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4시간회상법과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을 이용한 농촌지역 노인의 영양소 섭취수준 비교

        영은(Young-Eun Cho),이수림(Soo-Lim Lee),조은현(Eun-Hyun Cho),Ria-Ann L Lomeda,곽은희(Eun-Hee Kwak),김양하(Yang-Ha Kim),권인숙(In-Sook Kw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6

        본 연구는 24시간회상법과 식품섭취빈도조사지를 이용하여 농촌지역 노인들의 영양소섭취량을 비교분석하였으며, 두 식이섭취조사방법 간의 상관성 및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농촌지역 60세 이상 노인 168명(남자 89명, 여자 79명)이었으며,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67세(남 69, 여 66)였으며, 평균신장은 158 ㎝, 평균체중은 58.4 ㎏으로서, 본 연구의 농촌지역 남녀 노인의 평균신장 및 체중은 한국인 65~74세의 평균체중 및 신장보다 낮았다. 24시간회상법과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의 상관성 비교(Pearson's correlation)에서 남자노인의 식이섬유소 섭취량만이 p<0.01 수준에서 유의성을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영양소에서는 모두 낮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상관관계에서 비록 통계적 유의성을 보여주지는 못했지만 열량 및 대부분의 열량영양소들의 섭취량은 24시간회상법 및 식품섭취빈도조사법 모두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무기질(Ca, Na, K, P, Fe, Zn, Cu, Mn, Se) 및 비타민 (비타민 A, thiamin, riboflavin, niacin 및 비타민 C) 섭취량에 대한 24시간회상법과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의 상관성은 비록 유의적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무기질 및 비타민 섭취량은 24시간회상법 및 식품섭취빈도조사법 모두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 식이섭취조사방법에 의한 특정 농촌지역 노인들의 무기질 및 비타민 섭취량 측정은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24시간회상법과 식품섭취빈도조사법에 의한 각 영양소의 영양권장량(RDA) 및 영양기준치(NRV)에 대한 비교에서, 각 영양소의 섭취량은 두 식이조사방법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열량, 단백질, 지방 등의 대량영양소 및 대부분의 무기질, 비타민 모두에서 식품섭취빈도조사법에 의한 영양소 섭취율이 24시간회상법에 의한 섭취율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이 조사방법의 특성상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섭취율보다 높게 나올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인 농촌지역 노인인구 집단의 영양소섭취량 조사를 위해서는 24시간회상법 및 식이섭취조사법 모두를 사용함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본 연구조사에서 여자노인의 경우는 남자노인에 비해 모든 영양소에서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의 경우가 영양소섭취량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동물성 영양소의 경우가 더 두드러졌다. 이는 농촌지역 여자노인들의 식물성 위주의 식품섭취가 예상되며 따라서 농촌여자노인의 영양상태가 남자노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불량할 것으로 예측된다. 24시간회상법과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을 이용하여 농촌지역 노인들의 영양소섭취량을 측정하여 비교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비록 두 식이섭취조사방법 간에 높은 상관성은 보여주지 못하였지만, 영양소섭취량은 두 방법 간에 비슷한 수준을 보여주어, 본 연구대상 특정 농촌지역 노인들의 영양소섭취량 조사에 24시간회상법 및 식품섭취빈도조사법 모두가 사용될 수 있음을 예견하였다. 노인인구 대상으로 보다 정확한 영양소 섭취량 측정을 할 수 있는 식품섭취빈도조사지 개발이 시급한 요구로 제시된다. Precise and correct assessment of nutrient intake using appropriate dietary intake method is necessary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target people group. It is more likely so in elderly people since their dietary habits and inadequate nutrient intakes are of special concern even worse in rural areas. Two popular methods of gathering dietary intake are 24-hour recall and food frequency method (or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n the present study, we conducted both 24-hour recall and food frequency method on 120 rural elderly people (aged 65~74 years), 62 male and 58 female. The dietary intakes were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of the dietary intake between 24-hour recall and food frequency metho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between two methods. Also each nutrient intake was compared to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RDA) or nutrient reference value (NRV) as appropriate. Even correlation did not show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methods except for dietary fiber intake (0.65 at p<0.01) and energy-yielding nutrients which mostly showed similar results with nutrient intake level. These support the possible reliability between 24-hours record and food frequency method that is also shown on the cases of most mineral and vitamin intakes. Thus, the food frequency method used in this study for the assessment of nutrient intakes of the elderly people would be reliable for the assessment of the nutrient intake along with the 24-hour recall. Also, the present study results suggested that rural female elderly people would be under optimal nutriture status due to the lower food intake measured by 24-hour recall. The optimal food frequency method would be considered to be developed for the precise nutrient assessment.

      • KCI등재

        조직공정성과 종업원 행동과의 관계: 최고경영자 및 상사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

        조은현,탁진국,Cho, Eun-Hyun,Tak, Jin-Kook 한국통계학회 2009 응용통계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신뢰와 상사신뢰를 구분하고, 이러한 신뢰의 유형이 조직공정성과 종업원 행동 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검증하였다. 국내 18개 회사 4,05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AMOS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모두 상사신뢰보다 CEO신뢰에서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CEO신뢰와 상사신뢰는 조직공정성과 종업원 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특히 절차공정성은 분배공정성 보다 CEO신뢰와 상사신뢰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뢰의 유형이 종업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미래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s of trust in CEO and supervisor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employee behaviors. Data were collected from 4,055 employees across 18 different companies in Korea. Employees were asked to answer on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two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i.e.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were used. Employee behaviors were measured using counter-produc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hypothesized fully mediated model better fitted the data. Relative to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was more strongly related to both trust in CEO and trust in supervisor.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dimensions of trust and the two types of employee behaviors. These results showed that procedural justice is more important in enhancing trust in leader.

      • KCI등재

        혁신 리더십 척도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탁진국 ( Jin Kook Tak ),김찬모 ( Chan Mo Kim ),조은현 ( Eun Hyun Cho ) 한국지식경영학회 2008 지식경영연구 Vol.9 No.1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novation leadership scale. Originally the seven factors with 25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With a sample of 177 employees in a large company, the results of factor analyses showed that the five-factor model with 14 items had a better fit to the data than the seven-factor model. These five factors were innovativeness pursue, problem solving, vision presentation, risk-taking, and showing initiative. All of these facto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various criteria such as identification with the group, attachment to the grou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upervisor satisfaction, confirming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cal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that risk taking and showing initiative were more important predictors in explaining criteria.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key factors of innovation leadership were initiative and risk-t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