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천공과 간문맥 내 가스 소견으로 발견된 크론병

        하나래 ( Na Rae Ha ),이항락 ( Hang Lak Lee ),이오영 ( Oh Young Lee ),윤병철 ( Byung Chul Yoon ),최호순 ( Ho Soon Choi ),함준수 ( Joon Soo Hahm ),이동후 ( Dong Hoo Lee ),이민호 ( Min Ho Lee )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5

        Crohn`s disease is characterized by its chronic course and transmural inflammation of gastrointestinal tract. The accompanying fibrous reaction and adhesion to adjacent viscera appears to limit the complication of free perforation. The true incidence of free bowel perforation is difficult to assess, however, the anticipated occurrence rate is 1-2% during the course of illness. Moreover, portal venous gas is also an uncommon event in the natural history of Crohn`s disease. Portal venous gas occurs when intraluminal gas from the gastrointestinal tract or gas-forming bacteria enters the portal venous circulation. The finding of portal venous gas associated with Crohn`s disease does not always mandate surgical intervention. We experienced a case of Crohn`s disease presenting with free perforation and portal venous gas. The literatures on the cases with perforation and portal venous gas associated with Crohn`s disease were reviewed.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319-323)

      • SCOPUSKCI등재

        대량 흉수의 원인과 성상-국내 한 대학병원의 경험

        박송리 ( Song Ree Park ),김지현 ( Jee Hyun Kim ),하나래 ( Na Rae Ha ),이재형 ( Jae Hyung Lee ),김상헌 ( Sang Heon Kim ),손장원 ( Jang Won Sohn ),윤호주 ( Ho Joo Yoon ),신동호 ( Dong Ho Shin ),박성수 ( Sung Soo Park ),김태형 ( Tae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6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1 No.5

        연구배경: 대량 흉수의 가장 흔한 원인은 악성으로 알려졌으나 이에 대한 보고가 많지 않고, 지역 및 시대에 따라 다른 분포를 보였다. 저자들은 결핵의 유병율이 높은 국내에서 대량 흉수의 원인 질환의 분포를 알아보고, 원인 질환 감별을 위한 흉수의 분석지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2년 7월부터 2005년 7월까지 한양대학교 구리병원에 입원하여 흉수 천자를 시행하였던 298명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대량흉수는 흉부단순촬영에서 일측 흉곽의 2/3 이상을 차지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각 환자에서 혈청 생화학 검사, 흉수 천자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298명의 흉수 예 중 대량 흉수는 41예, 13.8% 이었다. 대량 흉수의 원인으로는 악성 흉수가 19예 (46.3%)로 가장 많았고 결핵 15예 (36.6%), 부폐렴성 흉막염 및 농흉 4예(9.8%), 여출성 흉수 3예(7.3%) 순이었다. 대량 흉수 중 악성 흉수 (n=19)와 양성 흉수군 (n=22)의 비교 시 악성 흉수에서 ADA가 낮고(30.5 vs 86.2;p=0.017), amylase 수치가 높았다 (349.0 vs 39.2;p=0.031). 흉수 적혈구는 악성 흉수 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95,406 vs 22,105;p=0.052). 결론: 국내에서 대량 흉수의 원인으로는 악성 외에도 결핵에 의한 경우가 많았으며, ADA가 낮은 혈성 흉수는 악성을, ADA가 높은 림프구성 흉수는 결핵의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Background: Differential diagnosis is very important in patients with pleural effusions. A few studies on the etiologies of massive pleural effusions have been reported, but these were conducted in different decades and locations. In the present study, the etiologic spectrum of massive pleural effusions in Korea, were evaluated through an investigation at one university hospital. Methods: Retrospective chart reviews were performed in patients having undergone thoracentesis between July 2002 and July 2005. Pleural effusions were deemed to be massive if they occurred in two thirds or more of one hemithorax. The etiologies of massive pleural effusions, pleural fluid findings, serum laboratory findings, and sputum and pleural fluid cytologies were compared. Results: Of 298 pleural effusions cases, 41 (13.8%) had massive pleural effusions. The most frequent causes of massive pleural effusions were malignancy (19; 46.3%) followed by tuberculosis (15; 36.6%), parapneumonic effusion (4; 9.8%) and transudate (3; 7.3%). Compared with massive benign effusions, patients with massive malignant pleural effusions were more likely to have lower adenosine deaminase (ADA) activity, a higher amylase level and higher RBC count in their pleural fluids. Also, compared with non-tuberculosis effusions, patients with massive tuberculous pleural effusions were more likely to have lower RBC and neutrophil counts, but a higher lymphocyte count, adenosine deaminase (ADA) activity and protein level. Conclusion: The most common etiologies of massive pleural effusions in Korea are malignancy and tuberculosis. A high ADA content favors a tuberculous condition, while bloody effusions with a relatively lower ADA content. Favors malignancy. The proportion of tuberculosis in massive pleural effusions was higher than in previous reports. (Tuberc Respir Dis 2006; 61: 456-462)

      • SCIESCOPUSKCI등재

        한국인에서의 최근 5년간 전형적인 위식도 역류 증상의 변화: 표본인구 설문조사

        조승철 ( Seung Chul Cho ),이오영 ( Oh Young Lee ),하나래 ( Na Rae Ha ),심성곤 ( Sung Gon Shim ),이강녕 ( Kang Nyeong Lee ),윤재훈 ( Jai Hoon Yoon ),이항락 ( Hang Lak Lee ),윤병철 ( Byung Chul Yoon ),최호순 ( Ho Soon Choi ),함준수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8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4 No.2

        목적: 지난 수년 동안 우리나라에서는 서구와 마찬가지로 소화기적 증상이 있는 환자들과 건강 대조군 모두에서 역류성 식도염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우리나라 일반인에서의 위식도 역류질환과 연관된 증상의 유병률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저자들은 2002년과 2007년 표본인구를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제로 일반인들의 위식도 역류질환과 연관된 증상의 유병률이 증가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한국갤럽에 의뢰하여 15세 이상 60세 이하의 일반인들을 지역별 인구비례에 의해 무작위 추출한 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위식도 역류질환의 전형적 증상의 유무 및 발생빈도에 대해 타당성이 검증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전화 설문조사를 2002년과 2007년 시행하였다. 설문 결과를 통해 최근 5년 사이에 전형적인 위식도 역류 증상의 유병률에 변화가 있었는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증상의 유무와 빈도에 영향을 끼쳤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2002년에는 1044명(남자 516명, 여자 528명), 2007년에는 1009명(남자 501명, 여자 508명)이 설문에 참여하여 반응률은 각각 29%, 20.2%였다. 대상자의 성별, 연령 및 지역 분포와 같은 일반적인 특성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가슴쓰림이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있는 경우가 2002년에는 6.9% (72명/1044명), 2007년에는 6.6% (66명/1009명), 산 역류에 있어서는 2002년 4.5% (47명/1044명), 2007년 5.5% (55명/1009명)로 나타났다. 가슴쓰림이나 산 역류가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있는 사람을 위식도 역류 증상이 있다고 판단했을 때 2002년의 유병률은 7.1%, 2007년의 유병률은 7.9%로 조사되었다. 성별, 연령, 거주지역과 같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이 지난 5년 사이에 위식도 역류 증상의 유병률 및 발생 빈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결론: 최근 5년간 우리나라에서의 위식도 역류 증상의 유병률에는 변화가 있었고 대상자의 특성이 증상의 유병률 및 빈도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Background/Aims: Heartburn and acid regurgitation are considered specific symptoms for the diagnosis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The reported population prevalence of GERD in eastern Asia ranged from 2.5% to 6.7%. The prevalence of GERD is increasing in Koreans probably because of westernized lifestyle. However, there have been few reports about the change in the prevalence of GERD symptoms in Korea.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GERD symptoms at present and change in the prevalence of GERD during the past 5 years in Korea. Methods: The telephone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by Gallup, Korea using a validated questionnaire in 2002 and 2007. A random sample of gender and age (between 15 and 60 years), based on a per capita ratio was obtained. Typical GERD symptom was defined as heartburn or acid regurgitation having occurred at least once a week. Results: The response rate of the telephone interview survey was 29% (n=1044, 516 males and 528 females) in 2002 and 20.2% (n=1,009, 501 males and 508 females) in 2007. The prevalence of heartburn was 6.9% in 2002 and 6.6% in 2007. The prevalence of acid regurgitation in 2002 and 2007 were 4.5% and 5.5%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GERD symptoms in general population was 7.1% in 2002 and 7.9% in 2007. Conclusions: The change in the prevalence of typical GERD symptoms in general population was seen during the past 5 years in Korea. There were no demographic factors influencing on the prevalence of GERD symptom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8;14:96-10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