledge, high cognitive abilities and creative thinking, but also high level of problem finding thinking. The personalty of them is also task commitment, interest, motivation, and self-confidence. Problem finding can not be in the situation of well-defined problem but in the situation of ill-defined problem. It is composed of process of the problem sensibility, producing new problem, evaluating the quality of the problem, reformulating the problem, elaborating the problem. Problem solving is composed of process of the idea-finding, solution-finding, acceptance-finding after problem-finding according to the model of Osborn & Parnes. The process of this model is not ordinary. Any stage can be omitted, repeated, recycled in the whole process.

      • KCI등재

        발달장애인 부모의 돌봄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 자녀의 생애주기와 부모의 사회활동참여를 중심으로

        하주현(Hah, Ju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녀의 생애주기와 부모의 사회활동참여 여부가 돌봄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발달장애자녀를 둔 부모 8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에는 자녀의 생애주기, 부모의 연령대, 부모의 고민유형, 상담대상, 사회활동 참여 여부, 부모의 돌봄부담 등을 묻는 문항들이 포함되었다. 분석을 위하여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 다변량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자녀의 생애주기, 부모의 연령대에 따라 부모의 고민유형이 달라졌으며, 부모는 주로 고민상담을 배우자나 다른 장애인의 부모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사회활동 유형에 따라 받는 사회적 지지는 달랐다. 자녀의 생애주기는 부모의 돌봄부담감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부모의 사회활동참여는 유형에 따라 돌봄부담감에 다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종교활동에 참여하는 부모는 그렇지 않은 부모보다 사회적 부담감이 높았으며, 친목활동을 하는 부모는 그렇지 않은 부모보다 모든 분야의 돌봄부담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의 전환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사회적 활동을 하는 부모는 경제적 부담감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담감이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발달장애자녀의 부모가 어떤 사회활동에 참여하느냐에 따라 돌봄부담감이 다를 수 있음을 제안하며, 특히 자녀의 전환을 대비하여 직접 사회적 기업 등을 차리는 부모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발달장애인에 대한 지원체계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삼는 것에 대해서 경계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burden of care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examine whether the child s life cycle and parental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ffect the burden of caring. Method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88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questionnaire included items asking questions about the child s life cycle, parents age, parents types of concerns, counselor typ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parents burden of care. For th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ross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types of worries of parents differed according to the life cycle of their children and the age of the parents, and it was found that parents mainly consult with their spouses or parents of other disabled people. Also, the social support received by the parent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social activity. Children s life cycle did not affect parents burden of care, and parental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was found to have different effects on burden of care depending on the typ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parents who participated in religious activities had a higher social burden than parents who did not, and parents who engaged in friendship activities had a lower burden of care in all fields than parents who did not. In addition, parents who actively engage in social activities for their children s transition were found to have low all other burdens except for the economic burden.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urden of caring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y differ depending on which social activities the parents participate in. In particular, it is significant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on parents who set up social enterprises directly in preparation for their children’s transition. However, more research is needed to generalize these research results, and I am wary of using parents’ social enterprise activities as a solution to the support system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 KCI등재후보

        한국의 창의적 인물의 성격특성 및 인간관계 연구

        하주현(Hah, Juhyun),성은현(Sung, Eun-Hyun)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sonalities and human relationship of creative individuals in Korea with a qualitative method. 10 Korean creative experts are selected and interviewed through snowballing and their achiev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distinctive qualities to contribute to their creative achievement are task commitment, native talent, curiosity, vision and so on. The common creative personalities are curiosity, aestheticism, self-confidence, task commitment, independence, perfection and imaginativeness. The most difficult things in their life are difficult task, interpersonal relationship, personality and poverty. Incubation, effort, cooperation and positive thinking are helpful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Second, the creative experts are familiar with their colleagues in the same field. The emotional support from their wife or family is absolutely helpful. The teacher or the parent have effect on their thinking or in their view of life as a mentor. Specially the studies of the impact of the parent are need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한국의 창의적 인물들의 성격특성 및 인간관계 등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스노우볼 방법과 국가적 업적 및 수상경력을 고려하여, 한국의 창의적 인물 10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인물은 인문과학분야, 자연과학분야, 예술분야에 걸쳐 총 10인이다. 연구를 위하여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인터뷰를 하였으며, 내용을 녹음하고 전사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의 창의적 인물의 창의적 성취에 기여한 특성으로는 과제집착, 타고난 재능, 호기심, 목표, 긍정적 태도, 원만한 인간관계 등이 나왔으며, 창의적 인물의 성격특성 체크리스트에서 호기심, 예술적 관심, 자기확신, 과제집착, 독자성, 완벽지향성, 상상적 경향성 등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성취를 이루는 데 극복하기 가장 어려웠던 것으로 어려운 과제, 인간관계, 성격, 경제적 어려움 등이 나왔으며, 부화기, 노력, 협동, 긍정적 생각을 통하여 극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적 인물의 인간관계를 살펴보면, 같은 분야의 동료들과 친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아내의 정서적 지지가 가장 절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나 가치관에 영향을 미친 인물로는 대부분 스승이나 부모님(또는 가족) 등을 언급하였으며, 후속 연구로 창의성에 미치는 부모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KCI등재후보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류형선(Ryu, Hyung Sun),하주현(Hah, Juhyun),이병임(Lee, Byung Lim)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2 창의력교육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cision-making ability(high or low)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high or low) on group creativity. The 4 experiment groups were composed of the decision-making ability(high or low)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high or low). The subjects are college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n=237). Total 47 teams were analyzed in the study. The data i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by SPSS 14.0. The results are following; The main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s significant, which is F=15.84, P<.001, but the main effect of decision-making ability and the interactive effect of decision-making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re not significant. 본 연구는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집단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는 수도권 내의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교 재학생 237명을 대상으로 의사결정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을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였다. 집단은 의사결정능력 상·하, 대인관계능력 상·하로 구분하여 4개의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그 결과 의사결정능력 상·대인관계능력 상인 집단 11팀(64명), 의사결정능력 상·대인관계능력 하인 집단 10팀(47명), 의사결정능력 하·대인관계능력 상인 집단 13팀(62명), 의사결정능력 하·대인관계능력 하인 집단 13팀(64명)으로 총 47팀(237명)의 피험집단이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대인관계능력의 효과는 검증되었으나, 의사결정능력의 효과와 두 요인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의 창의성이 높은 집단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를 제시함과 동시에 연구를 통해 추출된 요인의 효과까지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심상활용 창의적 교수법이 음악기억에 미치는 효과

        박은희(Park, Eunhee),하주현(Hah, Juhy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5 창의력교육연구 Vol.15 No.4

        This research is to study whether creative teaching method at the music class of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combined by picture and discussion affects the music memory substantially, compared with traditional lecture method. The experiment group is formed of 100 students at a music class of liberal education at a university located at Chungnam province, Korea. The research procedure began with a preliminary test to measure music memory, esthetics factor and empathy, followed by a experiment treatment of lecture method. The experiment group 1 is a mental imagery class employing picture, the experiment group 2 is a mental imagery class employing discussion and the controlled group employed the lecture. Post-test examined memory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t a group homogeneity test before treatment, music memory varied among groups. When controlled by covariance, mental imagery teaching methods employing both music and group discussion were significantly effective than a lecture method applied by controlled group. No significant statistic difference appeared between two mental imagery employing method of picture and group discussion. Second, when a qualitative study is applied to, both two group could conduct external description of music, but the discussion-applied group conduct internal description of music a little bit better than the picture-applied group. This study contributes to a suggestion of a student-centered creative teaching method employing mental imagery as evolving from traditional lecturer-centered music class of liberal education as well as a change of student attitudes not only becoming interested in music but actively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music. 본 연구는 대학교에서 음악교양 수업을 할 때 그림이나 토의를 이용한 심상활용 창의적 교수법이 기존의 강의식 수업과 비교하여 음악기억에 미치는 효과가 다른 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충남소재 대학교에서 음악교양수업 중인 학생들로 모두 100명이다. 연구절차는 사전검사로 음악기억과 심미성, 감정이입을 측정하였으며, 실험처치는 교수법으로, 실험집단 1은 그림 활용한 심상수업이고, 실험집단 2는 토의활용 심상수업이며, 통제집단은 강의식수업이었다. 사후검사로 음악기억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처치 전 집단의 동질성 검사에서 음악기억이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공분산으로 통제하여 실시한 결과, 처치 후 그림활용 심상교수법과 토의활용 심상교수법은 모두 통제집단(강의식 수업)에 비 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림활용 심상교수법과 토의활용 심상교수법 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심상활용 교수법(그림활용, 토의활용)이 음악기억 향상에 어떤 차이가 있는 지 질적 연구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음악 외적묘사를 할 수있었으나, 음악 내적묘사의 경우 토의활용 심상수업이 그림활용 심상수업보다 더 잘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교수자 중심의 음악교양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심상을 활용한 창의적 교수법을 새롭게 제안함으로써 학습자가 음악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음악을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감상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깍두기」가 있는 전래놀이가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비장애아동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소라(So Ra),하주현(Hah Juhyun) 한국통합교육학회 2019 통합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깍두기」가 있는 전래놀이가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비장애아동의 장애수용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다니는 발달장애아동 3명과 비장애아동 33명을 대상으로 아침놀이 및 중간놀이 시간에 「깍두기」가 있는 전래놀이를 실시하였다. 발달장애아동 1명과 비장애아동 11명이 각각 한 팀으로 발달장애아동이 「깍두기」가 되어 2~3주간 10회의 전래놀이를 하였다.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관찰하여 행동측정을 하였으며, 비장애아동의 장애수용태도를 측정하고자 활동선호척도검사를 실사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장애아동 2명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부정적 상호작용은 눈에 띄게 감소하였으며, 나머지 발달장애 1명은 긍정적 상호작용 및 부정적 상호작용의 질적인 변화가 있었다. 둘째, 비장애아동의 장애수용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에게 「깍두기」역할을 부여하여, 교육현장에서 발달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실효성있는 놀이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play with 「KAKDUGI」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children s attitude of disability acceptance.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administered traditional play with 「KAKDUGI」 during the morning and middle play time with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33 non-disabled children in a special class at an elementary school in D City. A team of one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11 non-disabled children participated in ten sessions of the traditional play for two or three weeks with the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laying 「KAKDUGI」. The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observed to measure their behavior. The attitude of disability acceptance among non-disabled children was measured with the activity preference inventory and tested with a paired-sample t-tes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w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reased in positive interactions and made a visible decrease in negative ones. The other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qualitative changes to their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s.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ttitude of disability acceptance among non-disabled children.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made an attempt at effective play for bo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children in the field of education by granting the role of 「KAKDUGI」 t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TTCT 검사를 활용한 ADHD 성향아동과 일반아동의 창의성 질적 연구

        조나리(Jo, Nari),하주현(Hah, Juhy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2 창의력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조나리, 하주현(2010)의 ADHD 성향아동과 일반아동의 ‘창의적 특성비교 연구에 대한 후속연구이다. ADHD 성향아동과 일반아동의 창의적 사고검사(TTCT, 그림형)에 대한 반응을 질적으로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지역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로, TTCT 검사를 실시한 후 담임교사에게 ADHD 선별 평정척도(Conner’s 평정척도)를 의뢰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ADHD 성향아동 40명, 일반아동 45명을 선발하였다. 대상 아동의 TTCT 검사 반응을 질적 분석한 결과 ADHD성향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창의적 강점(운동, 환상영역)반응을 더 많이 보였고 특히 환상영역의 주제비교에서는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이는 ADHD 성향 아동들이 더 창조적이며 새로운 표상을 잘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TCT 검사의 3번째 활동에서 ADHD 성향아동은 일반아동보다 더 많은 독창성 보너스 점수를 획득하였다. 이는 ADHD 성향아동들이 기존의 사고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지각하고 유연한 사고를 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그동안 숨겨져 있던 ADHD 성향 아동의 강점, 즉 창의성에 주목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며, 앞으로 ADHD 아동의 강점 영역을 찾아서 부각시킬 수 있는 적절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response about the creativity thinking test of student with and without ADHD tendency. The target students were the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After the creativity thinking tests, there was a request on ADHD Corners Rating Scale to the teacher and as result, there were selected the ADHD students of 40 and the general students of 45. The test results are the followings. Following analysis of response of originality bonus point at third activity of TTCT, the children with ADHD tendency gain the more bonus point of originality than children without ADHD tendency and children with ADHD tendency have the more strong point about movement. Also there is no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ADHD tendency at fantasy field. But children with ADHD tendency have the more strong point about mystery, imagination than children without ADHD tendency. Throughout the result of study, it is not that teachers and parents consider the behavior of student with ADHD as the problem, able, object of proofreading, but they serve as a momentum to pay attention of creativity, strong point hidden. In addition, when offering a valid education which enhance the strong point of student with ADHD, they occur the change of children's behavior which we expect. Further it contributes to develop the self-concept and serve as a momentum to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