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앱 활용 교육 연구 분석

        하상지,이영선,김환희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and specific contents of the studies that implemented mobile app utilization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uggest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and education. Total of 29 studies domestic and abroad were selected by specific criterion and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ag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limited, that research was mainly carried out based in educational institution inside a school or community, and that over half of the studies were focusing on improving job skills as an intervention goal. The specific analysis results on the app utilization education were that apps categorized for productivity and camera/album were mainly used, that over half of the studies used commercialized apps, and that the data most used in the app was video and text. Also, many studies took the mode in which the app and user interacts in double-way and used prompts and modeling as an intervention strategy. Research was limited in having research participants perform independently. From the analysis above, several discussion points were made: (1) consideration on supports throughout the transition domains within the practical life-based environment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cused on generalization, (2) use of variety of apps considering the us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3) provision of various data and interactions in app, (4) provision of education considering the wide spectrum of age of research participants.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앱 활용 교육을 실행한 선행 연구의 개괄적인 특징과 구체적인 내용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향후 연구와 실제를 위한 방향성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를 기준에 따라 선정하여 총 29편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개괄적인 분석 결과, 성인 발달장애인의 연구참여 연령은 매우 제한적이었고, 학교 및 지역사회 내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수행된 연구가 많았으며, 중재 목표로 고용기술 향상에 초점을 둔 연구가 과반수를 차지했다. 앱 활용 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분석 결과, 생산성 유형과 촬영 및 앨범 유형의 앱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과반수의 연구가 상용화된 앱을 사용하고 앱 내에서 비디오와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또 앱과 사용자가 쌍방향으로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취한 연구가 많았으며, 중재전략으로 촉진과 모델링이 많이 활용되었고 연구참여자가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교육을 제공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논의점이 제시되었다: (1) 실제적인 생활환경 안에서의 전반적인 전환영역에 대한 지원 및 일반화에 초점을 둔 중재전략 고려, (2) 발달장애인 사용자를 고려한 다채로운 앱 활용, (3) 앱 내 다양한 데이터와 상호작용 제공 및 (4) 다양한 연령대의 연구참여자를 고려한 교육 요구.

      • KCI등재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키오스크 이용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 학생의 패스트푸드 주문하기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하상지,이영선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30 No.1

        키오스크 설치 확대에 따라 키오스크 주문이 지역사회 내 패스트푸드점에서 보편화되었으나, 지적장애인은 글로 대부분 이루어져 있는 키오스크 화면과 기기에 대한 안내 미비 및 어려운 설명으로 키오스크 이용에 어려움을 경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에서 개발된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키오스크이용 교육 프로그램이 세 명의 특수학급 지적장애 중학생의 패스트푸드 주문하기 기술 습득, 일반화,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키오스크 이용 교육 프로그램은 기존에 개발된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과 여섯 개 브랜드의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를 토대로 개발되었고, 주문하기 기술은 수행 정확도와 수행 시간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중재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단일대상연구 방법인 연구참여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고, 모든 참여자에 대해 기초선, 중재, 장소에 대한 일반화, 유지 측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키오스크 이용 교육프로그램은 모든 연구참여자의 주문하기 기술 수행 수준을 확연하게 높였고 수행 성공의 수를 증가시켰으며, 주문하기 기술 수행 시간은 꾸준한 경향성으로 대폭 감소시켰다. 또한 주문하기 기술은 다른패스트푸드점에서도 일반화되었으며, 중재 종료 이후에도 기술이 유지되어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주문하기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결과를 토대로프로그램이 주문하기 기술에 미친 영향과 더불어 게임 요소에 따른 흥미 유발 및 폭넓은 키오스크 사용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을 논의하였고, 키오스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중재 연구와 지적장애인의키오스크 사용성 평가 연구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While most of the fastfood industries use kiosks for ordering,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have difficulty in using kiosks because of screen full of words, and the difficult and insufficient directions for using the machin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ssess the impact of gamification-based kiosk usage training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 on acquisi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of fast food ordering skills for three middle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room students with ID. Ordering skills were specified in the skills used in fast food restaurant, and they were analyzed by performance accuracy and performance duration. The effects were assessed by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ith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cne phases conducted for all participants. Gamification-based kiosk usage training program improved all participants’ performance rate in ordering skills, while gradually reducing the time taken for ordering. The results showed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he program and the improvement of ordering skills. The acquired skills were successfully generalized across different fast food restaurants’ kiosks and maintained a week after the intervention terminated. The study highlighte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program, while also discussing the reinforcement effect of the game factor and the effect to the broader usage of kiosks.

      • KCI등재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을 위한 성인기 전환계획 관련 국외 연구 동향 및 과제

        윤라임,장영선,하상지,이숙향 한국특수아동학회 202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4 No.1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implications to development of adulthood transition planning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he future tasks, through consideration and analysis of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adulthood transition planning for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Method: Among the studies published abroad, 14 studies selec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ir overall tendency(eg. publication year,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participant) and their research subjects. Result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 results were organized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1) success and obstacle factors of transition planning, (2) adolescents participation in transition planning, (3) intervention program implementation to facilitate transition planning, (4) experiences of using a transition planning intervention program.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discussions took place on transition planning for the success of adolescents with ASD. (1) Family participation in the entire processes from transition assessment to transition planning establishment, implementation, and monitoring, (2) adolescents participation in transition planning, (3) consideration for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continuum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4) cooperation of family, school, and community agencies, (5) establishment of high quality transition planning goals, (6) necessity of experimental research facilitation.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을 위한 성인기 전환계획 관련 선행 연구에 대한 고찰 및 분석을 통해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을 위한 성인기 전환계획 중재 개발 및 향후 과제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국외에서 발표된 논문 중 기준에 따라 선정된 총 14편의 논문의 전반적인 동향(예: 출판연도,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 등)과 연구의 주제에 따라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문헌 분석의 결과 이 분야의 연구는 크게 (1) 전환계획의 성공요인 및 방해요인, (2) 청소년의 전환계획 참여, (3) 전환계획을 촉진하기 위한 중재프로그램 실행, (4) 전환계획 중재프로그램 사용 경험의 네 가지 범주로 정리될 수 있었다. 결론: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의 성공적인 성인기 성과를 위한 전환계획을 위해 다음과 같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1) 전환 평가에서부터 전환계획 수립, 계획 실행 및 점검의 전 과정에 가족 참여, (2) 전환계획 과정에 청소년 참여, (3) 자폐 범주성 장애 고유의 특성 및 연속체 고려, (4) 가족, 학교, 지역사회 기관간의 협력, (5) 양질의 전환계획 목표 수립, (6) 실험연구의 활성화 필요.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