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문화시대 문화지식 공유로 생성하는 공존의 인문정신 연구 -공자의 ‘서’의 관점에서 본 한국과 베트남의 ‘아기장수’ 설화를 중심으로-

        표정옥 한국공공사회학회 2024 공공사회연구 Vol.14 No.1

        This study utilized Confucius's idea of the Book of Wisdom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explore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Focusing on the Korean and Vietnamese Agijangsu tales, this study examined the problem perception, education status, entry into society, and future challenges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particular, the study emphasized the current status and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mmunication for mutual understanding and harmony in a society where diverse cultures coexist. The Korean tale of "Agijangsu" and the Vietnamese tale of "Budongchunwang" can be used as important metaphorical tools for multicultural integration, communication, and personal identity formation. The Korean tale of "Agijangsu" is a symbolic tale of multiculturalism and reflects on multicultural issues in modern society through the symbolic confrontation between the non-mainstream and the mainstream. The Vietnamese tale, on the other hand, shows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characters into society and their social adaptation process. Based on Confucius' idea of Forgiveness, this study examines the attitude of a new humanistic spirit for harmony and coexistence in a multicultural society. Forgiveness is the principle of not doing to others what one does not want to do to oneself, which can be treated as a key concept for respecting and understanding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nd values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addition, through Confucius' concept of “the cultured man is not a tool(君子不器)”, this paper proposes a direction for the inclusive development of society that seeks an inclusive attitude and strategy toward the multicultural second generation. This paper aimed to present a humanistic approach to coexistence and integr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analyzed the reality and future of a multicultural society in depth. It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humanistic spirit and education for understanding and coexistence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sought practical measur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a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this study, we aimed to lay an important foundation for a future society in which various cultures coexist harmoniously based o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근대적 미의식의 양가적 충돌과 타자적 여성성에 대한 서로 다른 두 시선 연구 ― 너새니얼 호손의 <반점(The Birthmark)>과 김유정의 <안해>를 중심으로

        표정옥 국제비교한국학회 202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30 No.1

        본고는 1843년 19세기 미국의 대표 작가인 너새니얼 호손의 <반점(The Birthmark)> 이라는 작품과 1930년대 20세기 한국의 대표 작가인 김유정의 단편 소설 <안해>에 등장하는 여성성에 대해서 근대라는 의미망을 통해 비교 분석해서 살펴보았다. 여성 의 미의식이라는 측면을 통해 볼 때 김유정과 호손의 작품에는 여성 인물들에 대한 감정이 매우 양가적으로 등장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김유정의 작품 중에서 여성의 미모와 관련된 작품 <안해>에 나타난 미적 여성성을 미국의 대표 작 가 너새니얼 호손의 <반점> 속에 나타난 여성의 미의식과 상호 비교해 보았다. 너새 니얼 호손의 작품 <반점>은 완벽주의를 추구하던 어느 과학자가 자기 부인의 얼굴에 난 붉은 반점을 인간이 가지는 불완전함의 상징으로 여기고 없애려다가 그녀를 죽게 만드는 어처구니 없는 이야기이다. 19세기 근대 과학 담론으로서 너새니얼 호손의 <반점>과 20세기 근대 한국의 미적 담론으로서 김유정의 <안해>를 통해 미의식의 충돌과 양가 의식과 타자성 등을 주제학적 차원에서 비교해 보았다. 이를 통해 근대 와 과학과 경제적 자본이라는 담론이 여성의 자아의식 형성과 미의식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그 의미의 미시적인 지층을 들여다 볼 수 있었다. 너새니얼 호손 <반 점>의 여주인공은 자신의 반점을 거슬려하는 남편의 뜻에 따라 반점을 제거하려다가 불행하게도 목숨을 잃고 만다. 하지만, 김유정의 <안해>의 부인은 못생긴 얼굴을 가 졌지만 능력을 신장시켜 가면서 자신의 미적 자존감을 회복하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근대라는 공간에서 과학과 자본의 영향 하에 여성의 미에 대한 다소 다른 담론을 보 이는 너새니얼 호손과 김유정의 작품을 통해 김유정 연구의 새로운 비교문학적 가능 성을 가늠해 보고자 했다.

      • KCI등재후보

        이청준 소설의 영상화 과정의 생성원리로 작용하는 원형적 신화 상상력에 대한 연구 : 영화 <서편제>·<축제>·<밀양>·<천년학>을 대상으로

        표정옥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서강인문논총 Vol.0 No.25

        이 논문은 이청준 작품이 영상화되는 과정에서 신화적 기호작용이 일어나고 있는 것에 착안해 영상을 통한 정전 소설의 새로운 재독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이청준은 다양한 각도에서 재조명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영상화된 그의 작품이 영상 문학의 영역에서 활발하게 거론되고 있다. 특히, 임권택 감독의 <서편제>와 이창동 감독의 <밀양>의 성공은 이청준 원작에 대한 재독의 기회를 부여했다. 영상에 의해 소설 원작이 다시 부활하거나 재조명되는 대표적인 긍정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영상에 의해 정전의 재독이 가능해진 것이다. 영화 <축제>는 원작과 소설이 함께 진행된 작품이고, 영화 <천년학>은 <남도사람3:선학동나그네>를 영상화한 것이다. 이청준의 영상화된 작품에서는 및 가지 기호작용이 공통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것을 찾을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 그러한 영상화의 생성원리를 신화적 상상력이라는 것에 착안해 작품의 고리를 엮어보고자 한다. 이청준의 작품들은 신화적 상상력으로 읽히기 보다는 지식인의 소설이나 철학적 소설 등으로 읽혀온 것이 그간의 지배적인 흐름이었다. 본고에서는 이청준 작품들 중 원작 <서편제> <축제> <벌레이야기> <선학동 나그네>등이 임권택의 영화 <서편제> <축제> <천년학>으로 재창조 되고, 이창동의 <밀양>으로 재탄생되는 텍스트 내적 원리를 신화적 사유를 통해 풀어가고자 함이다. 가장 큰 담론의 범주를 차지하는 작품은 <선학동 나그네>와 영화 <천년학>에 대한 담론이 될 것이며 그 밖의 작품들은 이청준의 소설 영상화의 원리를 밝히는 보조적인 작품으로 다루어질 것이다. 네 작품 안에 흐르는 영상화의 원리를 신화적으로 밝힘으로써 이청준 소설의 신화적 사유를 읽어가는 새로운 읽기의 방법이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seek for the possibility of rereading cannonized novels through mythical semiosis in the course of visualizing Lee Chung Jun's novels. Particularly, Lee's novel <Seopyonje> is revived by Yim Kwan Taek's movie, novel<Bug's story> is changed into Lee Chang Dong's <Secret Sunshine>, novel <Sunhakdong's passenger> is revived by Yim's movie <Beyond the years>, and novel<Festival> is created with Yim's movie <Festival> with a same time. This article is written to find out the thought of visual principles of signifying the novel. Lee's novels have been read as psychological and intellectual novels rather than mythical novels. The novels reborn with movies have the archetypal mythical imagination. In this article, <Seopyonje> and <Beyond the years> are the main objects. Through this article, we read the mythical imagination within the novels and movies. The first principle of visualizing novels is the character's imagination, which signify the scarcity and Han named desperation and sorrow. Female characters of Lee's novels are the signifier with scarcity and Han(恨) The second principle of visualizing novels is the reversal semiosis and ambivalent visual value systems. The good and evil are shown up as normal aspects rather than abnormal aspects. And also, the good and evil are told with ambivalent values. The third principle of visualizing novels is to describe the archetypal mythical imagination, which expressed the thought about the true life and asked of the spiritual space of life. We can read the mythical thoughts within the novels and movies simultaneously.

      • 신화적 상상력을 활용한 경계를 넘는 독서토론과 융합적 글쓰기 연구 - <삼국유사: 기이편>에 기술된 다문화 상상력을 중심으로 -

        표정옥 시학과언어학회 2011 시학과 언어학 Vol.0 No.21

        본 연구는 『삼국유사』에 나타난 다문화의 상상력에 주목한 인문고전 독서와 토론의 가능성을 텍스트가 가지는 신화 상상력에 기반 해서 진행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반추해 볼 때, 『삼국유사』의 신화적 상상력을 활용한 독서토론과 융합적 글쓰기는 인문고전의 새로운 교육 방법을 보여줄 것이다. 본 연구의 첫 단추는 고대의 신화가 가지는 다문화 상상력의 논의들을 찾아 현대의 담론과 연결해 새롭게 읽어보는 기회로 삼을 것이다. 다음으로는 실제 수업에서 수행한 다문화 상상력과 신화 상상력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학생들의 발표 안 일부를 제시하면서 신화 상상력과 독서토론 및 융합적 글쓰기의 가능성을 점검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는 『삼국유사』가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도 독서토론과 융합적 글쓰기의 신화 텍스트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는 현재 대학교양 교육에서 그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인문고전 독서토론에 대한 실질적인 방법론을 제시한 것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삼국유사』연구는 학문 간의 소통을 열어주는 통합적 사유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고전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이해는 대학 글쓰기와 토론의 수준을 한층 높여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 여성 신화에 나타난 양성성의 욕망과 문화적 의미작용 연구 - 제주도 무속신화 속 여성의 현대적 의미 해석을 중심으로 -

        표정옥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16

        This paper is to study about a cultural semiotic study about androgyny of female myths, focusing on a modern cultural meaning in <Jachungbi> <Gamunjangagi> <Baekjuto>. This paper is seeking for the meaning of the love. There are three kinds of the love: the love of sweetheart, the love of parents, and the love of husband and wife. The woman shows the androgyny. Yhe first, <Jachungbi> of the <Sekyungbonpuli> is a cultural semiosis to connect the love and farming. <Jachungbi> is not a negative woman, but a positive woman. She expresses the feeling for the sweetheart, changes the action, and endure the pains. The second,<Gamunjangagi> of the ,Samgongbonpuli> has a special respect and love for her parents. She is an independent woman from her parents and fate. She was expelled from her answer by her parents, but she did not bear a grudge against a parent. She developed her life. The third, <Baekjuto> of the <Songdangbonpuli> represents the relationship of husband and wife. <Baekjuto> is very special woman. She is a symbol of the farming, whereas her husband <Sochonguk> is a symbol of hunting. Their marriage cannot be smooth and safe. They are fighting with each other severely to get the force. She suggested their parting with them. She is also an androgyny to develop her life. The meaning of three woman tells the cultural androgyny. The Modern Alpha Girl discourse is not a new concept, but has a deep root in 역folk tales and myths. Therefore, Androgyny is a our archetypal imagination.

      • KCI등재

        애니메이션의 생산동력으로서 신화적 상상력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 미야자키 하야오와 이성강의 작품을 중심으로 -

        표정옥 한국기호학회 2007 기호학연구 Vol.22 No.-

        Modern brilliant visual technique enables us to imagine mythic images and incarnate concrete images in our mind. Particularly, the world of contemporary animation is filled with the storming mythic images. This article is intended to find out mythic images of Japanese and Korean animation. The mythic images of two countries become similar cultural and historical experiences. Miyajaki Hayao and YiSunggang is the representative animation directors at each country. They have three similar common thoughts in their works. The first, they are using mythic meaning reaction with adapting mythic narrative and images. Their animations consume the mythic imagination with transforming original fables and ancient myths. So the mythic meaning forms a stream of consciousness. These two directors make use of myths, folk tale, fables, and legends at will. We can observe that these factors function as the mythic meaning. The second, they are focusing on the “girl images” to show multilateral desires. The two countries experience the bad historical events. The Korean peoples experience war and colonial times, whereas the Japanese people also experience the second world war. The girl image becomes a key term in two countries. The girl image represents the boy, the mother, the father, the nation, and the pure. The meaning of mid-teenage girl means cultural productive metaphor. The girl images include three symbolic meanings as like androgyne, liminal being, and modernity. The third, they are using the principle of bilateral sides, which is referred to as the evil and the good. However, they are not precise binary oppositions. This contrary meaning provides a new productive meaning in two directors. Mythology is a parole of history, so we can read a mythic metaphor beyond the historical cultures. This is the work of cultural semiosis. Animation is the signifier of myth, so we can read the signified of myth.

      • KCI등재

        비대면성 가상 공간 시대의 새로운 공동체를 재구축하는 놀이 상상력 연구

        표정옥,유웅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22 인간연구 Vol.- No.46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ludic imagination of whether we can reconstruct our human relationships while experiencing a new community in a virtual space in the non-face-to-face era. We also looked at how philosophy can induce non-face-to-face communities to form. It was a process of reconstructing a new community through ludism in the non-face-to-face era, and we tri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ree games. First, it is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imulation phenomenon in which the media space and the real space overlap due to COVID-19 and how to participate in the play. Second, we will look at the meaning of ludism and communication in hybrid education. Online and offline, that is, O2O methods that combine virtual and physical spaces, can be viewed as hybrid. Current play should make the best use of these hybrid properties. Third, I tried to examine the spatiality of play by finding alleys, a new space for limited space. This article examine the meaning of the newly created play space and try to reflect on how to utilize the playability of this space in education. Currently, non-face-to-face play is changing the bond and communication method of play. 본 연구는 비대면 시대에 가상 공간에서 우리가 새롭게 공동체를 경험하면서 우리의 인간관계를 재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놀이 상상력을 살펴보고자 했다. 정보와 기술이 결합된 사이버 공간은 우리 사회의 비대면 언택트(Untact) 경향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비대면성이 구축하는 새로운 문화 패러다임은 우리 일상의 놀이 문화를 변화시켰다. 본 논문은 놀이의 어떠한 방법과 철학이 비대면성의 공동체를 구성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비대면 시대의 놀이성을 통해 새로운 공동체를 재구성해 보는 과정으로 세 가지의 놀이의 특성을 살피고자 했다. 첫째, 코로나로 인해 미디어 공간과 현실의 공간이 겹쳐지는 시뮬라시옹 현상에 대한 이해와 놀이 참여 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둘째, 하이브리드 교육의 놀이성과 소통성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았다. 온라인(Online)과 오프라인(Offline) 즉 가상과 물리 공간이 융합된 O2O(Online to Offline) 방식을 하이브리드로 볼 수 있다. 현재의 놀이는 이런 하이브리드 속성을 최대한 잘 활용해야 한다. 셋째, 리미널리티의 공간이 가지는 새로운 공간인 골목 찾기로써 놀이의 공간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만들어지는 놀이 공간의 의미를 살피고 교육에서 이 공간의 놀이성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성찰을 시도했다. 현재 비대면 놀이는 그간 놀이가 가졌던 유대감과 소통의 방법을 새롭게 변화시키고 있음을 살폈다.

      • KCI등재
      • KCI등재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영상적 기법의 담론 연구 - 태평천하의 인물 재현의 영상성과 미장센 -

        표정옥 한국어문학회 2005 語文學 Vol.0 No.90

        <The Peaceful World> uses a unique technique in narrating characters. The characters described in this novel looks as like a Mise-en-scene in film. In this article, the technique of representing characters is studied through narrative ludism and character mise-en-scene. The First, the negative character is narrated by a counter-value and the mise-en-scene of a character. The second, the narrative of Pansori is used to focus on the satire of a character. The third, the linguistic carnivalism is used to reveal the mise-en-scene of character's negative personality. The three methods of showing mise-en-scene can be understood as a harmonious montage. The narrative style like this mies-en-scene can be said with 1930s' narrative. Yi Sang and Bak Tae Won has been studied with filmic writing skill. These writers of 1930s can be dealt with Japanese Film of 193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