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 · 후기 노인의 취업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최희정(Choi, Hee-Jeoung)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노인복지연구 Vol.73 No.3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취업 영향요인을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한 연구로,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제2차(2008년)~제5차(2014년)까지 4개년의 자료를 활용하여 패널 로짓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노인의 취업에 성별, 연령, 학력수준, 거주지역, 주관적 건강, 가구총소득과 총자산, 그리고 기초연금 수급여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면 후기노인은 성별, 연령, 학력수준, 거주지역 뿐만 아니라 배우자 유무와 독거여부 또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기노인과 달리 건강적요인, 경제적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정리하면, 인구사회적 요인은 후기노인이 더 크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건강적 요인에서는 전기노인의 경우 주관적 건강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파악되었다. 경제적 요인에서는 전기노인의 경우에만 가구총소득 및 총자산과 기초연금 수급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 임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전 · 후기노인의 취업을 위한 실천적 개입방안과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employment of elderly over 65 years old.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compli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from the year 2008 to 2014 and panel logit random effect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is figured out that the young-old is affected by sex, age, educational level, residential district, subjective health status, household income and total assets, and whether to receive a basic pension. Second, on the other hand, the old-old is affected not only by sex, age, educational level, residential district but also by a presence of spouse and whether to live alone. Also, unlike the younger elderly, Health and Economic factors showed no significant results. In summary, the older elderly was more affected by socio-economic factor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young-old’s employment. In economic factors, it was proved that household income, total assets and basic pension are main variables on only the young-old’s employ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ractical intervention and policy to enhance the employment of the elderly were discussed.

      • 일본의 ‘과학적 개호 정보시스템(LIFE)’ 구축 배경과 추진 방향

        최희정 ( Choi¸ Hee-jeo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국제사회보장리뷰 Vol.26 No.-

        일본은 인구의 초고령화로 인한 사회보장비의 급증과 개호 인력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후생노동성에서 자립 지원과 중증화 방지를 목적으로 효과적인 개호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2021년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과학적 개호 정보시스템(LIFE)을 도입했다. LIFE에 전국의 개호 시설·사업소 이용자의 상태와 케어 상황 등의 데이터가 축적·분석됨에 따라 시설·사업소와 이용자에게 근거(evidence)에 기반한 피드백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고, 개인의 삶의 질 및 사업의 효율성 향상 등 전체적인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내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 사회보장비 억제 효과, 고령자 개인 차원에서 건강수명 연장(자립생활 연장)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만큼 한국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With its social security spending growing rapidly and the thinning home care workforce becoming a serious issue, the Japanese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implemented LIFE, a long-term care information system, in 2021 with the aim of making in-home care services effective so as to promote self-reliance and prevent severe conditions from developing among older adults. LIFE, with a growing amount of data gathered from across the country on in-home care facilities and offices and service users and the status of their service receipt, is now able to provide evidence-based feedback information to providers and users alike. The Japanese government anticipates that the information system will help foster an encompassing virtuous cycle of less social security spending for the government, increased trust and work efficiency for providers, and enhanced quality of life and increased health life years (increased years of independent living) for older adults. The Japanese experience can have valuable implications for Korea.

      •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수준과 삶의 만족도 관계

        박서영(Seo-Young Park),최희정(Hee-Jeoung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4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주관적 기대감(생활수준 및 정부정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에서 활용된 자료는 한국노동연구원의 2012년 제4차 고령화연구패널 조사이며, 베이비붐 세대인 1955년생부터 1961년생 1,75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SPSS 21.0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였으며,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에 소비수준이 미치는 효과는 주관적 기대감에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주관적 기대감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서 이론적 ·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onsumption level on the life satisfaction of baby-boom generation and further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expectation(standard of living and government policy). This research uses the panel survey to explore ageing society in 2012 made by Korean Labor Institute, which studied l,756(born in 1955~1961). SPSS 21.0 Package was applied to analyze the date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first, the findings show that as the consumption level increases,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baby-boom generation goes up. Second, the findings reveal that subjective expectation partially mediates the influences of consumption level on the life satisfaction of baby-boom generation. This study further discusses the theore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 of the direction properties on baby-boomer based upon the results of the study.

      • KCI등재후보

        노인의 취업유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최희정,정규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연구소 2016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취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으며, 한 시점에서 노인의 재취업 여부를 다룬 다른 연구들에 비해 취업 후,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데 초점을 두고 분석, 고찰하였다. 연구에서 활용된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년도(2006년)~5차년도(2014년)이며, 1차년도 조사 당시 65세 이상 노인 총 1,46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2.0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적 요인, 경제적 요인, 제도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학력, 배우자 존재 기간, 우울증, 가구 총소득, 가구 총자산, 국민기초생활수급 기간, 국민연금 수급기간이 노인의 취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노인들이 퇴직 후에도 취업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of the elderly’s job retention, and it focused on the job retention rather than the reemployment itself which is widely studied before. The data of the study were drawn from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compli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from the year 2006 to 2014, and this study analyzed 1,466 people who were over 65 years when conducted in the year 2006. Data were analyzed by SPSS 22.0,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test research model. Analyzed by population sociological, health, economic and institutional factors, the elderly’s job retention was affected by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period of the partner’s existence, depression, gross income of household, total assets of household, period of receiving national basic livelihood guarantees, period of receiving national pen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 for the elderly’s job retention after retirement.

      • KCI등재후보

        농촌 지역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기간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관계와 사회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규형,최희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연구소 2016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기간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관계 및 사회생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에서 활용된 자료는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2012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 실태조사이며, 농촌 지역(읍・면지역)에서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 29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이변량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농촌 지역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기간이 길수록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촌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기간이 미치는 효과는 사회관계 및 사회활동에 의해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농촌지역 노인일자리사업의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articipation duration of ‘Employment Promotion Programme for the Elderl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and further examines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relations and social activity. This study uses the Survey of ‘2012 Employment Promotion Programme for the Elderly’ conducted by 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for analyses. A total number of 292 elders whom has participated in the employment promotion programme are included in the study. For the analyse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re employed and PROCESS macro program is used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and lastly bootstrapping is use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As a result, first, the findings show that as the level of participation duration increases,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goes up. Second, the findings reveal that social relations and social activity partially mediates the influences of participation duration in employment promotion program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is study further discusses the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 of ‘Employment Promotion Programme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 based upon the results of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