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화콘텐츠 2.0,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 문화콘텐츠에서 인터콘텐츠로

        태지호 ( Jiho Tae ) 콘텐츠문화학회 2019 콘텐츠문화연구 Vol.1 No.-

        문화콘텐츠익 탄생이 10년이 넘었다. 문화콘텐츠는 특정 집단에게만 통용되거나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일반 명사가 되었다. 그럼에도 ‘문화콘텐츠가 무엇인지’에 대한 문세는 여전히 남아 있는 숙제이다. 문화콘텐츠는 개별 연구자와 관련 집단에 따라 다양한 정의를 가지고 있다. 문화콘텐츠에 대한 접근은 세 가지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문화적 요소, 매체, 문화적 소재가 매체와 결합되어 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보는 관점으로 정리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지난 시간들을 문화콘텐츠 1.0의 시기라 규정하고, 지금 이후를 문화콘텐츠 2.0의 시기로 설명하겠다. 1.0과 2.0은전환이라는점에서 의미가 부여된다. 이 작업을 통해 문화콘텐츠의 그간 담론이 어떠한 관점에서 제기되었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와함께 문화콘텐츠 1.0의 유산을 통해 문화콘텐츠 2.0은 어떠한 방향성을 가지고 모색할 수 있는지 살 펴보고자 한다, 학문의 지속과 발전을 위해서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이에 필요한 것이 인터콘텐츠이다. 인터콘텐츠(inter-contents)는 문화콘텐츠를 문화적 실천으로 인식하고 그것들 간의 일상성과 국면적 의미에 주목하는 개념이다. 인터콘텐츠의 관점에서, 문화콘텐츠를 문화적 실천으로 인식한다는 것은 문화콘텐츠에 대한 재화적 가치에 대한 입장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문화콘텐츠가 ‘평범한’ 대중의 일상 영역에서 생산되고 소비되는 일련의 문화적 실천들과 연관됨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인터콘텐츠가 국면적 의미에 주목한다는 것은 우리 사회의 다양한 담론들이 구성되며, 그것이 변환되는 양상으로서 문화콘텐츠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The birth of cultural contents has been over 10 years. Cultural content has become a common noun, not just a particular group of people. Nevertheless, the question of 'what is cultural content' is still a remaining question. Culture contents have various definitions according to individual researchers and related groups. The approach to culture contents started from three perspectives. Cultural elements,media,and cultural material are combined with media to create value. In this article, we will describe the past times as the period of Culture Contents 1.0, and I will explain the time after that as the period of Culture Contents 2.0. Those 1.0 and 2.0 are meaningful in terms of transition. Through this work, we try to understand from what point the discourse of culture contents is raised. In addition, through the legacy of Culture Contents 1.0, we will examine the direction of Culture Contents 2.0. In order to maintain and develop the disciplin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culture contents. What is needed is inter-contents. Inter-contents are a concept that recognizes culture contents as cultural practices and focuses on the meaning of everyday life and nationality among them. From the viewpoint of inter - contents, the recognition of culture contents as cultural practice means that the culture contents should be deviated from the value of cultural value. It also emphasizes that culture content is associated with a series of cultural practices that are produced and consumed in the everyday realm of the 'ordinary* public. Finally, the fact that the inter-contents attract attention to the meaning of the national dimension means that various discourses of our society are constituted an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culture contents as the aspect of transformation.

      • KCI등재

        중국의 항미원조기념관을 통해서 본 한국전쟁의 기억과 정치적 함의

        태지호(TAE Jiho),정헌주(JUNG Heonjoo)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4

        본 논문의 목적은 중국 단둥에 위치한 항미원조기념관을 통해 중국이 한국전쟁을 어떻게 기억하는지 살펴보고, 그 정치적 함의를 논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중국에게 있어서 한국전쟁의 중요성, 전쟁 기념이라는 사회적 실천과 정치적 의미, 그리고 문화적 기억으로서 기념관의 의미를 검토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접 항미원조기념관을 방문하여 현지 관찰을 수행하였으며, 기념관이 내포하고 있는 특정한 서사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서사 이론을 활용하였으며, 기념관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과 그에 따른 ?담화? 구성은 어떠한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항미원조기념관은 한국전쟁을 통해 미국의 침략에 맞서 중국과 조선이 정당한 전쟁을 치렀으며, 이 과정에서 영웅들의 헌신적 노력과 조·중간 혈맹관계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서사는 결국 애국주의의 고취로 귀결되는 반면, 당시 북한의 역할, 중국의 내적 갈등과 국제관계 등 많은 중요한 것들은 망각되어진다. 21세기 G-2로 부상한 중국에게 있어서 미국과의 새로운 결전을 준비하는데 필요한 것은 바로 이러한 애국주의이며, 한국전쟁은 그렇게 탈맥락화되어 기억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China"s memory of the Korean War by analyzing ?Memorial of Resisting U.S. Aggression and Aiding Korea (Korean War Museum)? in Dandong, China and to discuss its political implications. First, we take a close look at three existing literature on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War to China, the memory of war as social and political practice, and museum as cultural memory. Then, based on the site visit and observation, we analyze what and how the museum delivers to the audience in order to understand its specific narrative by employing narratology. The paper finds that while the museum remembers the War was a just war as a response to the American imperialism and fought with heroes" dedication and Sino-DPRK friendship, it forgets the role of North Korea, domestic problems of China, and international context. What China, an emerging G2, requires to meet the new challenge is a renewed patriotism for which the Korean War is de-contextualized and remembered as such.

      • 지역 공립 박물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접근: 박물관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중심으로

        태지호 ( Tae¸ Jiho ) 안동대학교 지역사회발전연구소 2023 지역과 혁신 Vol.2 No.1

        본 논문은 지역 공립 박물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모색을 박물관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통해 다루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논문은 지역 공립 박물관의 현 상황을 공립 박물관 평가인증제 및 인증 현황을 통해 진단하였다. 이후의 논의는 현재 지역 공립 박물관의 문제점을 박물관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중심으로 진단하고 그 개선 방향에 대한 제언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지역 공립 박물관의 주체는 송신자와 수신자의 관점으로 나뉘는 데, 각각 해당 지자체 및 박물관 운영 주체 그리고 지역민 및 관람객이 된다. 이에 본 논문은 지역 공립박물관의 양 주체가 박물관을 중심으로 거버넌스를 구축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두 번째로, 박물관 전시의 문제는 메시지와 약호의 관점에서 다루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전시 메시지 및 내용 그리고 전시 기술의 변화 및 차별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로, 공간과 환경의 문제는 접촉과 맥락의 관점에서 다루었다. 이에 대해서는 박물관의 개방성 강화와 지역사회의 맥락을 고려한 비전 제시 및 독립성에 대해 다루었다. 이러한 논의는 결국, 지역 공립 박물관의 운영은 ‘행정적 접근’이 아닌 ‘문화적 접근’을 통해 진행될 때 지역사회에서 박물관의 위상이 재구축될 수 있음을 강조한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deal with the search for revitalizing the operation of local public museums through the museum communication model.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diagnosed the current situation of local public museums through the public museum evaluation certification system and certification status. Subsequent discussions focused on diagnosing the current problems of local public museums, focusing on the museum communication model, and suggesting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of the local public museum is divided into the perspective of the sender and the receiver, and each becomes the local government, museum operator, and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Accordingly, this paper suggested the need for both subjects of local public museums to establish governance around museums. Secondly, the issue of museum exhibitions was dealt with in terms of messages and code. In this regard, this paper presented the need for change and differentiation of exhibition messages and contents, and exhibition technology. Thirdly, the issues of space and the environment were dealt with in terms of contact and context. This dealt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openness of the museum and the presentation of vision and independence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 of the local community. In the end, these discussions emphasized that the status of museums in the community can be rebuilt when the operation of local public museums is conducted through a cultural approach rather than an administrative approac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