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학대실태 및 관련요인 : 대구광역시 일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Based on a Primary School in Daegu

        하은경,박천만 대한보건협회 2002 대한보건연구 Vol.28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prevent child abuse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child abuse and an elucidation of its related affecting variables. Using a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655 students, who were the second, fourth, and sixth graders attending at one primary school in Daegu city, and their parents from June 17 to July 19, 2002.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On the recognition of abuse, both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had a high recognition level in a severe physical abuse and a sexual abuse, whereas they had a low recognition level in a slight physical abuse, an emotional abuse, and a neglect. The parents had a higher recognition level than the children in a physical abuse. However, the children had a higher recognition level than the parents in an emotional abuse, a sexual abuse, and a neglect. On the frequency of abuse, male students were more experienced than female students (p<0.001), and low graders were more experienced than high graders (p<0.05), younger mother (p<0.01), parents having a high stress (p<0.01), parents having a nuclear family (p<0.05), parents having a low recognition on abuse (p<0.05), parents having a low conjugal affection (<0.05), parents having a bad foresting attitude (p<0.001), parents having more experience of abuse in childhood (p<0.001), and parents having a more experience of worrying about child's matters (p<0.001) had a high frequency of child abuse. A physical abuse ha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an emotional abuse (r=0.604), but had a low positive correlation with a neglect (r=0.285). And there was a moderat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 neglect and an emotional abuse (r=0.515).

      • KCI등재후보

        디지털미디어에 의한 공간체험의 구조에 관한 연구

        하은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7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디지털미디어가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감각적이며 감성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유발하는 매개체로서 공간에 적용되면서 공간계획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험’이 핵심적인 문제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은 단순히 물리적 구축물을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어떠한 내용을 체험할 것인가를 계획하는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는 체험의 일반적 구조와 미디어공간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디지털 미디어에 의한 공간체험의 구조를 밝히고자 하였다. 미디어공간에서의 체험을 신체, 매체, 상황중심으로 유형화하고 각각의 체험을 감각, 인지, 행동의 구조로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신체중심의 체험은 촉각적, 사고적, 행위적 체험으로, 매체중심의 체험은 가상 감각적, 원격현전적, 조작적 체험으로, 상황중심의 체험은 감응적, 관계적, 창발적 체험으로 구조화하였다.본 연구는 미디어공간의 체험구조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공간계획에 있어서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고 소통할 수 있는 체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가진다. (Background and Purpose) Digital media induce users' participation as well as sensible and sensory communication. As it is applied in spatial elements, user ‘experience’ has been raised as the core problem of spatial planning. Therefore, spatial design is not only related to constructing physical buildings, but also relevant to the planning of the users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the spatial experience of digital media. (Method) Experience in media space was categorized as body, medium, or context, and each experience was analyzed into sensory, recognition, and behavioral structures. (Result) As a result, experiences focused on body resulted in tactual, thought -oriented, and action-based experiences, experiences based on medium resulted in virtually sensible, telepresenting, and operational experiences, and experiences based on context were structured into inductive, relational, and creative experiences. This study suggests the experiential structure of media space and emphasizes planning future spatial areas with the application of digital medi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디지털 미디어에 의한 예술의 확장성에 관한 연구

        하은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7 No.2

        오늘날의 예술은 디지털 미디어와 결합함으로써 표현매체, 소통의 방오늘날의 예술은 디지털 미디어와 결합함으로써 표현매체, 소통의 방식, 창작의 주체 등 많은 부분이 변화하고 있다. 특히 예술의 탈장르화와 수용자의 패러다임의 변화가 두드러지는데, 전통적인 예술의 틀을 벗어나 시·공간이 확대되고 관객의 참여로 완성되는 개방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예술의 변화를 대변할 수 있는 키워드로 ‘확장성’을 상정하고, 디지털 미디어의 도입으로 인해 예술영역 전반에 나타나는 다양한 변화를 흐름을 파악하여 현대 예술과 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디지털 예술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확장성으로 지각의 확장성, 시간의 확장성, 공간의 확장성, 소통의 확장성이라는 네 가지 요소를 제시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오늘날의 디지털 예술은 작가가 완성해 놓은 작품을 관객이 ‘감상’하는 개념에서 벗어나 미완의 작품을 관객이 ‘경험’하는 과정을 통해 완성해 나가는 열린 구조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Many parts of art such as expression media, communication method and creation subject have changed significantly these days by combining with digital media. Especially, trans-genre of art and change of receiver's paradigm are outstanding. Art escapes from the frame of traditional art and time and space are expanded so art shows opening type that is completed with audience's particip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art and design by selecting 'expandibility' as a key word to represent the change of art and grasping the flows of various changes in entire art field, which are caused by introduction of digital media. The study suggested 4 factors such as perception expandibility, time expandibility, space expandibility and communication expandibility for representative expandibility shown in digital art and verified its validity through case study. Today, digital art should escape from the concept that audience 'appreciates' the work completed by artist. It should have an open structure where uncompleted work is completed through audience's experience.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를 적용한 감성적 체험 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하은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2 No.2

        본 과제 연구는 소매업 유통환경에 있어 기존의 상품판매촉진 정책으로서의 VMD전략 전개에 수용되었던 요소와는 달리 도시공간과 건축물 내부 공간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로써 문헌적 조사와 사례조사를 통해 최근의 복합 상업시설의 개발 방향인 시각적 인지도가 높은 도심형 복합 상업시설內 상업 환경의 효과적인 VMD전개요소 구축 및 적용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이에 본 연구는 5개장으로 구성되며, 그 범위 및 진행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은 서론으로써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과 연구의 범위 및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제 2장은 공간의 체험적 확장성과 복합 상업시설에 관한 이론적 고찰로써 공간의 체험적 확장성에 대한 개념 등 인식과 복합 상업시설에 대한 개념 및 특성 등을 고찰해 본다. 제 3장은 리테일테인먼트를 고려한 공간구성 및사례를 고찰한다. 제 4장은 복합 상업시설의 공간구성을 위한 VMD요소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한 다. 제 5장은 앞에서 고찰한 결과를 종합 정리하여 결론을 맺는다. With digital technology, space design is developing in a new direction with the changing paradigm. The space creates an interactive environment by motivating the user’s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the digital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esign characteristics in the emotional experience space using digital media.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about the space form, digital media setting, user interactivity of the examples of experience space using digital media. As a result, the emotional experience space is characterized as dematerializing, virtuality and interactivity. Digital media will allow mor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users in space design and it will be meaningful to attempt interactive method through user direct participation and approach humanization of space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