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엔진 회전속도 변화를 이용한 상태진단 기법에 관한 연구

        이병열(Byungyeol Lee),하승진(Seungjin Ha),임옥택(Ocktaeck Lim) 대한기계학회 2011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5 No.11

        해상 운송 분야와 발전 플랜트 분야에서 사용되는 엔진은 저ㆍ중속에서 운전효율향상이 계속해서 요구되고 있다. 엔진의 운전효율향상을 위해서는 엔진상태를 나타내는 변수의 확인이 반드시 필요하다. 지금까지 가스압력, 가스온도, 진동 등이 주요변수로써 제안되고 있으나 이 변수들은 응답속도와 진단 정확성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엔진 크랭크 축 각속도 변화를 수치화한 EFR(Engine Fitness Ratio)을 검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엔진의 상태를 진단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EFR은 주파수 영역에서 특정 주파수의 비로써 정의되며 엔진상태를 나타낸다. EFR은 크랭크 각속도의 변화 거동으로부터 계산되며, EFR을 이용한 엔진 상태진단 기법을 실제 선박 추진용 저속엔진을 이용한 실험과 발전용 중속엔진을 이용한 해석을 수행하여 엔진의 이상 발생 감지가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Improvement of the thermal efficiency in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low- and medium-speed engines is a kind of never-ending requirement in the maritime power plant busines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engine management efficiency, a principal factor that represents the fitness of the engine should be identified. Gas pressure, gas temperature, and vibration have all been used as this factor. However, they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response speed and diagnosis accuracy. The EFR (engine fitness ratio) is suggested as a new diagnostic factor in this paper. The EFR is defined as the ratio of particular frequencies in the frequency domain and represents the fitness of an engine. It is calculated from the fluctuation pattern of the crankshaft angular speed. The EFR was verified using an experimental method for a low-speed engine and an analytic method for a medium-speed engine.

      • KCI등재

        대학 도서관 내 협업 공간의 경험 디자인

        김성우(Sung Woo Kim),강도연(Do Yeon Kang),이수진(Sujin Lee),하승진(Seungjin Ha),고하경(Ha Gyeong Ko),구민성(Minseong Koo)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2

        공간은 경험의 장소로 이용자가 체류하면서 겪게 되는 다양한 경험 요소에 의해 공간의 전체적인 만족도가 형성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도서관의 리모델링 공간에 학생 중심의 창의·협업·소통 활동용 공간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어떤 공간적 경험을 제공해야 공간의 만족도가 증대하고 의도했던 UX가 공간의 장소성(placeness)으로 형성되는가를 규명하고, 이를 실체적인 경험 요소로 구현하여 공간에 탑재하는 데에 있다. 연구에서는 서비스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에 맞춰 과제를 수행하면서 공간 경험의 비전을 수립하고 서비스스케이프의 3개 차원별 주요 경험 요소와 이들을 실체화하는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주변 환경’ 차원으로는 백색 소음의 공인, ‘공간적 구성 및 기능’ 차원으로는 각종 이동형 가구와 산재한 바닥 매립형 콘센트 박스를 통해 어느 위치에서든 즉석 구성할 수 있는 모바일 하이브 형 협업 공간, ‘사인, 심볼 및 인공물' 차원에서는 자유롭고 편안한 분위기의 조성을 위한 휴게구역과 대학생의 역동성·개방성·자율성을 상징하는 ‘날마다 다른 공간 배치' 등이 나왔다. 아이디어는 desktop walkthrough 기법으로 검증 후 통합정리하여 리모델링에 반영되었다. 2개월의 사용 기간 후 인터뷰 및 현장 관찰로 공간에 대한 학생의 UX 평가를 수행하였고, 평가 결과로부터 공간 경험 요소가 학생의 창의·협업·소통 활동의 사용 행태를 원활하게 유도하면서 의도했던 공간의 장소성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A space serves as a platform of experience,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of a space is shaped by various experiential elements that users encounter during their stay. This project aims to pinpoint the spatial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student-centered creative, collaborative, and communicative space in a university library that increase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space. Furthermore, the project explores how these elements contribute to the overall 'placeness' of the space and how they can be integrated into the refurbishment process. Utilizing service design thinking as a guiding framework, we formulated a vision for the spatial experience, identifying key experiential elements across the servicescape's three dimensions. Specifically, we highlighted the allowance of permissible white noise for the 'ambient condition' dimension, movable furniture and ubiquitous floor outlets for the 'spatial layout and functionality' dimension, and a cozy rest area with a daily-changing arrangement emblematic of the dynamic, open, and independent nature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 'signs, symbols, and artifacts' dimension. We then generated diverse ideas for embedding the components in the space. The generated ideas were assessed through the desktop-walkthrough technique and incorporated into the renovation. After two months of use of the space, we evaluated students’ UX satisfaction through on-site observation and interviews, and verified that experiential components successfully stimulated students' activities, and the intended placeness was established within the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