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베르크손은 일원론자인가

        최화(Roi Tchoe) 한국철학회 2009 철학 Vol.0 No.98

        들뢰즈 이후 베르크손이 일원론자라는 논의가 활발하다. 그러나 그런 논의는 이미 책이 나온 다음 해부터 『창조적 진화』의 제3장, 특히 “물질의 관념적 발생”이라는 부분을 두고 이루어졌었다. 한 서한을 보면 그 부분에서 논의된 신에 대하여 베르크손은 명백히 “물질과 생명을 동시에 낳는다”고 하면서도 “일원론과 범신론 일반의 논박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물질과 생명을 통시에 낳는 신을 이야기 하면서 어떻게 일원론은 아니라 하는가? 베르크손 철학의 전체적 성향이 그럴 뿐 아니라 제3장의 논의 전체를 통 털어 검토해 보아도 계속해서 이원론의 불가피성을 강조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그러므로 문제는 결국 물질의 발생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이다. 물질은 분명 생명과 정반대 방향의 원리이지만, 그 자체 완전히 죽은 것이 아니라 일정 정도의 에너지를 함유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것이 그런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창조력의 부양을 일단 받은 다음 다시 자신의 원래 방향으로 내려가고 있다고 해야 한다. 생명이 올라가는 길이고 물질이 내려가는 길이라면 물질이 내려가기 위해서라도 어느 정도 올라와 있어야 내려갈 수 있다. 바로 그렇게 올린 것이 물질의 발생이며 그와 같은 힘은 생명과 같은 창조력일 수밖에 없다. 이렇게 이해하면 왜 창조력이 “물질과 생명을 동시에 낳”으면서도 계속 이원론은 유지될 수밖에 없는지도 이해할 수 있다. 들뢰즈의 긴장-이완론도 물질과 정신의 관계를 마치 동일한 용수철이 늘었다 줄었다 하는 것처럼 이해하는 것으로서 그것은 베르크손의 이론을 공간적으로 표상하는 것이며, 특히 긴장은 단지 용수철이 수축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질적인 새로운 것의 창조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지속과 ‘차이의 존재론’

        최화(Tchoe, Roi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61 No.-

        “Bergson, 1859-1941”에서 들뢰즈에 따르면 사물의 본래 모습은 운동이며, 그런 한에서 차이이다. 그것은 운동이므로 차이화라는 동적인 것으로 파악되며, 그것이 곧 지속이다. 지속은 움직이는 것이므로 차이 나는 것이며 본성을 바꾸는 것이고 자기 자신과 다른 것이다. 지속은 본성의 차이가 나는 것인데 본성의 차이는 곧 경향의 차이이며 그것이 생의 진화과정에서는 잠재적 성향이 현실화하는 차이화의 과정으로 나타난다. “La conception de la différance chez Berson”에서도 대체로 비슷한 논조를 따르고 있지만 지속을 차이로 해석한 이유가 드러난다. 거기에서 들뢰즈는 지속은 자기 자신과 다른 것이고, 반대로 물질은 자기 자신과 다르지 않은 것, 반복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사실은 정 반대로 지속이 자기 자신과 같은 자기동일성을 유지하는 것이고 물질은 끊임없이 타자화하는 것이다. 지속은 기억을 가지므로 변함에도 불구하고 자기 동일성을 가지는 것이며, 반대로 물질은 기억이 없으므로 끊임없이 타자화하는 진동이자 흐름이다. 들뢰즈의 이런 오해의 근저에는 그의 “차이의 철학”이 깔려 있다. 사물의 근저는 운동이고 차이화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무시하고 동일성의 “표상의 논리” 쪽으로 서양철학사를 끌고 온 것은 플라톤의 결단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형이상학은 누구의 결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사실이냐 아니냐만이 중요하다. “모든 것이 흐른다”는 철학은 우선 논리적으로도 자기모순을 포함하고 있을 뿐 아니라 수학적 존재자들처럼 흐르지 않는 것이 있기 때문에 성립할 수 없다. 동일성의 철학을 깨려면 동일성의 원리를 깨야 하는데 그것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In the article “Bergson, 1859-1941,” Deleuze holds that the reality of things consists of movement; accordingly, with a difference. As movement, the differentiation is the duration. The duration, as movement, differentiates itself, changes its nature, and differs therefore from itself. Because duration is movement and differentiates its nature, the difference in nature is revealed as a difference in tendency, such that the process of life evolution becomes a process of differentiation, where virtual tendencies become actualized. In the article “La Conception de la Différence chez Bergson,” Deleuze’s arguments follow a similar path but divulge why he interpreted duration as difference. There, he holds that duration differs from itself but that the matter is not different from itself and in fact repeats itself. The truth is exactly contrary to this. Duration is identical to itself and maintains a self-identity, but the matter constantly differentiates from itself. Duration, in virtue of memory, maintains its self-identity, but the matter, owing to its lack of memory, is a vibration or flux that always differentiates itself from itself. At the background of this misunderstanding is his “ontology of difference.” Deleuze says that Platon concluded, after his decisio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as the “logic of representation” and identity, neglecting the fundamental of reality, which is movement and differentiation. However, metaphysics cannot be determined through a decision made by someone. The only aspect that matters is if it is fact or not. “All things flow” is a thesis that not only implies a self-contradiction but also cannot stand due to unchangeable factors such as mathematical entities. For the destruction of the philosophy of identity, we require the destruction of the principle of identity, which is not yet accomplished.

      • KCI등재

        박홍규와 형이상학

        최화(Tchoe, Roie) 한국서양고전학회 2019 西洋古典學硏究 Vol.58 No.2

        박홍규는 자신의 새로운 형이상학을 말하기보다는 형이상학 자체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힘쓴 것으로 보인다. 니체 이후 최근 들어서는 포스트-모던 철학자들이 “형이상학의 극복”을 외치고 있지만 그것은 다 형이상학이 무엇인지를 모르고 하는 주장이다. 하기야 그것은 형이상학의 내용이 무엇인지가 역사적으로 확정되지 않은 채 내려왔다는 사실에도 책임이 있다. 그러나 박홍규는 형이상학이 플라톤에서 성립했다고 생각한다. 형이상학은 무엇보다도 먼저 “epistēmē”, 즉 참된 인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것은 데이터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다음으로 모순율이 최고의 법칙이 된다. 모순율이란 한 사물에 대해 동일한 관점에서 동시에 존재와 무를 충돌시키지 말라는 법칙이고 그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 이데아이다. 다음으로는 이데아와 정반대의 성질을 갖는 아페이론이다. 그것은 존재도 무도 아닌 원리이다. 그것을 거꾸로 말하면 이데아란 존재와 무가 대립되어 존재만 남는 원리를 말한다. 그리고 그 둘은 성질이 반대이므로 가만히 두면 서로 외면할 뿐 섞이지 않으니, 이 둘을 섞어주는 원리인 포이운이 필요하다. 그것은 존재도 무도 아닌 것을 존재로 끌어올리는 능동적 원리이다. 이 세 원리가 합하여 세계의 사물을 성립시키는 것이고, 그 세 원리로 사물을 환원시켜야 전체와의 연관성이 주어지고, 사물을 형이상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된다. 그 세 원리는 또한 세계의 사물을 분류하는 원리도 된다. Hong-Kyu Park doesn’t seems to try to say his own metaphysics, but to clarify what is metaphysics in it-self. From Nietzsche to post-moderns recently, people have proclaimed “surpass the metaphysics”, but that proclamation is due to their ignorance of what the metaphysics is. Of course, such ignorance comes, partly, from the fact that the contents of the metaphysics is transmitted quite vaguely, that is to say, not definitely in historical point of view. Now, Hongkyu Park thinks that the metaphysics is established by Plato (He as well as Aristotle didn’t know the name of metaphysics, so as that it’s rather Plato, not Aristotle, who established philosophical way of thinking). Metaphysics is most of all “epistēmē”, that is, the true connaissance. That is because it have to be based on the data. Next, the principle of contradiction is the first of all the principles. The principle of contradiction means that you cannot make collision between the being and the non-being for a thing at the same time and in the same point de view and the only thing in the world which such non-collision happen absolutely is the Idea. The next principle is the Apeiron which is opposition to the Idea and which is neither being nor nothing. Inversely, the Idea is a principle which rest only being, being opposed to nothing and nothing disappeared by it-self. Because the Idea and the Apeiron, left to themselves, can’t be mixed, because of their opposed natures, we need an other principle, Poioun, which makes them mixed. It is an active principle which elevates to being what is neither being nor nothing. Such three principles establish together all things. And for bind things to whole you have to connect the things to the three principles. so that you can explain things metaphysically. Such three principles become at the same time principles of classifying the things.

      • KCI등재

        제논의 네 번째(스타디움의) 역설

        최화(Tchoe, Roi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 Vol.57 No.-

        제논의 네 역설 중 스타디움의 역설은 역설임이 부인되곤 했다. 역설의 내용을 전해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에서의 내용도 불분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원문에 충실하게 해석해 보면 그리 불분명한 것도 아니다. 사실 전통적 해석도 내용상 우리와 별로 다르지 않은데, 그에 따르면 스타디움의 한 가운데 멈춰 있는 덩어리들의 중간에서부터 동일한 크기의 두 덩어리들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 그들은 멈춰 있는 것의 반을 지나가는 동시에 반대로 움직이는 것은 그 두 배의 거리를 가게 되고, 이때 동일한 시간이 반과 그 두배가 된다는 결과가 나오므로 역설이라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 이래로 이것은 정지한 것과 반대로 움직이는 것을 지나가는 거리는 두 배가 된다는 당연한 것을 역설이라 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생각되어 왔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브로샤르, 라셜리에, 자피로풀로 등은 각 덩어리(“?γκο?”)를 공간의 최소단위로 생각하고 그것이 다시 나누어지는 결과가 되므로 역설이 성립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역설은 공간의 어떤 성질 때문에 생기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면 역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이 역설은 다른 역설들이 암암리에 전제하고 있던 것, 즉 시간과 공간의 혼동을 가장 적나라하게 드러내 보여주는 것이었기 때문에 현대인들에게 역설로 인정되기가 어려웠다. 제논은 시간을 한쪽으로 제쳐놓고 그것이 간 거리를 곧 시간이라 생각하여 같은 시간 중에 하나가 다른 것의 두 배라고 한 것이다. 이 혼동을 깨면 역설은 풀린다. 이것이 베르크손의 해법이다.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French philosophers attempted to solve Zeno’s paradox of the stadium. So, Brochard, Lachelier and Zafiropulo considered the “?γκο?” as the minimum unit of space and, if some “?γκοι” move, on the one hand, along with the stationary “?γκοι,” and along with the contrarily moving “?γκοι,”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is that they divide “?γκο?,” which is the minimum unit of space, into two. This solution is not satisfactory, because the paradox doesn’t depend on the properties of space. Then, Bergson solved the paradox as the result of the confusion between time and space. According to him, the only reason that modern men don’t acknowledge the paradox is Zeno’s frank exposure of the confusion. It is uncontestable that Zeno considered as double amount of time the double distance that was covered by contrarily moving “?γκοι” in comparison with that of stationary ones, which shows perfectly the confusion between time and space.

      • KCI등재

        들뢰즈의 베르크손 원뿔에 대한 해석의 문제점

        최화(Tchoe, Roi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7 철학사상 Vol.66 No.-

        들뢰즈는 베르크손의 원뿔을 꼭짓점=긴장, 밑면=이완이라는 도식으로 이해했다. 그러나 다른 부분의 논의를 고려한다면 꼭짓점에서도 긴장과 이완이 있을 수 있고, 밑면에서도 긴장과 이완이 있을 수 있다고 해야 한다. 물론 긴장은 항상 꼭짓점, 즉 현재와 연관을 맺어야 하지만, 그 현재에서도 긴장과 이완이 있을 수 있다. 우리는 어차피 현재에 있을 수밖에 없지만 그 현재에서도 이완되면 꿈과 같은 잡다한 기억이 나올 수도 있고 긴장하면 점점 더 깊은 기억의 밑바닥까지 갈 수도 있다. 결국 들뢰즈의 도식은 밑면=(기억의) 풍부함, 꼭짓점=(기억의) 빈약함의 도식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풍부한 기억의 밑면으로 가는 길만을 놓고 말하자면 보통 사람의 경우에는 꿈이나 정신병, 혹은 죽으려 할 때에나 전 생애의 기억이 떠오르겠지만, 비상한 천재들에게는 긴장하면서도 기억의 심연에 가 닿을 수 있다고 해야 한다. 예수님이나 부처님과 같은 신비주의자에게는. Deleuze interprets the top of Bergson"s cone of memory as tension and the bottom as relaxation. However, considering the various parts of Bergson" text, one has to think that there can be tension or relaxation at the top as well as at the bottom. Of course, tension is always related to the present, which is the top; but, there can also be tension or relaxation in the present. Even if it is true that we can live only in the present, however, in that present, we can have various memories like in dreams or we can go to the deep bottom of a memory with tension. Finally, the schematic interpretation of Deleuze should be replaced with a scheme in which the top of the cone is abundance (of memories) and the bottom, their meagerness. To speak with the bottom, ordinary people can recall the whole memory of their life only in the moment of death or through dreams or mental diseases; but some geniuses or mystics like Jesus or Buddha, can go to the abyss of memory in tension.

      • KCI등재후보

        플라톤의 운동론

        최화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4 시대와 철학 Vol.15 No.2

        플라톤의 여러 운동의 분류 중에서 다동운동과 자기운동의 극'별이 가장 핵심적이다. 다동운동은 다근 것에서 운동을 전달 받아서 그것을 그대로 다근 것에게 전달하는 운동이지만, 자기운동은 스스로 자기가 자기 자신을 움직이는 운동이다. 자기운동은 운동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동일성과 단일성을 잃지 않는 운동으로서, 항상 제자리로 돌아오는 자전운동의 이미지가 거기에 가장 부합한다. 그것은 페라스와 아페이론과 함께 우주를 설명하는 제3의 일리인 능동인과 다근 것이 아니며, 능동인은 존재도 무도 아닌 아페이론을 각각의 존재가 규정되는 페라스로 끌어올리는 운동이다. 운동했음에도 불구하고 자기동일성을 잃지 않으려면, 운동에서는 필연적인 다자화의과정을 매순간 거꾸로 거슬러 올차가서 자기 동일성을 놓지 않는 "동일화"의 과정이 있어야 하며, 그것이 바로 자기운동의 본성이다. 그것은 필연을 뚫고 이루어져야 하므로 불가능한 것이 가능하게 되는 과정이며, 능력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한편 플라톤은 그러한 자기운동이 모든 운동의 시초이므로 결코 사차지지 않는다고 함으로써 영혼의 불멸을 주장하지만, 시초에 대립된 무는 완전한 무가 아니라 상대적인 무이므로, 그러한 무에서는 얼마든지 생성이 가능하다. 자기운동의 본질적 작업인 제작자체가 없던 것을 있게 하는 것이므로, 자기운동도 무에서 나왔기 때문에 언제 다시 무로 돌아갈지 모근다고 해야 논리적으로 더 타당하다. 그러나 그것은 베르크손이 나타난 이후에나 가능한 비판이며, 자기동일성을 잃지 않는 운동의 존재방식을 확보한 것만으로도 그의 업적은 지대하다 할 것이다. Parmi plusieurs classifications platoniciennes du mouvement, la plus importante est la distinction entre le mouvement transitif et le mouvement automoteur. Celui-la` transmet aux autres chosen le mouvement qui vient des autres, tandis que celui-ci se meut soi-meme. Le mouvement automoteur ne perd pas son identite´ et son unite` malgre` son mouvement. A` ce mouvement s'accorde exactement l'image de la rotation qui revient toujours sur sa place. Il n'est pas autre chose que le poiofin qui est le troisie`me pricipe du Phile`be avec le pe´ras et l'apeiron. Le poiou^n est un mouvement qui e´le`ve, jusqu'au pe`ras re^ve^lateur de l'e^tre, l'apeiron qui n'est ni l'^etre ni le ne´ant. Pour que le mouvement automoteur ne perde pas son identite´ malgre´ son mouvement, it faut qu'il y ait un processus inverse qui remonte l'ine´vitable alterisation de tous les mouvements, et c'est un processus, pour ainsi dire, "identisant". Comme ce processus doit s'accomplir contre la necessite´, it est un processus ou` l'impossible devient possible et, par consequant, o tout se poduit selon la capacite´(dynamis). D' autre part, Platon pre´tend l'immortalite´ de l'a^rne, en disant que le mouvement automoteur ne peut e^tre annihile´ en tant que l'arche´ de tous les movements. Mais le ne´ant qui s'oppose a` l'arche´ n'est pas le ne´ant absolu, mais relatif, et rien n'empe^che qu' a` partir de ce genre de ne´ant vient des e^tres. Comme la production, acte essentiel du mouvement automoteur, est justement d'"amener d'un non-e^tre ante´rieur poste´rieurement a` l'e^tre", it faut dire que le mouvement automoteur puisse retourner au ne´ant a` n'importe quel moment, parce qu'il venait du neant. Mais ce n'est la` qu'une critique re´trospective, et le seul etablissement du statut ontologique du mouvement automoteur constitue de´ja` une immense contribution de Platon a` la pense´e sur la vi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