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이크로파 용융삽입법을 이용한 생분해성 나노복합체의 제조

        하원조,신준식,송승욱,김준호,손세모,박성수 한국환경과학회 2004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microwave energy for the fabrication of polymer/clay nanocomposite. APES/Clay nanocomposites were prepared at 130℃ for 30min with various content of clay by melt-intercalation method under classical and microwave heating source. APES/Clay samples were characterized by the means of X-ray diffractometry(XRD), thermal gravimetric analysis(TGA), and rheometric dynamic analysis(RDA). It was found that intercalated or exfoliated state was obtained in the sample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organic modification, clay content, and heating source.

      • KCI등재

        주시방향에 따른 동적 조절반응량의 변화

        김재은,박예현,하원,박인지,박형민,추병선 대한시과학회 2020 대한시과학회지 Vol.22 No.2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조절자극량을 달리하여 주시방향과 주시각도변화에 따른 조절반응량을 측정하고자 한다. 방법 : 안과적 수술이나 질환이 없고 양안의 시력이 정시이며, 시기능의 차이가 나지 않는 성인 남녀 13명(22.40±0.41세)을 대상으로 정면, 측방 10°, 측방 20°, 하방 10°, 하방 20°에 시표를 위치시켜 3 m, 1 m, 40 cm의 거리별로 개방형 자동안굴절검사기를 이용해 조절반응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 모든 주시방향에서 주시거리가 짧아질수록 조절반응량은 증가하였다. 3 m를 제외한 1 m, 40 cm 에서는 하방 20° 주시 시 각각 1.09±0.10, 2.04±0.11 D로 조절반응량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1 m 거리에서는 측면 20° 주시 시 0.44±0.05 D, 40 cm 거리에서는 측면 10° 주시 시 1.54±0.06 D로 가장 낮은 조절반응량을 나타내어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0). 또한, 측방 시 10°, 20°를 제외한 모든 주시방향에서는 서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0), 주시방향과 조절반응량은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0).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로 동일한 조절자극량에 대해서도 주시방향과 주시각도에 따라 조절반응량 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근거리 업무 시 주시물체의 위치를 눈높이 정면보다 하방으로 두면 더 선명 상을 얻을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근거리 업무에 따른 안정피로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ccommodative response when looking at different direction such as downgaze and sidegaze either right or left.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13 adult males and females(22.40±0.41 years old) no subject had ophthalmic surgery or disease and placed the targets at the primary, 10° and 20° sidegaze, 10° and 20° downgaze, The accommodative responses was measured by a open-field autorefractometer under the distances of 3 m, 1 m and 40 cm that enable consecutive measurement. Results : In all gaze directions as distance became shorter the accommodative response increased. At each viewing distance 1m and 40 cm, the accommodative responses showed the peaks 1.09±0.10 D in 10° and 2.04±0.11 D in 20° downgaze. respectively, while the lowest accommodative responses were 0.44±0.05 D and 1.54±0.06 D in 20° and 10° sidegaze, which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p<0.05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viewing direction except for in 10° and 20° sidegaze(p<0.050). The gaze direction and the accommodative respons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0).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accommodative responses vary with the gaze direction and gaze angle for the same modulating stimulus.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20° downgaze makes the object sharper and minimizes the eye fatig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