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Impact of Visual Functions on Driving Safety

        추병선 대한시과학회 2010 대한시과학회지 Vol.12 No.4

        The role of vision in driving has traditionally been emphasized, as the most important route of sensory input for driving is from vision. Accordingly, the relationship between vehicle crashes and visual function has been extensively researched in different ways. However there is considerable debate as to whether reduced visual function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creased vehicle accidents although visual function is one of the requirements adapted by traffic authorities for licensing.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controversial issue and findings from previous research in association with driving performance and different types of visual functions.

      • KCI등재

        도로명판 및 교통표지판 인지에 미치는 시기능의 영향

        추병선 대한교통학회 2011 대한교통학회지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gibility distance for traffic road sign and traffic sign, fixation duration and number of fixation during the time of recognition of traffic road signs under different vision condition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on a closed-road circuit which has realistic driving road and environment Each participant drove the real vehicle for the experiment and specially built traffic road sign for the experiment and traffic road signs on the side of closed-road circuit were used. Different vision conditions were simulated using spectacle lenses to reach visual acuity 1.0 and 0.8 and it was 1.2 without spectacles and each participant tested under 3 vision condi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legibility distance between visual acuity of 1.2 and 0.8 an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 on fixation duration and number of fixations with smaller traffic sign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vision correction for driving at night-time, also showed there would be difference on legibility distance and efficiency of eye movement such as fixation duration and number of fixation despite of satisfied visual acuity for driver’s license requirement.

      • KCI등재

        Presbyopic Spectacle and Monovisionfor Reading Performance Before Adaptation

        추병선,황정희 한국안광학회 2010 한국안광학회지 Vol.15 No.3

        Purpose: Eye movements and fixation ability are an important procedure to obtain external information and essential means of clear vi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ading performance such as reading time and number of fixations when random text was viewed at varying distances. Methods: Twenty two presbyopes were participated. All subjects were screened for their suitability to participate in the study by clinical examination, and none of the participants had previously worn contact lenses and no previous experience of wearing any types of presbyopic vision correction except single vision. The reading time and number of fixations were recorded using eye tracker while each subjects was waring four vision corrections which included single vision for distance (SV), bifocal spectacle lenses (BIF), progressive addition lenses (PAL), and monovision (MV). The reading material was presented at distance and near distance. Results: Reading time and number of fixations for near stimulu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vision correction used in this study (p<0.001). In particular, wearing SV required longer reading time and produced longer fixation duration for near text. However, reading distance text was similarity performed across vision corrections tested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found for either reading time and number of fixations. Conclusions: Wearing presbyopic vision correction is advantageous for reading task of near stimuli, but not having near correction such as wearing SV could result in longer reading time and higher number of fixation due to lacks of accommodative ability for near task. For the future studies, it would be interesting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reading both at adapted and unadapted stages as examining only unadapted wearers was limitation of this study.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근거리 사물 인식과 태블릿PC 사용의 실효성 평가

        추병선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3 시각장애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인이 기존의 광학 확대경을 사용하여 근거리 사물을 확대하여 보는 것에 비해서, 태블릿 PC의 확대기능을 사용 시, 태블릿 PC 사용의 실효성을 평가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18명의 참여자(남자; 9명, 여자; 9명, 나이 범위; 42~71세, 평균나이; 63.2±12.3세)에게 영수증 내에 있는 여러 가지 정보와 사진의 정보를 파악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광학 확대경을 사용하였을 때와 태블릿 PC를 사용하였을 때의 사용 편안함, 사용의 용이성, 상의 선명함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참여자들이 기존의 광학 확대경을 사용할 때, 태블릿 PC를 사용할 때 비해서 영수증 내에 있는 정보를 파악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유의한 수준으로 짧았다(p<0.01). 사진의 정보 파악 과제에서는 기존의 광학 확대경을 통해서 볼 때, 태블릿 PC에 비해 선명도가 유의한 수준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2).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전체적으로 태블릿 PC가 기존의 광학 확대경에 비해 사물을 볼 때 더 편리하거나 선명함을 제공하지는 않았다. 역으로 태블릿 PC가 기존의 광학 확대경에 비해 떨어지는 수준은 아니었다. 따라서 태블릿 PC 사용에 대한 적절한 훈련이 이루어진다면, 저시력자들에게 잠재적으로 유용한 기기가 될 것이며, 또한 추가적으로 스탠드와 같은 액세서리가 있다면 상을 안정적으로 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Tablet PC for visual impairment by utilizing the magnification functions on the Tablet PC compared to conventional optical magnifier when looking at near object. In this study, 18 participants (9 males and 9 females, 42 through to 71 years of age, with a mean age of 63.2±12.3 years.) were asked to perform timed tasks of viewing bills and photographs to find the certain information. They were then asked to compare between their optical aid and the Tablet PC in terms of comfort, ease of use and clarity when viewing bills and photographs. As a result, participants spent significantly less time completing the tasks when using their own optical magnifiers compared to the Tablet PC (p<0.01). In the photograph viewing task, optical aids were perceived to be significantly clearer than the Tablet PC (p=0.02). To summarize the result, the Tablet PC were not shown to be significantly more comfortable or offer more visual clarity when compared to traditional optical magnifying systems. Conversely, we also could not show that the Tablet PC is any worse than traditional optical magnifying systems. Due to the likely benefits of training on the outcome, the Tablet PC may have great potential as a low vision aid, but it may also need additional accessory such as stand for better image stabilization.

      • KCI등재

        도수 수경 착용시 실내와 수중에서의 시각적 만족도 및 시력 평가

        추병선 한국안광학회 2013 한국안광학회지 Vol.18 No.4

        Purpose: To investigate the visual function with prescription swimming goggles. Methods: 15 university students (mean age: 22±1.54 years) participated, with a mean distance refractive error of RE: S-1.67 D/C-0.40 D, LE: S-1.70D/C-0.37 D. Inclusion criteria were no ocular pathology, able to wear soft contact lenses to correct their refractive error to emmetropia and able to swim. Participants were fitted with contact lenses to correct all ametropia. Subjective evaluation for satisfaction of visual acuity, asthenopia and balance were also measured using a questionnaire while wearing swimming goggles with cylinder (C+1.50 D, Ax 90o) compared with plano sphere outside the swimming pool area. Visual acuity was assessed using the same ETDRS chart. The prescription swimming goggles powers were assessed in random order and ranged in power from S+3.00 D to S−3.00 D in 0.50 D steps. Results: Subjective evaluation was significantly worse for the swimming goggles with cylinder than for the plano powered goggles for all 3 questions, visual acuity, asthenopia and balance. Visual acuity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different power of the swimming goggles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air in-clinic and underwater in-swimming pool measures (p=0.173). However, visual acuity measured in the clinic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underwater for some swimming goggle powers (+3.00, +1.00,+0.50, 0, −1.00 and −2.00 D). Conclusions: Wearing swimming goggles underwater may degrade the visual acuity compared to within air but as the difference is less than 1 line of Snellen acuity, and it is unlikely to result in significant real-life effects. Having an incorrect cylinder correction was found to be detrimental resulting in lower score of satisfaction. Considering slippery floor of swimming pool area, it can be a potential risk facto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rrect any refractive error in addition to astigmatism for swimming goggle. 목적: 실내수영장에서 도수 수경 착용에 따른 주관적 만족도 평가와 실내 검사실 및 수중에서의 시력을 비교하고자 한다. 방법: 실험에 참여한 대상자는 평균나이가 22±1.54세인 15명의 대학생이었으며,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의평균 굴절이상은 각각 RE: S-1.67 D/C-0.40 D, LE: S-1.70D/C-0.37 D이었다. 모든 참여자는 기초적인 안과검사를마쳤으며, 굴절이상을 교정하기 위한 콘택트렌즈 착용이 가능하고 수영이 가능한 자로 한정하였다. 모든 피실험자의 굴절이상은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정시상태로 교정을 하였다. 난시가 인위적으로 유발된 원주도수 수경(C+1.50D, Ax 90o)을 착용하였을 때와 도수가 없는 수경을 착용하였을 때 시력, 안정피로, 그리고 수영장 주위를 걸을 때의 균형감각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 평가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시력 평가는 처방 S+3.00 D ~ S−3.00D까지 0.50 D단위로 준비된 서로 다른 도수의 수경을 무작위의 순서로 착용한 상태에서 수영장내의 수중과 실내의검사실에서 ETDRS 시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난시가 인위적으로 유발된 상태에서는 시력, 안정피로, 균형감각에 대한 3가지 만족도가 모두 유의하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로 다른 도수의 수경을 착용하였을 때시력은 유의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실내 검사실과 수중에서 측정된 시력의 차이는 없었다(p=0.173). 일부 도수 수경(+3.00, +1.00, +0.50, 0, −1.00, −2.00 D)에서는 실내 검사실에서 측정된 시력이 수중에서측정된 시력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수중에서 수경을 착용하는 것은 시력을 저하시킬 수 있지만 저하되는 시력의 정도는 스넬렌 시력기준 1라인 이내 차이로써 실제 임상에서는 거의 영향이 없을 정도로 적은 수준이었다. 하지만 난시의 미교정은 시각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수영장의 미끄러운 환경을 고려하였을 때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수 수경의 도수의 정확성과 더불어 난시의 교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다양한 착색안경렌즈가 색각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종하,추병선 대한시과학회 2015 대한시과학회지 Vol.17 No.4

        목 적: 본 연구를 통하여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는 착색안경렌즈를 착용 시 여러 가지 색각이상 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색각이 정상인 14명의 참여자(평균연령 25±5.1 years; 평균시력 -0.07±0.07 logMAR)가 다양하게 착색되어 있는 안경렌즈를 착용하고 3가지의 색각이상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렌즈 는 회색(Gray), 갈색(Brown), 초록색(Green), 노란색(Yellow)의 4가지 색상을 가시광선 투과율을 기준으로 20%(Low Transmittance; LT)와 70%(High Transmittance; HT)의 두 가지 농도의 렌즈로 총 8종을 사용 하였다. 각 렌즈를 착용 후 한식색각검사표, D-15 배열검사, 색등검사(Fletcher CAM Lantern test)를 실시 하였다. 결 과: 한식색각검사와 Farnsworth Panel D-15 검사에서는 착색렌즈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보다 착색 렌즈를 착용했을 때의 틀린 개수가 증가하였다. 높은 투과율의 렌즈보다 낮은 투과율의 렌즈에서 틀린 개수 가 증가하였으며(p=.000), 특히나 진한 노란색 렌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색등검사에서는 진한 회색 렌즈(p=.001)와 진한 갈색 렌즈(p=.000)에서 틀린 개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 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투과율이 낮은 렌즈에서 틀린 개수가 높게 나타났다(p=.000). 결 론: 착색렌즈의 색상과 상관없이 연한 착색렌즈(70%)보다 진한 착색렌즈가 더 많은색의 혼동을 유발 하였으며, 그 결과는 세 가지 색각검사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특히, 야간 운전용이나 사격용으로 추천되는 노란색 렌즈의 경우, 두 가지 색각검사에서 색 혼동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색등검사에서 진한 농도의 회색 과 갈색의 렌즈가 색의 혼동을 일으켰다. 따라서 이런 색상이 있는 렌즈는 처방과 착용에 있어서 사용 목적 에 맞추어 주의를 기울여 처방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y changes in color perception with tinted lenses. Methods: Fourteen participants with normal colour vision (mean age 25±5.1 years; mean VA -0.07±0.07 logMAR ) were tested three color vision tests while wearing different tinted lenses. Tinted colour were gray, brown, Green, yellow and each tinted lenses were prepared with two different transmittance (70% and 20%). Color vision was evaluated with the pseudo-isochromatic plates test(Hahn’s color vision test), Arrangement test(Farnsworthe Panel D-15 test) and Lantern test(Fletcher CAM Lantern test). Results: In pseudo-isochromatic plates test and Farnsworth Panel D-15, error scores were higher with tinted lenses. Wearing dark tinted lenses than light tinted lenses made higher error score, in particular dark yellow tinted lens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rrors than other colours. In Lantern test, error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with dark gray(p=.001) and dark brown(p=.000) than other colors, and error scores with dark tinted lenses showed higher error scores(p=.000). Conclusion: Tinted lenses regardless of types of colours showed higher error scores on colour vision perception for all three colour vision tests. In particular, yellow tinted lenses which is commonly used for nighttime driving and shooting may produce colour vision confusion. Also dark gray and brown tinted lenses which are commonly used for sunglasses also produced colour perception confusion. Therefore tinted colour lenses needs to be prescribed with caution for such case.

      • KCI등재

        국내 운전면허 장내시험장에서 시력저하와 대비감도 저하가 운전에 미치는 영향

        이기용,추병선 대한시과학회 2015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5 No.10

        목적: 현대사회에 운전은 현대인들에게 꼭 필요한 활동으로 자리 매김 하였고, 고령화 사회로 인한 많은 고령 운전자가 시력저하와 대비감도 저하된 상태에서 운전을 하고 있으며, 고령연령자의 사고횟수와 이 로 인한 부상정도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기능 저하 (시 력, 대비감도 감소)가 운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운전면허시험장 환경에서 알아보고자 한 다. 방법: 시력 및 대비감도가 정상이고 운전경력이 1년 이상인 24~43세 9명을 대상으로 4가지 시기능 조 건(0.0 logMAR, 0.3 logMAR, 0.5 logMAR, 1.00 log CS 일 때 0.3 logMAR)에서 운전면허 장내 시험장 을 주행하며 전체 장내 시험장을 완주한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에 사용된 방법은 주행 시 카메라를 통 하여 촬영된 영상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탈선 횟수도 역시 차량에 부탁된 4개로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정지선에 정지한 거리는 대상자가 정지선을 인식하고 정지하였을 때 사진 촬영을 하여 그 거리를 측정하였다. 결과: 0.0 logMAR 주행 완료 시간(s)평균은 457.42±63.70, 시력 0.5 주행 완료 시간(s) 135.02±65.74, 시력 0.3 주행 완료 시간(s) 461.92±66.37, 대비감도 저하 주행 완료 시간(s) 494.06±81.57 이였다. 시력과 대비감도가 낮을 때 주행 완료 시간이 늘어나긴 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p=0.092).전체 탈선횟수도 시력과 대비감도가 낮을수록 늘어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p=0.002). 정지선에 정지한 거리도 시력과 대비감도가 낮을수록 늘어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2). 결론: 주행 완료 시간에서 0.0 logMAR를 제외한 다른 시기능 조건들에서 더 많은 시간이 걸린 이유는 시력과 대비감도가 감소하게 되면서 방어운전을 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측정한 부분에서 대비감도 감소가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0.03 logMAR 와 0.005 logMAR 둘 사이에서 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시력이 낮은 운전자 보다 대비감도가 낮거은 운전자들이 운전을 할 때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약시 종류에 따른 시력과 중심외주시와의 관계

        이기석,추병선 대한시과학회 2014 대한시과학회지 Vol.16 No.3

        목 적: 약시 종류에 따른 중심외주시와 시력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약시로 인해 치료 중이거나 치료 경험이 있는 19명(7~40세)을 약시안들을 대상으로, 전체 약시안과 약시 원인에 따른 분류 중 사시성과 굴절성의 중심외주시와 최종 교정시력을 비교하였고, 최초 시 력과 최종 시력을 비교하여 중심외주시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약시 대상자들의 중심외주시는 시력과 강한 음의 상관관계(r=-0.77, p<0.05)를 보였고, 사 시성(r=-0.72, p<0.05)과 굴절성(r=-0.70, p<0.05) 약시안 모두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최소 6 주 이 상의 약시 치료를 받은 두 그룹 모두 치료전의 최초 시력보다 최종 시력이 평균 2~3단계 시력 상승(p<0.05) 하였고, 중심외주시 또한 감소의 형태를 보였다. 하지만, 최종 시력에서 두 그룹간의 중심외주시는 차이가 보이지 않아 약시 종류가 중심외주시의 최종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그룹 중 굴절 성 약시안들만 정상 시력과 함께 정상 주시형태를 보였다. 결 론: 약시의 종류와 상관없이 중심외주시는 시력 저하에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약시 치료의 성 공률을 높이기 위해 약시안 특히, 굴절성 약시안의 단안 주시형태에 대한 측정과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Purpose: To analyse correlation between eccentric fixation(EF) and visual acuity(VA) in different type of amblyopia Methods: Nineteen amblyopes aged 7~40 years who are undergoing amblyopia treatment or have experienced on it were participated. Comparisons between EF and final VA in all amblyopes and in different type of amblyopes(strabismic and refractive) were made, and also effect of EF was analysed through comparison of initial and final VA. Results: All amblyopes showed strong negative correlation(r=-0.77, p<0.05) between EF and VA, and both strabismic(r=-0.72, p<0.05) and refractive(r=-0.70, p<0.05) amblyopes also showed strong correlation. Final VA in two groups who underwent amblyopia treatment for at least 6 weeks was improved as 2~3 lines of VA(p<0.05) than initial VA, and the degree of EF also decreased. However, different type of amblyopia did not contribute to change in final EF as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EF was not found. Only refractive amblyopes of two reached normal visual acuity and showed normal fixation pattern. Conclusions: Regardless of type of amblyopia,EF was a major factor in decrease of VA. Therefore, measurement and investigation of monocular fixation pattern in amblyopia especially, refractive are needed for increase in the rate of amblyopia treatment.

      • KCI등재

        각막교정수술안에 대한 소프트렌즈 렌즈 착용시 Masking 효과

        문예림,박형민,추병선 대한시과학회 2015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5 No.10

        목적: 실리콘 하이드로겔의 출시이후 처방빈도가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다. 하지만 기존의 실리 콘의 함유로 인하여 하이드로겔렌즈에 비해 모듈러스가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모듈러스는 착용감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높은 모듈러스의 렌즈를 착용 시 기존의 하이드로겔렌즈에 비해서 각막과의 밀착도가 떨어지게 될 수 있으며, 밀착정도에 따라 렌즈와 각막사이에 눈물이 형성될 수 있게 되어 굴절교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특히나 각막교정수술을 받은 경 우 각막이 편평하게 되어 이론적으로 이런 현상이 더 심화될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구면소 프트렌즈를 착용시 불규칙한 각막난시에 대한 Masking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지만, 각막교정수술을 받은 경우에 대한 Masking 효과에 이해는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정상적인 범위의 각막형상을 가진 그룹과 각막교정수술을 받은 그룹을 대상으로 서로 다 른 모듈러스를 가진 하이드로겔렌즈와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를 착용 시, 굴절교정 상태의 변 화 여부와 각막지형도의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를 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에는 정상적인 각막형상을 가진 그룹(12명)과 각막교정수술을 받은 적이 있는 그 룹(12명, LASIK - 8명, LASEK - 4명)가 연구에 동의하여 실험에 참여를 하였다. 각 참여자에 게는 4가지의 소프트렌즈 (-3.00D, 하이드로겔렌즈 2종(0.89Mpa, 0.49Map), 실리콘 하이드로 겔렌즈 2종(1.5Mpa, 0.8Mpa)을 무작위 순서로 우안에 착용을 하도록 하였다. 렌즈를 착용한 후 양안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shin-nippon)와 Keratograph 5M(oculus)을 이용하여 굴절력과 각막지형도를 측정하였다. 굴절력의 변화에 대한 비교에서는 우안 나안과 우안 각각의 렌즈 (-3.00D)를 착용하였을 때, 굴절교정상태의 변화정도를 비교하였다. 각막지형도의 변화에 대한 비교에서는 우안 나안과 우안 각각 렌즈(-3.00D)를 착용하였을 때 각 2회씩 촬영하였다. 연구 를 통하여 얻어진 데이터는 나안의 상태와 그리고 4가지 렌즈에 대한 ANOVA 통계를 이용하여 비교를 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참여자의 평균나이는 23.48±2.89이며, 각막교정수술을 받은 그룹의 수술 후 평균 경과 기간은 31개월이다. 모듈러스가 다른 렌즈들을 착용 시 +쪽으로 굴절력의 변화를 보여 +Tear lens effect를 보였지만굴절력에 대한 masking 효과에서 수술자와 비수술자 간의 변화량 비교(p=0.177)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각막지형도 변화에서는 수술자 비술자 모두에서 나안에서의 각막지형도 보다 각각의 렌즈를 착용한후 각막지형도 변화가 더 완만하 게 이루어졌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0.00) 수술자, 비수술자 모두 렌즈차 이에 따른 각막지형도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59), (p=0.415). 결론: 본 연구의 결과 모듈러스가 다른 렌즈별 굴절교정상태 변화와 각막지형도의 변화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현재 출시되는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의 경우 모듈러스가 기존 하이드로겔렌즈 렌즈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경우도 있어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과 하이드 로겔렌즈, 모듈러스 차이등으로 인한 렌즈간의 뚜렷한 차이는 볼 수 없었다. 하지만 나안 각막 지형도와 각각의 렌즈 착용후 각막지형도의 변화 비교를 통해 구면소프트렌즈의 Masking 효과 는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단안용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단기적으로 조절에 미치는 영향

        김주하,박선미,추병선 대한시과학회 2015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5 No.10

        목적: 스마트폰 이후의 차세대 기기로 웨어러블 컴퓨팅 기기가 조명되면서, 스마트안경의 생태 계의 확장과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나, 구글 글라스는 혼합현실 속에서 손을 자 유롭게 하며 미래지향적 방향성 제시에 기여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있는 반면 음성 인 식 및 제스쳐 인식 성능, 화면 디스플레이 속도, 안경맞춤과 초점조절, 안정피로와 같은 부정 적 평가가 있다. 실제 선행 연구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근거리 작 업을 하는 사람과 같은 증상을 나타내며, 충혈, 눈물, 시림, 이물감을 느끼며 복시또는 조절의 어려움이 생긴다는 연구된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안용 웨어러블 디바이스(구글 글라 스)를 이용시, 유도되는 조절력을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비교하여 측정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연구에 동의하에 실험에 참여를 하였으며 정시이거나 콘택트렌즈 로 교정하였을 시 교정시력이 1.0이상이며, 양안시 이상이 없고 조절력이 정상인 20대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각 피검자들은 완전시력교정 후 원방시 상태에서의 굴절력을 검 사를 한 후, 단안용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동일한 안구를 측정하기 위하여 왼쪽 눈의 굴절력만 측정되었다. 검사하기 전 양안의 조절자극량이 달라도 같은 양의 조절 반응량이 같음을 확인하 기 위해 양안 분리상태에서 40cm 거리의 조절자극을 주어 양안의 조절유도량을 비교하였다. 이후 컴퓨터(60cm), 태블릿PC(40cm), 구글 글라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같은 글자와 포인트를 두고 바라보면서 단안에 일어나는 조절력을 측정하였다. 조절력검사를 위해 개방형 자동안굴절 계(nvision-k5001)를 사용하였다. 측정되어진 데이타는 Shapiro –wilk 검증을 통하여 정규성을 확인하였으며, T-test와 ANOVA분석을 통하여 서로 다른 디바이스를 사용 시 유도되는 실제의 조절량을 비교하였다. 결과: 피검자들의 오른쪽, 왼쪽, 양안의 평균 최대조절력은 각각 12.17±2.98D, 12.2±1.82D, 14.0±2.63D으며, 양안 분리상태에서 조절 자극량이 다른 경우 조절 반응량 검정결과는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p=0.851). 서로 다른 디바이스 간의 유도된 조절량에서는 구글글라스 (0.29±0.18D), 컴퓨터(0.77±0.54D), 태블릿PC(1.42±0.45D) 순으로 조절량이 많았고, 컴퓨터 와 태블릿PC는 조절량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93). 그러나 컴퓨터와 구글글라스, 태블 릿PC와 구글글라스는(p<0.05)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위 결과를 종합해보면 구글글라스와 같은 HMD 사용자들의 가장 큰 문제는 근거리 작업 을 하는 것과 같은 충혈, 눈시림, 안정피로, 조절 또는 복시와 같은 증상을 호소한다는 선행논 문과는 달리 실제 구글글라스를 착용했을 때는 조절경련이나 복시를 일으킬 만큼의 조절이 발 행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피검자들이 호소하는 조절경련 또는 조절에 의한 복시현상에 대해서 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원방시를 했을때와 구글글라스를 착용했을때의 굴절력을 비교해 보았을 때, 적은양이지만 일정 정도의 조절이 유도되었으므로 조절이 약한 노안들에게는 선명한 상을 보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구글글라스의 상은 허상임에도 불 구하고, 조절이 발생하였으므로 상을 인식하여 조절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문자를 사용한 조절력을 측정할 뿐만 아니라 동영상을 이용하여 원근감을 느꼈을 때 발생되는 조절력 의 차이를 연구해 볼 필요성이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정적인 Text를 사용하였으나, 구글 글라스의 특성상 이동성을 고려하면 동적인 환경에서의 영향을 연구하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