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무용심리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무용전공대학생의 자기관리 및 심리기술 효과

        최청자(Chung Ja Choi),김형남(Hyung Nam Kim),심현화(Hyun Hwa Shim) 한국무용과학회 201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6 No.-

        이 연구는 심리기술의 향상을 위한 무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이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와 심리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무용심리프로그램은 심리기술의 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미국의 행동심리학자인 Jim Loehr가 개발한 모델을 적용하고, 심리기술훈련과 즉흥무용훈련을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개발된 무용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목적 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에 소재한 S대학교에서 3년 이상의 무용경력을 가진 무용전공대학생 26명을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그리고 일원변량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심리 프로그램의 참여 여부에 따른 무용전공대학생의 자기관리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자기관리의 하위영역인 정신관리, 대인관리, 공연관리, 체력관리의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심리 프로그램참여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자기관리의 차이를 분석 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각 하위 요인 모두에서 프로그램 시행 전보다 시행 후 사후검사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심리 프로그램의 참여 여부에 따른 무용전공대학생의 심리기술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심리기술의 각 하위영역인 사고조절, 신체이완, 심상의 모든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심리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심리기술의 차이를 분석 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각 하위영역인 신체이완, 심상에서 프로그램 시행 전 사전검사점수보다 시행 후 사후검사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무용심리 프로그램은 무용전공대학생의 자기관리와 심리기술에 영향을 미치고, 심리기술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26 of University Dancers with more than 3-year dance career in S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nd using purpose-driven sampling mean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and Psychological Skills based on Dance Psychology Program in University Dancers. In the study, flow model developed by a behavioristic psychologist in the US, Jim Loehr, was applied to the dance program, and psychological technique and improvisation dance training was composed and applied to it. Questionnaires were used as inquiry tools and the collected were analysed statistically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sample t-test. Followings ar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management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of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Dance Psychology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of those who did not. But, daily life manag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xamination of Self-management at each lower area produced, mental management, interpersonal management, performing management, physical strength management, daily life management, all of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on the each groups. Such results suggested that the experiment group in Dance Psychology Program made greater improvement on Self-management in general,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 it appeared that Dance Psychology Program had an effect on University Dancers' Psychological Skills. The analysed results of pre/post tests on the experiment group were thought body relaxation, imagery of which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post-test, compared to those in pre-test. In sum, the study indicated that Dance Psychology Program had an effect on University Dancers' Self-management and Psychological Skills and the effect is positive across the achievement.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전문무용인의 무용자신감, 삶의 만족 및 대인관계가 무용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최청자 ( Chung Ja Choi ),김형남 ( Hyeong Nam Kim ),전미라 ( Mi Ra Jeon ) 한국무용과학회 201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8 No.-

        본 연구는 전문무용인의 배경적 특성에 따른 무용행복감의 차이를 분석하고 무용자신감, 삶의 만족, 대인관 계가 무용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국·공립 무용단, 민간 단체무용단, 독립무용단에 소속된 안무가 및 무용수 총 277명을 표집 하였다. 설문지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배경적 특성 중 직책을 제외한 성, 연령, 월수입, 전공, 소속, 경력에 따른 무용행복감은 유의 한 차이가 없었으며, 안무가 집단이 예술감독 및 대표 집단과 준단원 및 예비단원 집단에 비해 자아실현을 통 한 행복감이 더 높았다. 둘째, 전문무용인의 무용자신감 중 사회적지지는 무용행복감의 하위변인인 성취감, 무용수행만족, 자아실현, 몰입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능력자신감은 성취감에, 목표준비는 성취감과 자아실 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무용인의 삶의 만족은 무용행복감의 하위변인 중 무용수행만족, 자아실현, 몰입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전문무용인의 대인관계 중 의사소통은 무용행복 감의 하위변인인 몰입감에, 감정이해는 성취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개방성은 무용수행만족, 자아실현, 몰입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 difference in dance euphoria according to professional dancers`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identify what effect dance confidence,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had on dance euphoria. To at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277 choreographers and dancers belonging to the national and public dance companies and independent dance companies located in Seoul. To analyze data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research,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happiness according to background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monthly income, speciality, belongingness and career except position. The group of choreographers showed a higher level of dance euphoria through self-realization compared to that of artistic directors and representatives and that of semi-dancers and would-be dancers.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one of professional dancer`s dance confid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factors of dance euphoria such as a sence of accomplishment, dance performance satisfaction, self-realization and a sense of commitment. It was found that ability confid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object prepa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elf-realiz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 dancers` lif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factors of dance euphoria such as dance performance satisfaction, self-realization and a sense of commitment. Fourth,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one of professional dancers` interpersonal rel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factors of dance euphoria such as a sense of commitment, that emotional understanding had a positive effect on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that open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dance performance satisfaction, self-realization and a sense of commitment.

      • KCI등재

        Bartenieff Fundamentals 활성화 프로그램이 현대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청자 ( Chung Ja Choi ),김형남 ( Hyung Nam Kim ),박은주 ( Enu Ju Park ) 한국무용과학회 201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9 No.-

        이 연구는 즉흥과 Laban의 Effort, Space Harmony를 Bartenieff Fundamentals에 적용하여 BF활성화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프로그램이 현대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BF활성화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목적 표집(purposeful sampling)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에 소재한 S 대학교에서 3년 이상의 무용경력을 가진 현대무용전공대학생 중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으로 연구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를 통하여 자료를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BF활성화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현대무용전공대학생들의 무용표현능력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무용표현능력의 각 하위영역인 이해성, 표현성, 다양성, 독창성 모두 실험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BF활성화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무용표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BF활성화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사전·사후 무용표현능력을 분석 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이해성, 표현성, 다양성, 독창성 요인 모두에서 프로그램 시행 전 사전 검사점수 보다 시행 후 사후검사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BF활성화 프로그램은 현대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표현능력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a BF revitalization program with the combined application of Bartenieff Fundamentals for dance expressivity improvement with improvisation and Laban`s Effort, Space Harmony theory and def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contemporary dance university students` dance expressivit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BF revitalization program, purposivel sampling method was used to select an experimentalgroup of 15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of 15 students as research participants from contemporary dance university students in S university located in Seoul, with minimum 3 years of dance experience. A questionnaire was used as the research tool,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Samples t-Test, Paired t-Test. As a result, below conclusions are drawn. First, through examination of expressivity difference between contemporary dance university students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in BF revitalization program, all each subcategory of dance expressivity, comprehensibility, expressivity and originality demonstrat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Based on this result, the BF revitalization program is found to be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dance expressiv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through analyzing Pre, Post-dance expressivity between the groups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in BF revitalization program, a significant difference is dete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all factors of comprehensibility, expressivity and originality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Post-test value after conducting the progra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degree compared to the Pre-test value before conducting the program. Therefore, taken together the above results, the BF revitalization program is verified to be having an effect on the dance expressivity of contemporary dance university students, while exerting a positive effect on the dance expression ability in general.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Loehr의 이론을 적용한 프로그램이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최청자 ( Chung Ja Choi ),김형남 ( Hyung Nam Kim ),심현화 ( Hyun Hwa Shim ) 한국무용과학회 201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5 No.-

        이 연구는 몰입 향상을 위한 무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이 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개발된 무용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목적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에 소재한 S대학교에서 3년 이상의 무용경력을 가진 무용전공대학생 26명을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그리고 일원변량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Loehr의 이론을 적용한 무용 프로그램에 참여 여부에 따른 무용전공대학생들의 무용몰입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무용몰입의 각 하위영역인 자기목적적 경험, 최면과 유사상태, 활동과 인식의 통합에, 고도의 주의집중, 성취감과 자신감에서 모두 실험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Loehr의 이론을 적용한 무용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무용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Loehr의 이론을 적용한 무용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사전·사후 무용몰입을 분석 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자기목적적경험, 최면과 유사상태, 활동과 인식의 통합, 고도의 주의집중, 성취감과 자신감 요인 모두에서 프로그램 시행 전 사전검사점수보다 시행 후 사후검사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Loehr의 이론을 적용한 무용 프로그램은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무용몰입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26 of University Dancers with more than 3-year dance career in S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nd using purpose-driven sampling mean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Dance Program based on Loehr`s Theory on University Dancers` Flow. Questionnaires were used as inquiry tools and the collected were analysed statistically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sample t-test. Followings ar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low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of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Dance Program based on Loehr`s Theory and the control group of those who did not. The examination of Flow at each lower area produced, autotelic experience, hypnosis and analogue state, merging of action and awareness, heightened concentration, and sense of achievement and self-confidence, all of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on the each groups. Such results suggested that the experiment group in dance Program based on Loehr`s Theory made greater improvement on Flow in general,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 it appeared that dance Program based on Loehr`s Theory had an effect on University Dancers` Flow. The analysed results of pre/post tests on the experiment group were autotelic experience, hypnosis and analogue state, merging of action and awareness, heightened concentration, sense of achievement and self-confidence, all of which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post-test, compared to those in pre-test. In sum, the study indicated that dance Program based on Loehr`s Theory had an effect on University Dancers` Flow and the effect is positive across the achievement.

      • KCI등재
      • KCI등재

        Feldenkrais Method가 현대무용전공자의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최청자(Chung Ja Choi),김형남(Hyung Nam Kim),정정아(Jung Ah Jung) 한국무용과학회 201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4 No.-

        이 연구에서는 Feldenkrais Method가 현대무용전공자의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유목적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에 소재한 S대학교에서 5년 이상의 무용경력을 가진 현대무용전공자 20명을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그리고 일원변량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Feldenkrais Method 프로그램에 참여 여부에 따른 현대무용전공자들의 무용능력성취에는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무용능력성취의 각 하위영역인 무용이해능력에서 t=6.624, p<.05 수준, 무용창작능력에서 t=4.938, p<.05 수준, 실기능력에서는 t=5.361, p<.05 수준으로, 모두 실험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Feldenkrais Method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무용능력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Feldenkrais Method 프로그램참여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사전·사후 무용능력성취를 분석 한 결과,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무용이해능력(F=43.876, p<.05), 무용창작능력(F=24.386, p<.05), 그리고 실기능력(F=28.742, p<.05) 모두에서 프로그램 시행 전 사전검사점수보다 시행 후 사후검사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Feldenkrais Method는 현대무용전공자의 무용능력성취에 영향을 미치고, 무용능력성취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20 of modern Dance majors with more than 5-year dance career in S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nd using purpose-driven sampling means to identify the effect of Feldenkrais Method on modern dance majors in the dance ability achievement. Questionnaires were used as inquiry tools and the collected were analysed statistically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sample t-test. Followings ar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ance ability achievement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of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Feldenkrais Method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of those who did not. The examination of the dance ability achievement at each lower area produced t=6.624, p<.05 in understanding, t=4.938, p<.05 in creativity, and t=5.369, p<.05 in performance, all of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on the groups. Such results suggested that the experiment group in Feldenkrais Method Program made greater improvement in the dance ability achievement in general,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 it appeared that Feldenkrais Method Program had an effect on modern Dance majors in the dance ability achievement. The analysed results of pre/post tests on the experiment group were t=-3.694, p<.05 in understanding, t=-4.247, p<.05 in creativity, and t=-2.414, p<.05 in performance, all of which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post-test, compared to those in pre-test. In sum, the study indicated that Feldenkrais Method Program had an effect on modern dance majors in the dance ability achievement and the effect is positive across the achievement.

      • KCI등재

        무용공연 관람객의 관람 후 감정과 행동 분석

        최청자(Chung-Ja Choi),김형남(Hyung-Nam Kim),심현화(Hyun-Hwa Sh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7

        본 연구에서는 무용공연관람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관람후 감정과 행동의 차이가 어떠한 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무용공연장을 이용하고 있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참여자 280명을 표집하여 개인적 특성(직업, 관람횟수, 무용경험, 무용장르), 관람 후 감정(관람감정, 만족도), 관람 후 행동(탐색행동, 재관람 의향)의 변인에 대하여 설문조사 방법으로 SPSS 18.0 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공연 관람객의 개인적 특성(직업, 관람횟수, 무용경험, 무용장르)에 따른 관람 후 감정(긍정적 감정, 만족도)의 차이가 관람횟수 변인에서 관람횟수가 높을수록 증가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무용공연 관람객의 개인적 특성(직업, 관람횟수, 무용경험, 무용장르)에 따른 관람 후 행동(탐색행동, 재관람 의향)의 차이가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무용경험이 있는 집단, 관람횟수가 많은집단, 예술가집단, 현대무용과 한국무용관람 집단에서 증가현상이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post-viewing emotion and behavior of the audience at a dance performance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udience. To attain the goal of the study described above paragraphs, the audience of dance performance located in Seoul and Kyoungki-Do was set as a collected group. Then,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inally drew out and analyzed 280 people in total. statistic analysis techniques were used SPSS 18.0 program. Based on the statistical methods above, we had the result of data analysis as follows; First,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job, viewing frequency, dance experience, and genre), had significantly effect on the post-viewing emotion(positive emotion, satisfaction) Second,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job, viewing frequency, dance experience, and genre), all the factors had significantly effect on post-viewing behaviors(researching, respectating intention).

      • 라반의 동작 분석과 안무적용이 무용교육에 미친 영향

        최청자 한국초등무용학회 2001 한국초등무용학회지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how to teach dance more systematically by Labanian theory, through making an experiment on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Labanian movement analysis theory to dance education. The emphasis of this study is to standardize Labanian principles of movement analysis. Presenting a method of creating and choreographing by a thorough application of Labanian principles, we tried to develop dance technique and creative choreographic faculty of dancer on his own. And by applying Labanian theory to creation, choreography and dance technique in the actual stage art, we experimented the value and possibility as a stage art of Labanian theory. This study contains Labanian process of movement analysis and theories of its application to choreographic method, that is, movement analysis through motion and four factors of change in choreography -- timing, space, weight and flow -- and finally analyses of actual works which were applied to these results. This study also means to prove the practicality of Labanian theory by its extending to a stage art. This practicality was proved through our several works -- Autumn, A Man on the Beach, Pullim Sori and etc. -- which were performed for this study.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se works, Labanian theory of movement analysis proved to be a necessary element for dance education. According to dance specialists' analysis, the dynamic and solid sense in dancers' movement was strikingly improved, and they became more natural in movement interconnection, and also their ability to use space and energy was prominently transformed. By applying Labanian theory to practical training, dancers' sense of tempo in dance movement was improved and their dance became active by stages. This result means that Labanian theory is very useful for dance education. In conclusion, Labanian scientific and systematic theory of dance is necessary for dance education of today, and the application of this theory to the principles, elements and rules of Korean contemporary dance could provide many possibilities to develop the quality of works and to find new meanings of men's movement. And finally we expect this conclusion could be also applied to the education and the principle of creation in ballet and Korean traditional d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