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법의 지필 평가와 수행 평가의 상관관계 연구

        하성욱 한국문법교육학회 2010 문법 교육 Vol.1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paper-pencil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evaluation of Korean Grammar. And I'v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them. Above of all, I've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subordinate subjects. (1) According to total score, Did the paper-pencil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have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paper-pencil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had a high correlation of 0.775 in experimental research.(r=.775, p<0.01)(2) According to assessment element, Did the paper-pencil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have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paper-pencil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had a varied correlation from 0.357 to 0.598. Among them, ‘Phonological Changes’ and ‘Sentence response’, ‘Sentence response’ and ‘Sentence response’, ‘Sentence response’ and ‘meaning of words’, ‘meaning of words’ and ‘meaning of words’,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and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and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and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the rules of Korean orthography’ and ‘the rules of Korean orthography’ had a low correla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paper-pencil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sake of achievement of validity and credibility (3) According to student's grammatical awareness, Did the paper-pencil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have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correlation is revealed that the more student's grammatical awareness is high, the more the correlation is high. The correlation of non-study group was showed 0.670, the correlation of memorized-study group was showed 0.745, and the correlation of meaningful-study group was showed 0.791. 학교 현장에서는 여전히 ‘죽어 있는’ 문법 지식을 지필 평가 문항을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의 원인을 ‘대학수학능력시험’이라고 하는 입시 제도의 문제라 치부(置簿)해 버릴 수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문법 영역은 직접적인 방법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것이며 학생의 수행을 바탕으로 직접적인 평가를 하는 것보다 간접적인 평가를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이라는, 실제적 근거 없는 현장 교사들의 인식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관규(2004:299~328)는 이러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을 실제로 확인해 볼 수 있는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장 교사 44명을 대상으로 문법 지필 평가와 구술 평가에 대한 인식을 물었는데, ‘지필 평가만으로 충분하다(31.8%, 14명), 지필 평가를 위주로 하고 구술 평가는 조금만 한다(34.1%, 15명), 지필 평가와 구술 평가를 반반으로 한다(29.5%, 13명), 지필 평가는 조금만 하고 구술 평가를 위주로 한다(2.3%, 1명), 구술 평가만으로 충분하다(2.3%, 1명)’라는 결과를 도출한 바 있다. 또한 주세형(2003:303)에서도 수행 평가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인식을 ‘학생들에게 정확한 지식을 주지 않고 놀게 하는 것’이라며 단적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수행 평가의 기본 개념과 취지가 무색해졌음을 비판하며, 지식의 의미를 더욱 심각하게 고려하여 수행 평가를 고안해야 하고, 학생들에게 더 높은 성취 기준을 요구함을 널리 알릴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에서 주목해 보아야 할 부분은 현장 교사들이 지필 평가에 대해 호의적인 반면, 구술 평가(수행 평가)에 대해서는 그다지 호의적이지 못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교사들의 인식으로 볼 때 현장에서 문법 영역의 평가는 지필 평가 위주로 전개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는 근본적으로 타당한 문법 평가 구현을 저해하는 것이 될 수도 있다. 문법 영역에서 지필 평가와 수행 평가 각각 나름대로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지니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지필 평가에서 평가하지 못하는 부분을 수행 평가로 평가할 수 있는 가능성도 충분히 내재되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실제로 최지현(2000:109)에서는 “서답형 지필 평가나 구술 평가 등이 교수․학습을 통해 얻어진 학습자의 국어능력을 완전히 측정하거나 진단할 수 있다고 보기 어렵다면, 선택형 지필 평가로 평가하지 못하는 학습자의 국어능력은 그보다 더 많을 것이다.”라고 제시한 바 있다. 이는 곧 서답형 지필 평가나 구술 평가가 선택형 지필 평가로 측정하지 못하는 국어능력을 측정할 수 있음을 역설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능성을 실재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다시 말해 지금까지 문법의 지필 평가와 수행 평가에 대해 가져왔던 막연한 인식을 실험 연구 설계로 구체화해 보고자 한다. 특히 지필 평가와 수행 평가의 상관관계에 주목하며, 문법 영역의 효과적인 평가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표면연기 및 양적 역할과부하와 정서적 안녕간 관계에서 수면의 매개효과

        하성욱,양욱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8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5 No.5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demands and job-related affective well-being (JAW) with the sample of 299 employees in Chinese banking industry. Job demands include surface acting as a job hindrance and quantitative role overload as a job challenge. The study examined different effects of surface acting and quantitative role overload on the JAW, after controll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leep duration and sleep quality to these relationshi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leep duration has a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acting and JAW. 2) sleep quality has a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acting and JAW. 3) surface acting has a negative direct effect on JAW after controll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leep duration and quality. 4) sleep duration has no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ative role overload and JAW. 5) sleep quality has a negativ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ative role overload and JAW. 6) quantitative role overload does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JAW after controll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leep duration and quality. Based on th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본 연구는 직무요구가 유형에 따라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중국 은행산업의 사무・관리직 직장인 299명을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하였다. 직무요구를 크게 방해적 스트레서와 도전적 스트레서로 구분하고 각각 표면연기와 양적 역할과부하를 사용하였다. 표면연기와 양적 역할과부하가 수면을 통해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통제하고 표면연기와 양적 역할과부하의 직접효과를 실증하였다. 수면은 수면시간과 수면질로 구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표면연기-수면시간-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연결되는 매개효과와 표면연기-수면질-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한 부(-)의 관계를 보였다. 표면연기는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에 유의한 부(-)의 직접효과를 보여주었다. 양적 역할과부하-수면시간-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연결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양적 역할과부하-수면질-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만 유의한 부(-)의 관계를 보였다. 양적 역할과부하는 직무관련 정서적 안녕에 정(+)의 직접효과를 보였으나, 이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 KCI등재

        유전 목 지도의 동적 확장

        하성욱,권기향,강대성 한국정보과학회 2002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29 No.6

        In this paper, we suggest dynamic genetic tree-maps(DGTM) using optimal features on recognizing data. The DGTM uses the genetic algorithm about the importance of features rarely considerable on conventional neural networks and introduces GTM(genetic tree-maps) using tre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features. Hence, we propose the extended formula, DGTM(dynamic GTM) has dynamic functions to separate and merge the neuron of neural network along the similarity of features. 본 논문에서는, 인식될 데이타에서 최적 특징을 구성할 수 있는 새로운 신경망 구조인 동적 유전 트리맵(DGTM)을 제안한다. DGTM은 기존의 신경망(neural networks)에서 고려되지 못한 데이타의 특징(feature)에 대한 중요도를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으로 구성하고, 특징의 우선순위에 따라 트리 구조를 도입한 GTM(genetic tree-map)을 적용한다. 데이타의 유사성에 따라서 신경망의 뉴런이 동적으로 분리되고 병합될 수 있도록 동적인 기능을 갖는 DGTM(dynamic GTM)으로 확장한 방식을 제안한다.

      • MMSOFM과 블록 매칭을 이용한 얼굴 추출 방법에 관한 연구

        하성욱,강대성 동아대학교 공과대학부설 생산기술연구소 1998 生産技術硏究所硏究論文集 Vol.3 No.1

        It had be shown that features can be characterized in various background images, and that this methods can be overcome for numerous limited vectors. Possible applications of such techniques could be, in fact, found in few different fields, ranging from machine vision to video compression. In this paper an algorithm, based on MMSOFM(Min-Max self organizing feature map), block matching and moving perception, for moving stream images of frame, and features based face shape is described. The perpo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with considerable reduction in computation. The number of face extraction improves as the trained vectors alapted on MMSOFM and block matching.

      • 문법의 통합적 평가 방안 연구

        하성욱 국어교과교육학회 2011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8 No.-

        문법은 모든 국어 하위 영역과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문법 이외 모든 국어 교육의 영역은 기본적으로 문법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사실 문법은 그 어떤 국어 교육 영역과도 통합 가능하다. 국어 교육 전체의 바탕을 이루는 것이 문법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교육내용, 방법만 살펴보아도 문법은 다른 영역과 통합할 수 있는 여지를 다수 가지고 있다. 결국 정확하면서도 올바른 국어의 이해와 사용을 위해서는 문법 교육이 필수적이며, 또 작문 및 발화, 독서의 전체 과정 중 일어나는 초인지 작용과 관계된 상당한 영역이 문법적 지식을 필요로 하므로 문법 영역과의 통합은 필연적이라 하겠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전제하에 문법의 통합적 평가의 가능성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문법 중심의 통합적 작문 평가', '작문 중심의 통합적 문법 평가', '문법, 작문, 독서의 통합적 평가'를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봄으로써 통합적 교수·학습 평가의 의미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