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사무직 직급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

        탁진국,홍현숙,이강숙,Tak, Jin-Kook,Hong, Hyun-Sook,Lee, Kang-Sook 대한예방의학회 2002 예방의학회지 Vol.35 No.2

        Objectives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job stressors between managers and low level employees among white-collar workers. Anothe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s of job stressors on mental health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s : Data was obtained from 204 managers and 258 low level employees who were employed in white-collar jobs. Fourteen job stressors and seven job stress variables were measured. Results : Among the 14 job stressors, role overload, job insecurity, and work-family conflict were higher job stressors for the manager group whereas role conflict, work-aptitude incongruity,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and promotion problems were higher job stressors for the low level of employe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job stress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job stressors on job stres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e manager group, job insecurity, work-aptitude incongruity, and work-family conflict significantly affected in explanation of job stress whereas for the low level employees, role underload, peer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significantly explaining the job stress variables. Conclusion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ors between managers and low level employees among white-collar workers. Additio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job stressors on job stress between the two groups.

      • KCI등재

        신입사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환경 변수에 관한 연구

        탁진국,이동하,박지현,김현해,정병석,Tak, Jin-Kook,Lee, Dong-Ha,Park, Ji-Hyun,Kim, Hyun-Hae,Jung, Byung-Suk 한국통계학회 2008 응용통계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신입사원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환경 변수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현 직장이 첫 직장이며 근속기간 6개월 이내인 901명의 신입사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신입사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작업환경 변수를 분석한 결과 직무부합, 임금불만, 복리후생 불만, 회사에서의 비전, 의사결정참여, 현실적 직무안내, 상사불만, 동료관계, 그리고 업무환경 등의 9개 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과정에서 기업유형과 고용형태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조사대상자들을 중소기업과 대 기업으로, 또한 정규직과 비 정규직으로 구분하여 동일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업유형과 고용형태에 따라 이직의도를 설명하는데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미래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various work and environmental variables explaining newcomers' turnover inten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901 newcomers using online survey.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individual-job fit, reward dissatisfaction, fringe benefit dissatisfaction, vision in organization,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realistic job preview, leader dissatisfaction, co-worker relationship and work environment explained significant variances of turnover intentions. Data were classified into full-time and part time employees based on employment type and into a large and a small-medium company based on company size. There were small differences in significant variables explaining turnover intentions based on company size as well as employment type. Finall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혁신 리더십 척도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탁진국 ( Jin Kook Tak ),김찬모 ( Chan Mo Kim ),조은현 ( Eun Hyun Cho ) 한국지식경영학회 2008 지식경영연구 Vol.9 No.1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novation leadership scale. Originally the seven factors with 25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With a sample of 177 employees in a large company, the results of factor analyses showed that the five-factor model with 14 items had a better fit to the data than the seven-factor model. These five factors were innovativeness pursue, problem solving, vision presentation, risk-taking, and showing initiative. All of these facto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various criteria such as identification with the group, attachment to the grou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upervisor satisfaction, confirming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cal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that risk taking and showing initiative were more important predictors in explaining criteria.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key factors of innovation leadership were initiative and risk-taking.

      • KCI등재
      • KCI등재

        직무요구와 직무스트레스 관계에 대한 팀의 관계중시풍토의 조절효과

        김현해,탁진국,Kim, Hyun-Hae,Tak, Jin-Kook 한국통계학회 2010 응용통계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 분야에서 가장 널리 연구 된 직무요구-통제 모형을 팀 수준으로 확대하여 개인 수준에서의 직무요구와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를 재검증 하고, 이 관계를 조절하는 사회적 지지를 팀의 풍토로서 정의하여 팀 수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는 다양한 성격의 19개 조직의 34개 팀에서 수집하였으며 분석 결과, 개인 수준에서 직무요구가 직무스트레스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팀의 관계중시풍토는 직무요구와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팀의 관계중시풍토는 리더의 개인배려행동과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 그리고 미래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Demand-Control model has been one of the most popular theoretical models to explain job stress. This study extends the Demand-Control model to the team level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job stress to test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eam relationship clim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job stress. Data were collected from 34 teams across 19 organizations and analyzed using HLM. The results showed that job demand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stress. Based on the team level analysis, the team relationship climate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job stress. In addition, the consideration behavior by the leade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eam relationship climate.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조직공정성과 종업원 행동과의 관계: 최고경영자 및 상사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

        조은현,탁진국,Cho, Eun-Hyun,Tak, Jin-Kook 한국통계학회 2009 응용통계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신뢰와 상사신뢰를 구분하고, 이러한 신뢰의 유형이 조직공정성과 종업원 행동 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검증하였다. 국내 18개 회사 4,05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AMOS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모두 상사신뢰보다 CEO신뢰에서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CEO신뢰와 상사신뢰는 조직공정성과 종업원 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특히 절차공정성은 분배공정성 보다 CEO신뢰와 상사신뢰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뢰의 유형이 종업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미래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s of trust in CEO and supervisor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mployee behaviors. Data were collected from 4,055 employees across 18 different companies in Korea. Employees were asked to answer on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two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i.e.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were used. Employee behaviors were measured using counter-produc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hypothesized fully mediated model better fitted the data. Relative to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was more strongly related to both trust in CEO and trust in supervisor.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dimensions of trust and the two types of employee behaviors. These results showed that procedural justice is more important in enhancing trust in leader.

      • KCI등재

        리더의 코칭리더십이 조직원의 업무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도전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정아 ( Junga Lee ),탁진국 ( Jinkook Tak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코칭리더십이 조직원의 업무민첩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직무도전성을 매개변수로 하는 메커니즘을 분석하여 코칭리더십의 유효성을 밝히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중견기업에 1년 이상 근무 중인 사무직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Process Macro 4.2와 Mplus 8.0 프로그램을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내용은 코칭리더십과 업무민첩성의 관계에서 직무도전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연구결과 코칭리더십이 업무민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도전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리더십 차원에서 조직원의 업무민첩성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으로 코칭리더십의 직접적인 유효성을 검증하였고, 리더의 코칭리더십이 조직원의 직무도전성을 강화함으로써 업무민첩성을 향상하게 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이로써 코칭리더십과 업무민첩성에 관한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고 리더십과 직무도전의 관점에서의 실무적 적용방안을 제시한 점에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oaching leadership, job challenge and work agility.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hallen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work agility. Data were collected among 350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various companies via onlin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coaching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challenge and work agility, and job challeng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work ag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코칭 리더십이 인사평가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상사신뢰와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승중(Seung Jugn, Kim),탁진국(Jinkook Tak)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의 성과관리 성공모형을 제시하는데 있다. 성과관리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준거변인으로 피평가자인 직원이 인식하는 인사평가효과성을 설정하였다. 인사평가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으로 상사의 코칭 리더십을 설정하였다. 인사평가 결과는 구성원의 이해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 평가제도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과 태도가 평가제도의 성공적인 운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상사의 코칭 리더십이 어떤 심리적 매커니즘을 거쳐서 인사평가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직원이 인식하는 상사신뢰와 조직신뢰를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의 대기업과 중견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현직자 중에서 현재 직장에서 3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75개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코칭리더십이 인사평가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칭 리더십은 상사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사신뢰는 조직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신뢰는 인사평가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신뢰와 조직신뢰는 코칭 리더십과 인사평가효과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organization"s performance management success model. As a criterion variable that measures the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management,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effectiveness recognized by the employee who is the subject of the evaluation was set.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supervisor was set as a leading variable that affects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effectiveness. As the results of performance apprasia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mployees, it is expected that the employee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 performance apprasial will affect the successful operation. By setting the boss trust and organizational trust recognized by employees as mediators, we analyzed how the manager"s coaching eadership affects the performance apprasial effectiveness through which psychological mechanism. For this study, 275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those who have been working for more than 3 years at the current workplace among incumbent workers in large and medium-sized companies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coaching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effectiveness. Coaching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boss trust, and the boss trus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 trust. Organization trus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effectiveness. It was found that the boss trust and the organization trust sequentially mediated the effectiveness of coaching leadership an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effectiven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