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정식 식문화를 위한 테이블 및 식기디자인 개발 연구

        최태옥 ( Taeok Choi ),정건용 ( Geonyong Jeong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6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한류문화 확산 및 보급에 있어 한식이라는 문화의 다양성을 증진시키고, 한정식 브랜드의 이미지를 강화하고자 전라도 지역사례를 중심으로 접근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한정식에 대한 일반적 고찰로서 한정식의 정의와 상차림의 종류 그리고 한정식의 상차림 특징과 반찬의 분류조사를 통해 한정식 테이블과 식기에 대한 디자인콘셉트를 설정한다. 디자인콘셉트 설정 후, 한정식 테이블과 식기 디자인 개발을 위해 선행조사로 전통적인 밥상과 식기의 종류와 형태 그리고 국내외 식문화 사례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한정식의 특징은 서양의 비해 코스요리보단 반상차림으로 이뤄지고 있었으며, 반상차림에 있어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로 반찬이 배열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조사 이후 페르소나 방법론과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통해 목표 타깃을 설정하고, 조사 및 분석 자료들을 기반으로 콘셉트를 설정하였다. 구체적인 디자인 전개를 위해 3D렌더링 이후 시제품 제작으로 전라도 한정식 식문화를 위한 테이블 및 식기디자인을 제안하였다. 특히 테이블디자인은 한식문화에서 보여 주는 반상차림 전달의 편리성을 위해 상판을 분리하여 디자인하였으며, 식기의 경우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로 반찬을 배열할 수 있도록 도자식기로 디자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diversity of Korean culture as a means of spreading and disseminating Hallyu culture by reinforcing the image of Korean Table d’hote. This study mainly covers the cases of Jeolla Do. In this sense, as a general consideration, the definition of Korean Table d’hot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enus and examination on side dish classification were conducted to establish the design concept of tables and tablewares used for Korean Table d’hote. After establishing the design concept, research on traditional tables, types of tablewares and domestic and overseas food culture cases has been conducted as a preceding study of developing tables and tablewares used for Korean Table d’hot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most of Korean Table d’hote were composed of regular dishes rather than course dishes and the side dishes were placed on left and right side of the table. The target was set using Persona methodology and affinity diagram and the concept was established based on data acquired by examination and analysis. For detailed design development, table and tableware design were proposed for Korean Table d’hote by prototyping after 3D rendering. Especially, in terms of table desig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is designed separately so that it can be easily removed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delivery required for Korean food culture. In addition, the tablewares are designed by as pottery-type designs so that the side dishes can be placed on left and right side of the table.

      • KCI등재

        유아용 다용도 의자디자인 개발 연구 -Expanded Polypropylene (EPP) 소재를 중심으로-

        최태옥(Choi, Yae Ok),정건용(Jeoung, Gen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3

        오늘날 유아용품의 개발과 기술 혁신은 제품 기능과 디자인을 넘어, 소비자 요구에 맞춰 감성을 표현해야 한다. 특히, 유아가구 시장은 낮은 출산율에도 불구하고 하나만 낳아 최선을 다해 기르자는 소비자의 심리로 취학 아동에서 미취학아동, 유아로까지 시장이 확장되어 있으며, 유해물질 및 성분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 소재 제품 판매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유아들의 성장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실용성이 강조된 디자인과 인체에 무해하고 내구성이 좋은 EPP소재로 유아용 다기능 의자를 디자인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문헌조사를 통해 유아기의 특징과 신체적 발달과정을 알 수 있었으며, EPP소재에 대한 물리적 구조와 장점을 이해하게 되었다. 이후 국내⋅외 시장조사 및 디자인 등록현황 조사를 통해 디자인 트렌드 및 디자인 한계점에 따라, 디자인 개발을 위한 Positioning과 SWOT분석을 할 수 있었고, 디자인 Concept를 설정 한 후 디자인 개발 방향을 통해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디자인전개는 모티브 이미지조사부터 아이디어스케치와 렌더링을 통해 시제품 제작을 위한 최종 디자인을 선정하였으며, Mock-Up제작과 사용자(5세 남아와 4세 여아) 테스트를 걸쳐 문제점 발견과 디자인 수정을 거쳐, 금형 설계 후 시제품생산까지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유아기의 빠른 성장에 의해 사용주기가 짧은 기존 유아용 의자에서 유아의 성장과 함께 다양하게 의자 또는 책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능성에 착목하여 디자인함에 따라, 다양한 가구시장 환경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EPP소재는 변형과 가공이 쉬워 의자 이외에도 책상, 놀이기구, 인테리어 소품 등 디자인제품 시장 분야에 접목시킬 수 있는 소재로서 향후 다양한 디자인개발이 기대된다. The development and technology innovation of child products has increasingly demanded to speak for consumer’s desires and emotion beyond product functions and design. The child furniture market has been expanded to preschool and school children and infants despite a low birthrate due to consumers’ psychology that has one child and do their best in raising. Also, with consumer’s high concerns for harmful materials and ingredients, eco-friendly material products have been increasingly so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ultipurpose chair design for child which focuses on utility for sustainable use with child’s growth and uses harmless and durable EPP material. For theoretical backgrounds, the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hood were investigated and the physical structures and advantages of EPP material were understood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n, the positioning and SWOT was analyzed for design development according to design trends and limitation based on researches on domestic and foreign markets and the status of design registration. A design concept was established and finally design was developed based on the direction of design development. The final design was selected to make a prototype sample through motive image research, idea sketch, and rendering. Mock-up was made and tested for users(5-years-old boy and 4-years-old girl). Problems were found and design was changed. Mold design was performed and finally a prototype sample was made.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focused on various utility and functionality for chairs or desks which grow with children because the existing child chairs have a short usage period due to the rapid growth of childhood. In this regard, this design is expected to have the advantage in competitive market environment. As EPP material is easy to change and process, it can be grafted into various design product markets such as desks, playing tools, and interior design props, further design development is expected.

      • KCI등재
      • KCI등재

        뷔페레스토랑 이용객을 위한 공간분배 프리미엄 그릇디자인 연구

        최태옥 ( Taeok Choi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6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0 No.4

        뷔페는 다양한 음식을 식탁에 차려 놓고 손님이 스스로 선택하여 접시에 덜어먹는 자유로운 식사 방식이다. 뷔페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 식사할 경우에 흔히 이용된다. 최근에는 외식문화의 변화로 패밀리 레스토랑과 일부 고급 음식점에서도 뷔페와 비슷한 샐러드바 개념으로 뷔페를 운영하고 있다. 뷔페의 특성상 여러 번 가져다 먹어도 예의에 전혀 어긋나지 않는다는 점이 뷔페의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음식을 접시에 담다보면 음식간 섞이게 되어 음식 고유의 맛을 잃는다는 이유로 뷔페를 싫어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특히 뷔페레스토랑의 경우 이용자의 만족도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한 상황이며, 따라서 이러한 뷔페레스토랑을 이용하는 이용객을 위한 효율적이면서 프리미엄 그릇의 형태를 제안하고자 하며,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장 서론에서는 연구목적과 뷔페레스토랑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논하였으며, 둘째 장은 뷔페레스토랑의 메뉴와 음식에 대한 특징을 기술하였다. 셋째 장은 뷔페레스토랑에서 사용되는 그릇의 특징과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넷째 장은 뷔페 그릇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시된 여러 접시형태의 사례를 예시하였으며, 다섯째 장은 이러한 여러 가지 제시된 사례를 토대로 음식 간 섞임 방지를 위한 공간분배형 프리미엄그릇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장은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buffet is a way of eating a meal consisting of a variety of foods, which guests freely serve themselves, and often used when many people gather for a meal. Recently, with the changes in the culture of dining out, family restaurants and some luxury restaurants have a buffet-like salad bar similar to the concept of a buffet. Due to the nature of the buffet is a big advantage that it is not considered discourteous to go through several times. However, some people don’t like it because when they put a variety of dishes on one plate, the food gets mixed together and loses its original flavor. Especially, for buffet restaurants, a variety of approaches are needed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refore, an efficient and premium plate for the customers using the buffet restaurant is proposed.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theoretical review of the buffet restaurant, and the second chapter describes the menu and food characteristics of the buffet restaurant. The third chapter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plates used in the buffet restaurant. The fourth chapter presents examples of the various plates that could be used to improve the upon the problems of the buffet plates. Based on these various examples, the fifth chapter presents a divided premium plate design to prevent mixing between foods. The last chapter suggests the direction of further stud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금강경』 번역의 한중일 비교연구 -붓다의 호칭을 중심으로-

        최태옥 ( Taeog Choi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6 日本語敎育 Vol.0 No.76

        The main focus for this study is to figure out differences of scripture translation according to each translator(Kumarajiva and Xuanzang)`s perception. Both two translators have been remarked as top experts in the Sanskrit Sutras translation field. There are different view points of translation due to the fact that Kumarajiva showed literal translation, Xuanzang mainly used liberal translation. In this study, the purpose is to find out differences between two translations through Buddha appellation presented in the Diamond Sutra. Kumarajiva used 4 naming(如來, 佛, 世尊, 釋迦牟尼), whereas Xuanzang handled 8 naming system include "如來, 佛, 世尊, 釋迦牟尼". Furthermore, in the use of naming, they held differing views even in the same sentences. Kumarajiva adopted Buddha 206 times, but Xuanzang showed 396 appearance frequency about name of Buddha, and this implies different perception of the translators. In the matter of researching Buddha appellation through Sutras translated into Chinese in Korea and Japan which are under equal East Asian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study suggests there is not only translator`s perception but also cultural homogeneity might affect translation tasks.

      • KCI등재
      • KCI등재
      • 「ば,と,たら,なら」의 統辭·意味論的 硏究

        崔台玉 진주여자전문대학 1985 論文集 Vol.7 No.-

        日本語において條件を表わわす表現の中で「ば·と·たら·なら」を對象にして, 名形式か持っている特性について考察してみた. 「S₁ばS₂」は, 自然的な現象や論理的な構文で多く使われる. それで, 話者の恣意性の强い文では使えない. また, 過去を表わす文でも使えない. 「S₁とS₂」は, S₁の條件が成立すると, S₂の結果は自然發生的に成立する因關果係を表わす. そしてS₁とS₂の間には時間的に見て織續の用法があり, 未來·過去を表わす文には使えない. 「S₁たらS₂」S₁は常にS₂が起る以前に起るべき事態で, 過去の事態を表わす場合者の意圖とは關係ない事態を表わす. すなわち, 意外·偶然的な事態を表わす. 「S₁ならS₂」は, S₁の斷定が話し手の斷定ではなく, 聞き手や人一般の斷定であることを表わす. 「S₁ならS₂」とは時間的關係が逆になる. また, 過去表現では使えない. これら四つの形式はこのように意味が互いに違っているので, 同じ文型に使われても, それが內包して いる意味は違う. a. 春が來れば, 花が笑きます. b. 春が來ると, 花が笑きます. c. 春が來たら, 花が笑きます. d. 春が來るなら, 花が笑きをす. aは, 花が笑く條件で春が來ることを提示している. 春が來なければ花は笑かない. bは花が笑く條件でやはり春が來ることを前提としている. 春が來ると富然·必然的に花が笑く. cも花が笑く條件で春が來ることを前提としているが, 花が笑く時期は春が來てからである. dも花が笑く條件で春が來るべきであるが, 話し手のS₁に對する斷定がほかの形式に比べて弱い.

      • 韓語 否定 接頭語에 대한 考察

        崔台玉 진주여자전문대학 1996 論文集 Vol.19 No.-

        接辭は主に自分で-つの意味を持たずある語基に接續して派生語を作り出す非獨立的な形態素である。接辭はその機能によって語基に意味上の修飾を加えたり,意味を加えると同時に語基に新しい文法上の資格を與えたりする。 接頭語は接尾語に比べて種類も少なく,派生語の生産も活發していないと言われている。それに純純粹な和語より漢語から由來した語が多い。ここでは漢語の否定接頭語の「無- 不- 非- 未-」の機能について調べてみた。その結果次のようなことが分かるようになった。 1. 否定接頭語と結合した語の反對語について調べたら,二字語と三字語の間には明らかな違いが出てくる。すなわち,三字語の場合は「無- 不- 非- 未-」一緖に否定接頭語を外すだで,反對語の成立が可能たった。けれとも,二字語の場合に「無-」と「未-」は一定した形が出てくる。「無-」ては「有-」の形が出て二字語の反對語になり,「未-」では「旣-」の形が出て反對語を成立している。「不-」と「非-」では一定した形ではなく,それそれ別の形を取っている。これは否定接頭語の本來の意味と槪念から考えれば納得できる。 2. 否定接頭語と結合する語基を敍述形で否定してみると,つきのようになる。 「無-」 - ∼がない 「不-」 - ∼でない 「非-」 - ∼しない,∼でない 「未-」 - まだ∼しないこと 3. -つの語基は-つの否定接頭語を取るのが通例てあるか,二つを取る場合もある。それは意味上大きな違いはないが,文法上違いかある。たとえは,「不合理」と「非合理」は連 修飾において別の形を取っている。すなわち,「不合理」は「-な」形を取り,「非合理」は「-的」形を取っている。 4. 否定接頭語の結合形は體語類と相言類に屬してい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