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법 체제를 통한 한반도 평화연구

        최철영(Choi Cheol-Young)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5 성균관법학 Vol.17 No.3

        Termination of war by conclusion of a peace treaty is one of the typical institutions of international law. The task and function of peace treaty was to achieve a durable accommodation and reconciliation between former enemies, and oblivion and amnesty for the criminals of war. Besides the termination of the armed hostilities and violence, the other main function of a peace treaty is to establish a new order which, regardless of rights or wrong, insured stability, security and tranquility. In case of Korea War, although armed conflicts and violence have been stopped between the parties by the Korea armistice treaty which was concluded in 1953, but there is still no peace treaty for permanent peace and prosperity of Korean nation. Actually, an armistice treaty has in principle no legal bearing on the termination of a state of war and conditions of a peace treaty. Moreover, an armistice treaty can be a obstacle to conclude a 'real' peace treaty. The present time, the state of non-belligerent in Korea does not maintained by Korea Armistice treaty, but the principle of international law such as prohibition of war. So, a legal regime for the durable accommodation and reconciliation between former enemies is needed in Korean peninsula. However, a legal institution for the permanent peace and prosperity of Korean nation should be surpass a 'mere' peace treaty. It means that the new peace regime for Korea Peninsula should be based on a modern peace treaty, which reflect new peace notion including human welfare and good governance. Because, in modern sense of peace, treaties should try to achieve more than the cessation of hostilities. They endeavored to construct a new political order and to restore good neighbor relations and friendship. In Korean peninsula, it even include the frame work for the unification of former South and North enemies. For this reason, a durable state of non-belligerent shall be secured by Inter-Korean basic agreement concluded in 1991 between the two Korea, after that each parties can discuss next step for more close relationship including a low dimension of federation or confederation as a kind of composite State in the process of final Korea unification. In relation to the parties of legal peace regime, although, normally the belligerent powers are the parties to negotiate and conclude a peace treaty, either bilaterally or multi-laterally, States, which had not participated in preceding war, but were at the same time indispens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workable and effective post-war peace regime of the region, may enter into the process of negotiation. However, 'Korean Type Peace Treaty' should be formed two tract of treaty system, such as a "Basic agreement for Korea Peninsula Peace" and a "North East Peace Treaty" which aims at establishing a broad and permanent new peace regime in North-east Asia. In the latter treaty, U.S., China, Russia, and Japan can be parties with the two Koreas, but not be parties of the former agreement, which will be concluded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legal regime for a Korea peace deserves to be called a real peace regime only if it eliminates the causes for a future war permanently and it includes a basic agreement for a new beginning in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oward Korea Unif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금관총 출토 대도의 ‘尒斯智王’ 명문 검토

        최철영(Choi, Cheol-Young) 효원사학회 2019 역사와 세계 Vol.- No.55

        1921년 발굴된 금관총은 일제강점기 시기 조선총독부의 주도로 빠른 시간 내 발굴이 끝났기 때문에 자료가 부족한 상황이었다. 이후 2013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금관총 고리자루큰칼에서 ‘尒斯智王’이라는 명문이 확인되었다. 이는 신라무덤에서 출토된 최초의 왕호이며 ‘尒斯智王’이라는 왕명은 三國史記, 三國遺事 및 신라 금석문에 나오지 않기 때문에 현재로는 ‘尒斯智王’이 누구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필자는 日本書記의 사료를 단서로 고대 신라어의 표기법과 고고학적인 관점, 기타 다양한 해석을 바탕으로 하여 ‘尒斯智王’을 異斯夫로 단정짓고 이를 통해 금관총의 새로운 연대 비정이 가능하다고 본다.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recently discovered - during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an ancient ring-pommel sword unearthed at the Geumgwanchong Tomb in 1921 - the swords “King Isaji” engraved on the scabbard. Historians regard the discovery as important because it is the first such discovery at a tomb of ancient Silla. But nobody knows who King Isaji is. Because it never discovered at 『Samguksaki』 and 『Samgukyusa』. So refer to the 『Nihonshowki』 that analyze the swords “King Isaji” engraved on the scabbard. As a result, “King Isaji” is “Isabu”, the general of ancient Silla. Because of this, it can make new set of Geumgwanchong"s age. Or base on archeological research, it can make conjecture to “Isabu gave the swords to King Isaji”.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미국의 UN참여법과 미군의 6.25전쟁 참전의 합법성문제

        崔哲榮(Choi Cheol Young) 미국헌법학회 2010 美國憲法硏究 Vol.21 No.3

        1950년 6.25 전쟁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트루먼은 유례없이 신속하게 미군을 한국 6.25전쟁에 파병하였다. 당시 트루먼 대통령은 파병의 근거로 UN안보리의 결의와 미연방헌법에 의한 미군의 최고사령관으로서의 지위 그리고 대통령의 경찰권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미군의 신속한 한국파병은 미국의 국내법인 UN참여법(UN Participation Act)의 위반이라는 논란이 제기되었다. 이글은 제2장에서 트루먼 대통령이 파병의 근거로 제시한 UN안보리의 결의내용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기초로 법적 검토를 하였다. 제3장에서는 미국의 한국 6.25참전 결정의 국내법적 근거인 1945년 UN참여법에 대한 미국 의회에서의 논의 분석과 법적 평가를 통해 미국의 6.25 무력충돌 참전 행위에 대한 미국 국내법적 시각에서의 평가를 시도하였다. 트루먼 대통령은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에서 통과된 결의를 한국전에 미군을 파병하는 법적 근거로 인용하였다. 하지만 트루먼 대통령은 UN참여법의 명백한 규정과 입법연혁을 위반하였다. 트루먼 대통령이 의회의 동의없이 UN의 결의라는 명분으로 한국에 군대를 파병한 것은 특별협정을 무시한 결과이다. 어떠한 대통령의 군사적 조치도 사전에 의회의 동의를 얻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특별협정을 체결하지 않음으로서 대통령의 일방적 명령으로 미군을 한반도에 파병한 것이다. 미국의 한국 6.25전쟁 파병과 관련하여 UN의 결의가 의회의 승인행위를 대신 할 법적 근거로 이용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만약 가능하다면 대통령과 미국의 상원은 전쟁문제에 있어 하원의 참여 및 결정권이라는 헌법적 역할을 배제한 헌법상의 조약절차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논리에 따르면 대통령과 상원은 조약절차를 통하여 무역과 관세에 관한 문제에 대하여도 하원의 헌법상 권능을 우회하여 UN의 결의에 직접 근거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UN의 역사는 아주 명백하게 미국의 입법부 및 행정부의 모든 당사자들이 UN의 결의에 따른 군사력 사용결정이 의회의 상원과 하원 모두의 승인을 사전에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In June 1950, U.S. President Truman quickly ordered U.S. troops to Korea without congressional authority. For legal footing he cited resolusions which are passed by the UN Security Council, the constitutional status of Commander-in-Chief and the policing power of U.S. President. This action still stands as the single most important precedent for the executive use of military force without first requesting congressional authority. This article examines the legality of President Truman’s decision of U.S. action, in terms of both the U.S. Constitution and the United Nations Participation Act of 1945, which set up the procedure for making American forces available in response to requests by the the UN Security Council. The Korean War case illustrates that when participating states of UN military action seek to escalate warfare in a manner that leads a major change in the political or military objectives that the UN Security Council intended to authorize, they should obtain new authorization and not rely on ambiguous language in the original resolution. A change in objectives causes grave risks of widening the war, a risk that turned out in Korea. Henc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must be interpreted to authorize what was clearly intended. The history of the UN shows that all parties in the legislative and executive branches understood that the decision to use military force through the UN required prior approval from both Houses of Cong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