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폐 결핵과 동반된 파종성 피부 크립토콕쿠스증

        최혜진 ( Hae Jin Choi ),이상화 ( Sang Hwa Lee ),이태훈 ( Tae Hoon Lee ),유광하 ( Kwang Ha Yoo ),이계영 ( Kye Young Lee ),김순종 ( Sun Jong Kim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5 No.6

        Although disseminated cryptococcosis occurs most commonly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particularly those with a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it can occur in immune competent persons. There are no case reports of disseminated cutaneous crytpcoccosis associated with pulmonary tuberculosis in Korea. A 71-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fever and multiple cutaneous nodules. She was finally diagnosed with disseminated cutaneous cryptococcosis accompanied by pulmonary tuberculosis, and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anti-tuberculous medication and fluconazole. She had no apparent predisposing conditions for systemic cryptococcosis.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Tuberc Respir Dis 2008;65:527-531)

      • KCI등재
      • KCI등재후보

        SCEP 기반 진로교육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최혜진(Choi, Hae-Jin),류상희(Ryu, Sang-Hee)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based on SCEP on the career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first and second grader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 and a control group. The career education based on SCEP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 group. The career aware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compared by t-tes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areer education based on SCEP help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prove their career awareness. Among the three domains of career awareness, the SCEP-based career educ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understanding. In sub-factors of self-understanding, the SCEP-based career education improved self-discovery. Second, the career education based on SCEP has been effective in reducing job bias and improving positive values on job-world. Third, the career education based on SCEP had little effects on career attitud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SCEP에 기반한 진로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으로 구성된 2개 집단을 구성하여, 1개 집단은 SCEP에 기반한 진로교육을 실행한 실험집단으로 하고, 나머지 집단은 일반적 교과 수업을 진행하는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진로인식 차이는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SCEP에 기반한 진로교육은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첫째, SCEP에 기반한 진로교육은 초등학생의 자기이해 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이해의 하위요인에서는 자기탐색 수준의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SCEP에 기반한 진로교육은 직업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긍정적 가치를 형성하는 직업세계인식의 수준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SCEP에 기반한 진로교육은 초등학생의 진로태도 수준 향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사립유치원 원장, 원감 및 교사의 유치원 평가 준비과정에 대한 연구

        최혜진 ( Hye Jin Choi ),황해익 ( Hae Ik Hwang ),오경녀 ( Kyung Nyeu Oh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교사교육연구 Vol.48 No.1

        본 연구는 2008년부터 시행된 유치원 평가가 우선 공립유치원에 먼저 실시되고 사립유치원은 2010년부터 시행되는 여건을 고려하여 사립유치원 원장, 원감 및 교사를 대상으로 유치원 평가의 준비·절차·방법·내용·조력활동 등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사립유치원의 교원들이 유치원 평가를 준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유치원 평가 체제가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울산광역시 사립유치원 원장(원감)106명과 교사 137명을 대상으로 유치원 평가의 내용, 유치원평가 준비 및 조력활동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립유치원 원장(원감)과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의 내용, 준비 및 조력활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사립유치원 원장(원감)과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의 내용, 준비 및 조력활동에 대한 인식은 항목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인식에 대한 의견과 준비 및 조력에 대한 의견을 알아봄으로써 사립유치원 교원들의 유치원 평가 준비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ivate kindergarten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awareness on kindergarten assessment at the National Level and tried to find ways of improving kindergarten assessment syst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6 private kindergarten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137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and Ulsan city. This study examined the common awareness, the process and method, assistance activity for kindergarten assessment and make use of result of kindergarten assess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eacher`s awareness for importance of kindergarten assessment`s content and domain was most high in the part of ``appropriateness of safety management`` kindergarten principals(assistant principals) was same, The private kindergarten principals(assistant principals) have a stronger view than the kindergarten teachers that common awareness and necessity of kindergarten assessment in some items. Second, the private kindergarten principals(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have same opinion about the aim of kindergarten assessment. They thought the first aim of kindergarten assessment is ``reconsideration of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national-level``. Third, awareness of private teacher`s necessity on assistance activity was rated higher and the result of evaluation should be opened only the evaluated kindergarten There are some difference among private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private teachers` awareness on the kindergarten assessment These differences should be reflected to help private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and teachers who participate in kindergarten assessment.

      • KCI등재

        유치원 교사와 보육 교사의 자기평가에 대한 비교연구

        최혜진(Choi Hye-Jin),황해익(Hwang Hae-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 자기평가척도를 유치원 교사와 보육 교사에게 적용해 봄으로써 기관유형에 따라 유아교사의 자기평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자기평가 척도의 바람직한 활용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첫째, 유치원 교사와 보육 교사의 교사자질의 중요성에 대한 평가는 일반적 특성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전문적 특성의 하위 문항에 대한 중요성에는 차이가 있는 문항들이 나타났다. 둘째, 기관 유형별로 자기평가 결과에 차이기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전문적 특성 중 교육기술 영역에서 유치원 교사들이 더 높은 자기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관유형 및 배경변인에 따른 자기평가 결과는 교사의 학력, 경력, 연령에 따라 주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는 영역들이 있었다. This research is performed that a self-evaluation scale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is importance as the scale for a self-evaluation of teachers with applying a self-evaluation scale to both kindergarten and child care teachers. Also, this research is accomplished for finding the well-applying method of a self-evaluation scale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after searching the differences of self-evaluation results by the valuables like organization types, a school career, a work career, ages and etc. For this purpose, the importance of the scale and the self-evaluation of teachers should be evaluated by applying self-evaluation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s to 223 teachers who are working for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conclusions are as below. Firstly, there are the differences of the importance and the results of the self-evaluation in accordance with each item of a questionnaire. Secondly, there's no differences of the self-evaluation results for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nursery school teachers by the organization types except educational skill. Moreover, as the results of self-evaluation due to the organization types and factor changes, there's no differences of the results by organization types and school careers. However, the domain by the correlation effects with organization types, careers and ages was found.

      • KCI등재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패턴인식능력에 대한 연구

        최혜진(Choi Hye-Jin),이혜은(Lee Hae-Eun),유수경(Yoo Soo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1

        수학적인 관계 및 규칙성에 대한 인식은 논리 수학적 사고와 문제 해결력, 추론 능력으로 이어질 수 있어 최근 수학교육에서 강조되기 시작한 영역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와 초등학교 1학년에게 다양한 패턴과제를 제공하여 연령 및 패턴유형에 따른 패턴인식능력의 발달 경향을 알아봄으로써 규칙성 영역에서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의 연계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구성시 참고자료를 제공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아의 패턴인식능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더 높게 나타나며 패턴의 표현방식에 따라 사물과 도형의 형태로 제공된 패턴을 숫자패턴 보다 더 쉽게 해결하였다. 패턴의 생성양식에 따라 반복, 관계, 변형 패턴 순으로 패턴인식능력이 발달하고 수개념이 포함된 패턴보다는 수개념을 포함하지 않은 패턴에 대한 인식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패턴관련 수학활동을 구성할 경우 이러한 패턴인식능력의 발달 경향을 고려하여 활동의 위계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Pattern distinction is an important part of mathematics education. Young children can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s, especially regulation, through various patterns.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an awareness of patterns by kindergarten and first-grade students. It seeks to help us understand the tendency of pattern awareness, as well as which pattern types are best suited to kindergarten and or elementary school curriculu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peated rnanova-test, awareness of pattern differs significantly not only with age but also with the type of representative pattern (objects, figures, shapes). [Pattern figures.] Second, awareness of pattern differs significantly not only with age but also with the type of pattern making (repeating pattern, growing pattern, relating pattern). The relating pattern is the most difficult type of pattern making for young children. Third, awareness of pattern differs significantly between number-concept questions and non-number-concept questions. Number concepts are more difficult. We can therefore conclude that age is a significant element in development of pattern awareness. For younger learners, in activities or materials with real objects, repeating patterns are more suitable than more flexible patterns with figures. So teachers and producers can promote a child's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bility by offering more educational materials, environments and mathematical experiences.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직관련 경험에 따른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최혜진(Choi Hye-Jin),이혜은(Lee Hae-E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실제적 운영자인 유아교사의 교직관련 경험 중 교육경력과 현직연수가 교사의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수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전문성 확보에 대한 실제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교육경력과 연수경험이 있는 집단일수록 수학교육에 대한 지식 정도가 높았고 수학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에 대한 인식도 높았다. 특히 수학관련 연수경험이 있는 집단이 교육경력이 높은 집단보다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았는데, 이러한 결과로 수학에 관한 현직 연수 경험이 그 교과를 이해하고 수행하는 데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아교사 대상의 교과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현직 연수 과정의 개발 및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eachers' awareness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This study helps us to identify which influences more on the awareness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a teacher's educational career or training courses. It gives some ideas about how to activate the mathematics education and how to support teachers. Teache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 those who have worked for less than 5 years with no training about mathematics education, those who have worked for less than 5 years with training, those who have worked for 5 years or more with no training, those who have worked for 5 years or more with trai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The longer is the teachers' career with the training about mathematics education, the more they are aware of the goals, the contents, the methods and the evalua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awareness score of the shorter career group with training is especially higher than the longer career group without the training. This means that training is more effective than teaching experience. We can see evidence of an importance of training teachers. So we can gain tips for making the effort to improve mathematical education of early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