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lasminogen kringle 5 재조합 단백질에 의한 ERK1/2 활성화 및 세포골격 재배열 억제

        하정민,김현경,김명래,조영애,Ha, Jung-Min,Kim, Hyun-Kyung,Kim, Myoung-Rae,Joe, Young-Ae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7

        Plasminogen kringle 5는 plasminogen kringles 1-4로 구성된 내생의 혈관 신생 억제제인 angiostatin과 같이 내피세포의 분열을 강력하게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plasminogen kringle 5의 재조합 단백질을 효모 발현 체계에서 생산하여 내피세포의 이동에 대한 저해 효과와 이에 대한 작용기전을 조사하였다 재조합 단백질 PK5는 plasminogen의 Thr456에서 Phe546까지 이르는 cDNA 부분을 ${\alpha}-factor$ prepro-peptide의 분비 신호 서열 뒤에 도입하여 Pichia pastoris GS115에서 발현시켰다. 메탄올 유도 후 얻은 배양액을 S-spin column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단백질을 SDS-PACE하였을 때 약 10kDa의 단일 밴드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제된 PK5는 bFGF나 VEGF에 의해 유도된 인간의 제대 유래 내피 세포의 이동을 약 500nM의 $IC_{50}$ 값으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내피 세포에 PK5 500M을 처리한 결과 bFGF에 의해 유도된 ERK1/2의 인산화를 감소시켰다 또한, PK5는 bFGF에 의해 유도된 내피세포의 골격 재형성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효모 생산 PK5가 내피세포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이는 ERK1/2의 활성과 세포골격의 재배열을 억제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부분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Plasminogen kringle 5 is a potent inhibitor of endothelial tell proliferation like an endogenous angiogenesis inhibitor, angiostatin consisting of plasminogen kringles 1-4. In this study, we produced the recombinant protein of plasminogen kringle 5 (PK5) employing an Pichia expression system and examined its. effect on~endothelial cell migration and its possible inhibitory mechanism. PK5 was expressed in Pichia pastoris GS115 by fusion of the cDNA spanning from Thr456 to Phe546 to the secretion signal sequence of a-factor prepro-peptide. After methanol induction, the secreted PK5 was purified by using S-spin column. SDS-PACE analysis of the purified protein showed one major band of approximately 10kDa. In in vitro migration assays, the purified protein inhibited dose-dependently the migration of human umbilical endothelial cells (HUVECs) induced by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or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with an $IC_{50}$ of approximately 500nM. Accordingly, it inhibited bfGF-stimulate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ERK1/2) phosphorylation in HUVECs at 500nM. In addition, it also potently inhibited bFGF-induced cytoskeletal rearrangement of HUVECs.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ichia-produced PK5 effectively inhibits endothelial cell migration, in part by suppression of ERK1/2 activation and blocking cytoskeleton rearrangement.

      • KCI등재후보

        색소 융모결절종 환자에 시행한 족관절 인공관절 치환술(1예 보고)

        하정민,최선진,이창범,하정한,박형택,Ha, Jung-Min,Choi, Sun-Jin,Lee, Chang-Bum,Ha, Jeong-Han,Park, Hyung-Taek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0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4 No.1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PVNS) is a rare proliferative disease affecting joint synovium, tendon sheaths, bursae. The usual treatment for PVNS is a surgical excision. If destructive joint lesions have occurred, complete resections must be performed followed by arthrodesis or arthroplasty. We report a case of a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involving an ankle joint which was treated by total ankle replacement for recurrence after simple synovectomy.

      • SCOPUSKCI등재

        반도체소자의 표면보호용 PSG, PE-SIN박막의 항균열특성에 대한 연구

        하정민,신홍재,이수웅,김영욱,이정규,Ha, Jung-Min,Shin, Hong-Jae,Lee, Soo-Woong,Kim, Young-Wug,Lee, Jung-Kyu 한국재료학회 1993 한국재료학회지 Vol.3 No.2

        반도체 소자의 표면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상압 CVD 방법에 의한 PSG(Phosposilicate glass)막 및 플라즈마 CVD방법에 의한 PE-SiN(Plasma enhanced CVD S${i_2}{N_4}$)막의 항균열 특성을 알루미늄박막이 증착되어 있는 실리콘 기판위에서 조사했다. 45$0^{\circ}C$에서 30분간으 열처리를 반복하면서 균열 발생 유무 및 그 형태를 조사하여 이러한 균열의 생성을 각 막의 막응력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이들 박막에서의 균열 발생은 하부 조직인 알루미튬배선과의 열팽창계수차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PSG막 두께가 증가할수록 인장응력이 증가하여 항균열성이 저하되었다. PSG막의 P농도가 증가할수록 막응력은 압축응력쪽으로 이동하였고 균열 발생은 억제되었다. PE-SiN 막도 높은 압축응력을 갖게 함으로써 항균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반복 열처리시 균열 발생여부에 대한 실험식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crack resistance of PSG(Phosphosilicate Glass) and PE-SiN(Plasma Enhanced CVD S${i_2}{N_4}$)films deposited on aluminium thin films on Si substrate was analyzed in this study. PSG was deposited by AP-CVD and PE- SiN by PE-CVD. All the films underwent repeated heat cycles at 45$0^{\circ}C$for 30 min. Crack formation and development were examined between each heat cycle. The crack behavior was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tresses in the films. The stress induced by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behavior between the passivation layers and underlying aluminum film may cause the crack. Crack resistance decreases as the thickness of PSG films increases due to the high tensile stress of the films. Phosphorus in the PSG films releases tensile stress and consequently the stress of the films tends to show compressive stress. As a result, crack resistance increased as the concentratin of P in the PSG films increased. Crack resistance in the PE-SiN films also increased with compressive stress. An experimental model to predict crack generation in the PSG and PE-SiN films during heat cycle was suggested.

      • KCI등재

        中國 法界像에 관한 硏究

        河定旼(Ha Jung-min) 한국미술사학회 2003 美術史學硏究 Vol.- No.237·238

        In China, there remains a group of Buddha images that have Mount Sumeru Buddhas, bodhisattvas, the six gatis and other small motifs depicted on their bodies or robes. In this article, this type of images is referred to as fajie xiang (法界像, Buddha of Dharmadh?tu). This term indicates the image of Buddha that contains various elements of the world or cosmos in his divine body or robe, and the ‘fajie' in this term indicates the entire world or cosmos. In previous scholarship, the iconography of fajie xiang was regarded to be either Vairocana Buddha as described in the Avatamsaka S?ira, or a cosmic manifestation of S?kyamuni Buddha.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iconography of fajie xiang cannot be determined as one of the two interpretations, and that fajie xiang was first made to represent ??kyamuni Buddha and the iconography was later exploited for the images of Vairocana. ??kyamuni was a historic figure who lived and preached dharma as a human being. After his death, the followers of Buddhism wished to have other Buddhas, which resulted in the belief that numerous Buddhas existed in different places. At the same time, Buddhists sought after a universal Buddha who could encompass the numerous Buddhas of distinctive and limited qualities. In an attempt to solve this problem, there appeared a concept of ??kyamuni as a transcendental being. However, as it was difficult to completely discard the human aspect of ??kyamuni, the notion of transcendental Buddha was complemented by that of Lushena Buddha (盧舍那佛, Buddha Vairocana). which was related to the worship of sun and light. The concept of Lushena did not appear suddenly but was a result of gradual systematization of various ideas about ??kyamuni as a cosmic Buddha rose during the development of Mahayana Buddhism. For the notion of transcendental ??kyamuni developed into that of Lushena, it seem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iconography of fajie xiang. which was first made for the universal ??kyamuni, also developed into that of Lushena. The notion of a god bearing the entire world in his body originated from the epic poem Mah?bh?rata dated to about the second century B.C. ??kyamuni attained this quality already in the early stage of Buddhism. The image of ??kyamuni as shown in fajie xiang is affirmed by the texts such as Lotus Sutra (法華經). Da fangbian fo baoen jing(大方便佛報恩經), Guan fo sanmei hai jing(觀佛三昧海經), Dasheng ben sheng xindi guan jing(大乘本生心地觀經).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 between Lushena and fajie xiang is found in Avatamsaka S?tra(華嚴經). There remains no Indian examples of fajie xiang, and it is plausible that the iconography was formulated in Central Asia or China. When considering the extant images, the making of fajie xiang is dated back to the sixth century. Some painted images are found in the murals of the cave shrines of Kizil and Dunhuang. In these sites, the images of fajie xiang appear as part of larger iconographic programs that aimed to glorify ??kyamuni Buddha, and these examples thus can be regarded as ??kyamuni Buddha. Additionally, there is a sculpted image of fajie xiang that represents ??kyamuni, for the life of ??kyamuni and j?taka are illustrated on the surface of the Buddha's robe. It is in China proper that we find the images of fajie xiang as Lushena. The iconography is affirmed by the inscriptions of 'Lushena'. Although the iconography of fajie xiang was established in late sixth century, almost no images remain since then. The notion of Lushena was significant to Chinese Buddhists until the sixth century, but after the eighth century, Lushena Buddha was replaced by Piluzhena Buddha (毘盧遮那佛), who was advocated in Huayen School(華嚴宗). It seems that accordingly the fajie xiang as Lushena lost its place. However, after the tenth century the fajie xiang of Lushena reappeared. Although they do not have any inscription, they have the mudra of two hands bent outward and the lotus throne with small Buddhas images on its pe

      • KCI등재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포스포렛센스(フォスフォレッセンス)』론

        하정민(Ha, Jeoung-Mi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논총 Vol.32 No.-

        본 연구에서는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 후기 작품인『포스포렛센스(フォスフォレッセンス)』에 나타난 작품 속 심리세계를〈夢想〉〈夢〉〈現?〉과 연결하여 고찰하기로 한다. 꿈속의 대화와 현실을 반복적으로 순환하는 구성은 지금까지의 이야기와는 달리 주인공의 심층 심리세계를 파악할 수 있는 독특한 작품으로 추정된다. 첫 번째, 작품 속 심리세계를 현실계와 비현실계로 분류해봄으로써 작품의 구성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작중 인물의 대화와 독백의 문장 구조가 꿈과 몽상의 세계와 절묘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포스포렛센스’의 표제 역시 무의식 세계와 의식 세계를 혼란시키는 인간의 심리세계를 잘 표현한 소재라는 것이다. 이 가상의 꽃은 혼령을 부르는 이미지로서, 서서히 ‘죽음’을 시사한다. 나아가 ‘몽상’이 깨어있는 꿈이라는 의미는 현실의 세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무의식과 의식의 접경지점에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꿈’은 자신의 무의식 세계이며,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특별한 세계가 인간의 내부에 존재함을 설명하고 있다. 즉 현실 세계만으론 자신의 삶을 모두 표출하기 힘들다는 자신만의 독특한 심리세계가 내부에 존재함을 이 작품에서 밝히고 있다. 작품에 나타난 어둠의 이미지에 대한 상상력과 ‘죽음’을 상징하는 ‘새’의 등장은 작품의 심리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키워드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sychological realm of Osamu Dazai"s Phosphorescence, especially in the relationship with Daydream, Dream, and Actuality. Different to the other stories of the novelist, it is distinctive of this novel in that it enables to grasp the depth of the psychological realm of the hero, shown amidst the chaos caused between the dream and the reality. First of all, the psychological realm is categorized into the real and unreal world; in other words, into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so to clearly visualize the composition of Phosphorescence. Particularly, the conversation and the monologue presented in the work seem to be quite fitting to the daydream and dream. Furthermore, the title of Phosphorescence well expresses human"s psychological world, which obfuscates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This blur or confusion can be seen as a virtual flower that calls on the soul and gradually, brings death. The Daydream refers to the awaken state amidst a dream, being closely related with the real world and positioning on the border between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condition. This novel illuminates that the absence of the unconscious world represented by the dream would be a challenge to reveal a human"s life in its whole. Additionally, in analyzing the psychological realm of the author, it is an important key to remember the imagination of the dark and the presence of the raven, which symbolizes death. The psychological realm is significant in identifying human"s mental world in this work. Henceforward, a profound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psychology and the psychological realm found in the literature, will shed a new light on the deep psychological realm of Dazai"s novel.

      • KCI등재

        북제(北齊) 산동성 홍정산(洪頂山)에 새겨진 불교 텍스트: 선정 수행을 위한 불교 각경(刻經)

        하정민 ( Jung Min Ha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6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7 No.-

        중국 산동성 남서부에 위치한 홍정산(洪頂山)의 절벽 면에는 북제(北齊, 550-577)대에 새겨진 20여 점의 불교 경문(經文), 불명(佛名), 각경 제기(題記)가 현존한다. 산의 절벽 면에 불교 관련 텍스트를 직접 새긴 마애 각경(摩崖刻經)은 북제대에 산동성 남서부 20여 곳의 산에서 활발히 조성된 것으로, 당시 이 지역의 불교 및 불교미술의 큰 특징 중 하나이다. 본고의 중심이 되는 홍정산 마애 각경은이들 중 한 예로서, 불교 승려 승안도일(僧安道壹)과 법홍(釋洪)의 주도하에 대략553년부터 564년에 걸쳐 조성되었다. 홍정산은 산동성의 다른 북제대 마애 각경사이트에 비해 가장 많은 수의 각경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경의 내용 면에서도 가장 풍부하다. 더욱이 홍정산 사이트는 산동성 불교 마애 각경 사이트 중 가장 먼저 조성되었고, 각경의 내용과 형식이 성립된 장소로서, 북제대 산동성 마애 각경의 성립과 발전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주목되는 사이트 중 하나이다. 본고는 홍정산에 새겨진 주요 불교 텍스트와 승려 후원자 및 제작 연대에 대해 조사하여, 홍정산 마애 각경이 승려들의 종교적인 수행을 위해 조성된 것으로 본다. 특히 『문수사리소설마하반야바라밀경(文殊師利所說摩訶般若波羅蜜經)』(이하 『문수설반야경』으로 약칭)에서 선택된 ‘반야바라밀’에 관한 98자 경문은 홍정산 사이트 내에서도 가장 이른 시기에 새겨졌고, 경문 중 유일하게 두 번 반복되어 새겨졌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 경문은 홍정산뿐 아니라 당시 여러 마애 각경 사이트에서 가장 빈번하게 새겨졌기 때문에, 북제대 산동성 남서부 지역의 마애 각경을 조직한 불교 커뮤니티에서 가장 중시된 경문이었음이 분명하다. 『문수설반야경』에서 98자의 특정 경문이 빈번하게 선택되어 새겨진 요인으로 이 경전이 여러 선법 중에서 ‘일행삼매(一行三昧)’라고 불리는 특정한 선법을 강조하고 있는 점이 지적된 바 있다. 필자도 이 경문의 각경이 그 앞에서 불교 승려 및 수행자들이 일행삼매의 선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하나의 장치로 제작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문수설반야경』의 일행삼매가 중국에서 실제로 활용된 가장 이른 예를 6세기 말, 7세기 초로 파악하여, 550-560년대에 제작된 홍정산 사이트에서 그 경문이 성행했던 이유를 설명할 수가 없었다. 본고는 이에 남악(南嶽) 혜사(慧思, 515-577)의 교학 및 수행법이 홍정산부근의 불교 커뮤니티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혜사가 일행삼매의 선법을 540년대 말에서 550년대에 그의 제자들과 함께 실제 수행에 활용하고 있었음은 그가 직접 쓴 선법에 관한 저술과 그와 그의 제자들의 전기(傳記)에서 확인된다. 이 시기는 홍정산에서 마애 각경이 제작되던 553-564년의 시기와 잘 부합한다. 더욱이 혜사는 548년에서 552년 사이에 산동성 연주에 체제하며, 지역 불교 신도들에게 활발한 설법 활동을 펼쳤다. 연주는 홍정산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므로, 이 시기에 혜사의 사상 및 수행법이 연주와 홍정산 부근의 불교 승려들에게 알려짐으로써, 홍정산 각경 제작에 대해 중요한 영감을 주었을 가능성이 클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고는 홍정산 각경과 혜사를 직접적으로 연결해 주는 구체적인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혜사가 홍정산 각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거나, 또는 홍정산의 각경 제작에 중심 역할을 담당했던 승안도일이 혜사의 제자였을지도 모른다는 식의 주장을 할 의도는 없다. 그렇지만, 홍정산 각경에 표현된 당시 그 지역 불교 커뮤니티의 교학, 사상 및 수행법, 석가모니 불멸일에 대한 셈법 등이 남악 혜사의 그것과 일치되는 점이 많음은 매우 주목된다. 불교 텍스트를 돌 위에 새기는 석경(石經)은 북제대에 산동성에서뿐만 아니라, 북제 수도 업성(업城)을 중심으로 한 주변 지역에서도 활발히 제작되었다. 그러나, 업성 주변 지역의 석경과 산동성 남서부에서 새겨진 마애 각경은 새겨진 각경의 위치, 규모, 선택된 불교 경전의 내용 등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어서, 당시 홍정산이 위치한 산동성의 불교 커뮤니티의 불교 교학과 수행법, 그리고 불교 미술의 양상이 수도 업성 주변 불교 커뮤니티의 그것과 차이가 있었음을 알려 준다. 본고는 북제대 홍정산에서 불교 마애 각경을 만들어 낸 이 특정 불교 커뮤니티에 대해 파악해 보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이다. 이 커뮤니티는 승안도일을 비롯한 불교 승려들이 중심이었고, 반야 관련 경전의 경문과 다양한 불명을 홍정산의 절벽면에 새겼으며, 『문수설반야경』에서 유래한 일행삼매를 중심 선정 수행법 중 하나로 삼았다. 홍정산의 마애 각경은 중국의 6세기에 다양한 선법을 행했던 그룹들중에서 이 독특한 커뮤니티의 존재를 밝혀 주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This paper addresses the forms and contents of the Buddhist engravings created during the Northern Qi period at Mt. Hongding, which is located in Dongping, in the southwestern part of Shandong Province. The carvings at Mt. Hongding, created during approximately 553-564 CE, are of special importance in the study of the Buddhist texts, as they are considered the terminus a quo of the history of the Shandong Buddhist rock carving sutras. This paper investigates carved sutra excerpts and colophons, discusses the main monk patrons, and explores what the connotations and teachings of the carved Buddhist texts meant to the monk patrons. As a result of my research, I suggest that many of the Buddhist texts served monastic goals. This is particularly true for the excerpts drawn from the Su - tra on the Great Perfection of Wisdom Spoken by Manjus´r- (Saptas´atika - prajna - pa - ramita - , Wenshushili suoshuo mohe bore boluomi), which centers on a certain meditation practice called “one-practice absorption (yixing sanmei).” I argue that this sutra passage functioned as an aid for meditation, and was likely one of the newly emerging Buddhist practices of the period. In fact, several scholars have mentioned that “one-practice absorption” is stressed in the su - tra, and this might explain why the su - tra was repeatedly selected for carving, not only at Mt. Hongding, but also at several other mountains in Shandong during the Northern Qi period. However, these scholars have not been able to prove that the actual utilization of this meditation practice took place in the 550s-560s. My finding is that the renowned priest, Huisi (515-577 CE), actively used the su - tra-based “one-practice absorption” technique, and that the period when this type of meditation was practiced by Huisi fits well within the 550s-560s, the period during which the carvings were created. Moreover, in the years between 548-552, Huisi was living in Yanzhou, a city in Shandong Province located near Mt. Hongding. In addition, Seng’an Daoyi records the production dates using the Buddhist calendar that begins with the date of the Buddha’s demise, and it was Huisi’s dating of the Buddha’s demise that Seng’an Daoyi follows. Nonetheless, this paper neither claims that Huisi was responsible for the creation of the Mt. Hongding inscription, nor argues that Seng’ an Daoyi or the creators of the Buddhist carvings there might have been the disciples of Huisi. However, the fact that the Buddhist community’s practice and thoughts overlapped with Huisi’s Buddhist ideas and teachings in a significant manner demonstrates that Huisi’s teachings and practices were most likely widespread during that period, even in Shandong. Thus, some Buddhists were likely inspired by Huisi, adopted his ideas and practices, and further developed them in their own way, as is seen at Mt. Hongding.

      • KCI등재후보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전기문학(前期文学)과 ‘꽃’의 상징에 대한 연구

        河廷旼(Ha, Jeoung-Min) 대한일어일문학회 2016 일어일문학 Vol.69 No.-

        This study examines the early Literature of Dazai Osamu, especially in the relationship with imagination of flower. First of all, this paper discusses the symbolization of “Memory” and “Love” through this literature. Typically, rose and chrysanthemum of 「Omoide」is indicated as the recollect of Tsugaru as well as place of love. Second, this is an expression of “anxiety”and “suffering”in「He is not the same person as in before」 Third, autochthon is defined as the beauty of nature in pure fiction. The western garden is symbolized as the artificial beauty in the fiction. The character’s emotion is described through diverse flowers. Lastly, the expression of Dazai literature’s birth and death in the novel called「leaf」is described via flowers and leaves. Each of flowers can be used as an expression of describing the human’s life as well as expresses the strong will and hop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