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최창용

        최창용 고신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63
      • 중소도시 청년들의 창업의지에 관한 연구 : 사회적자본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창용 조선대학교 산업기술융합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중소도시 청년들의 창업의지에 관한 연구 -사회적자본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창용 지도교수: 주경희 박사 융복합기술창업학과 조선대학교 산업기술융합대학원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도시의 젊은이들이 사회자본, 호기심, 창업교육 경험 등이 긍정적, 긍정적 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사회적 자본과 긍정적 심리자본이 창업의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추가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전 의식이 사회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둘째, 도전감은 긍정적인 심리적 자본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호기심이 사회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호기심은 긍정적인 심리적 자본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창업교육의 경험은 사회자본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창업교육의 경험은 긍정적인 심리자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사회적 자본은 창업 의지에 적극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덟째, 긍정적인 심리적 자본은 창업 의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키워드: 창업 의지, 도전 의지, 호기심, 창업 교육 경험, 기업가정신 교육, 사회 자본, 긍정적 심리학 자본 ABSTRACT The Study on the Entrepreurial Intentions of Local Youth in Small and Medium - Sized Cities: Focused on the Social Capital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Chang-Yong Choi Advisor : Prof. Kyung-Hee Joo, Ph.D. Department of Convergence Technology start-up major,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Technology Convergence,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young people in small cities on social capital, curiosity, and experience in start-up education on positiv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o further investigate how social capital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ffect the intention of starting a busines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a sense of challenge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capital. Second, the sense of challeng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curiosity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ocial capital. Fourth, curiosity had an important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ifth, the experience of start-up education had an important impact on social capital. Sixth, the experience of start-up education has been shown to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venth, social capital had an active influence on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Eigh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n important impact on the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Keywords: will to start a business, will to challenge, curiosity, experience in start-up educa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social capital, positive psychology capital.

      •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유형이 기업이미지, 기업평판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참여 CSR 유형을 중심으로

        최창용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국이나 유럽 선진국의 기업역사에 비해 우리나라 기업들의 역사는 상대적으로 짧고 초라하다. 하지만 이에 반해 우리나라 기업들의 폭발적인 성장과 더불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영역은 타 선진국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해당 분야도 점차 다양해지는 추세이다. 과거에는 일부 기업들을 중심으로 수익의 일부를 기부하는 비교적 단순한 CSR 유형이 주류를 이루었다면 최근에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외부 기관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사업 및 좀 더 나아가 기업이 직접 CSR 전담부서를 설립하여 상당한 수준의 비용과 노력을 투자하는 경우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유형과 더불어 최근 기업들이 주목하는 것이 바로 대학생 참여를 대상으로 하는 CSR 유형이다. 대학생은 제품 및 트렌드를 선도하는 계층이자 미래의 소비주역으로서 기업들이 주목하는 있는 미래 소비자 군이다. 이러한 대학생들은 일반인에 비해 CSR활동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는 기업에 대해 높은 관심과 선호도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최근에 취업난과 함께 구직자들의 스펙 중 사회공헌 부분이 부각되어 대학생들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도 우수한 대학생들을 활용하여 자사의 CSR 전략을 기획하고 아이디어를 손쉽게 얻으며 대학생들을 통해 간접적인 마케팅을 펼칠 수 있어 현재 다수의 기업들이 대학생 참여 CSR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SR 유형 중 대학생 참여 CSR 사업과 소비자의 영향력을 분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참여 CSR 유형에 따라 해당 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하고 해당 사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참여의도가 기업이미지, 기업평판 및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해당 연구의 실증적 연구결과를 도출해내기 위해 서울지역 대학생 4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 참여 CSR 유형에 따라 해당 변수(참여의도, 기업이미지, 기업평판 및 구매의도)가 받는 영향은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의도와 기업이미지 부분은 외부 타 단체나 기업 등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외부 사업형태를 기업주도로 했을 경우 보다 긍정적인 반응이 발생되었다. 반면, 기업평판과 구매의도 변수에서는 앞선 참여 의도나 기업이미지와 달리 기업이 직접 CSR 사업을 추진하는 직접사업형태를 기업주도로 추진했을 경우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참여의도, 기업이미지, 기업평판 및 구매의도와 같은 변수들이 서로 상관성이 있는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CSR 유형에 따라 반응을 보이는 패턴이 상이하므로 기업들이 대학생 참여 CSR 사업을 구상할 때 사업을 통해 궁극적으로 얻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사업형태를 전략적으로 선택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CSR 유형 및 종속변수 관계에서 참여하는 대학생들의 의도(의지)정도가 높을수록 해당 기업의 CSR 사업 등에 관심도가 상승되고 긍정적인 평가가 형성되므로 기업입장에서는 CSR 활동에 대한 전략을 수립 시 주요 목적에 따라 중요시해야 하는 평가요인들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실무적인 측면에서 대학생 참여 CSR 유형에 따라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고 참여의도가 중요한 변수라는 점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이론적인 측면에서 대학생 참여 CSR 유형을 사업형태 및 주도하는 주체에 따라 여러 가지 기준으로 새롭게 분류하고 정립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점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가 앞으로는 우리나라의 기업들이 집중하고 있는 대학생 참여 CSR 유형을 좀 더 세분화하고 정교화 시켜 참여하는 주체인 대학생들과 해당 사업을 실시하는 기업들 모두에게 서로 상호이익 및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Comparing to corporate history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 and some countries in Europe, the history of Korean companies is relatively short and insignificant. However, the CSR of Korean companies has been growing so fast and diversifying in business sector as the companies developed dramatically. In the past, the CSR in Korea used to be a simple type such as donating money to some NPO(Non-Profit Organization)s, but the recent CSR for the companies seems to be more active like forming their own CSR team. The recent trend in CSR which many companies has focused on is the CSR type which university students are involved in. University student is the potential customer group that most of companies are interested in as well as people to lead social trend in the country. Students are tend to be more positive in companies which are more active in CSR, because the involvement in the CSR by some companies can be helpful for students to get a good job in the future. For companies, the CSR with students also has many advantages such as the facts that they can get brilliant ideas easily and use the students for their marketing. Like this, most of big companies have their own CSR business, but there is few study about the CSR type which university students are involved i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a few factors(participant intention, corporate image, corporate reputation and purchase intention) can be affected by the type of CSR which university students are involved in. To get more empirical result from the study, the survey has been carried for 468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We found out the fact that there was some differences for the four factors depending on the type of CSR. For participant intention and corporate image, the type of external partnership leading by a corporation can be more positive. On the other hand, the type of direct CSR business leading by a corporation can affect to the factors affirmatively in corporate reputation and purchase intention. It means that we have to consider the type of CSR as marketing method seriously when we plan the CSR which university students are involved in d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CSR and the factors. Lastly, more positive interest and reputation can be, the higher participant inten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s getting. Therefore we have to think deeply when choosing the type of CSR for an individual case. Practically, the type of CSR which university students are involved in can make some differences among 4 factors, and then participant intention is th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 recognition of the type of CSR by companies. Theoretic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method to classify the type of CSR which university students are involved in. From this study, I wish this type of CSR would be more delicate with more additional study and help both sides: corporations and university students.

      • 연료전지 시스템의 공정 설계와 CFD를 통한 촉매사용 탈황반응기의 설계 및 운전 최적화

        최창용 부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diesel ship is very serious. To reduce pollution, we consider fuel cell which can replace diesel engine. For small boat, fuel cell can operate main power and for large vessel, it can use auxiliary power unit. Desulfurize system is very important for using fuel cell, because sulfur compuund influence catalyst poison around low concentration, 1 ppm. So in this study, we performed diesel desulfurization reactor design by numerical analysis. This study is divided four step. The first step is basic reactor design. By analyzing the change in flow and sulfur concentration at the outlet according to the changes in flow rate, reactor length, and reactor diameter, we have found the minimum catalyst performance for the given flow rate condi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reactor performance and the reactor size and shape. We analyzed the changes in regeneration process according to purge gas flow rate, catalyst permeability, reactor size, and heat loss of reactor. We also estimated the regeneration time according to purge gas flow rate and initial temperatures and have found that increasing purge gas temperature is more effect for fast regeneration. The second step is reacor scale up and oprating optimization. Using experimental results and the adsorption kinetics theory, the adsorption rate of sulfur in diesel was estimated and verified by numerical analysis. By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desulfurization according to reactor size, the optimal reactor size was determined. Through maximization of processed diesel amount, optimal diesel flow rate was determined. Regeneration process was also confirmed for the obtained optimal reactor size. At the third step, designed process simulation of 100 kW fuel cell system and desulfurize module for adapting fuel cell system. In this step, we operate the HYSYS for modeling process simulation as well as numerical analysis. For desulfurizing module, we performed modeling and optimization to prevent the poisoning effect. According to heat transfer analysis between desulfurize reactors, we check the distance influence from other reactors. In this results, Design change of reactor is not necessary, because recycling diesel is already desulfurized and it mixed. So, input concentration is reduced. To operating TSA process, we get the fluidity of process because less sulfur amount than adsorption capacity of sulfur is adsorbed by a reactor. Finally, heat interference of reactors is not occurred short distance of reactors. This results will be contribute the fuel cell system which can utilize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 and desulfurize module design is contribute the basic of clean petrochemical technology besides fuel cell system.

      • 윤대녕 단편소설연구 : 포스트모더니즘의 성격을 중심으로

        최창용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윤대녕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포스모더니즘의 요소를 통해 후기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문학적 대응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80년대 우리의 사회 역사적 변화와 연관되면서 우리 문학에 영향을 미친다. 90년대 환상의 장치와 전통사상을 통해 상실된 ‘나’의 존재의미를 되묻고 진정한 인간관계의 가능성을 찾으려 했던 작가가 윤대녕이다. 본 논문은 그의 소설에 드러난 포스트모더니즘의 요소를 신화적 상상력, 감시장치와 성적욕망의 장치, 문화적 주체성의 부활, 이미지로 글쓰기, 무의식과 타자성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먼저『은어낚시통신』에서는 후기자본주의 사회에서 사랑, 무의식까지 사물화되어 가는 현실에 대응하여 신화적 상상력을 통한 잃어버린 나를 찾고 있다. 진정한 자아는 원래의 자신이 있던 ‘모천’ 즉 과거로의 회귀를 말한다. 근원적 자아에 이르기 위해 청미라는 여인을 통해 회유하는 은어처럼 세속을 거슬러 올라간다는 내용으로, 그가 동경하는 시원이란 후기 자본주의의 물질화, 정형화된 사막 같은 삶에서 벗어나서 진정한 인간미가 넘치는 나를 찾는 것이다. 이 은밀한 내적 요구를 신화적 상상력으로 형상화함으로써 불모의 사막 같은 현실에서 주체성을 되찾으려 하고 있다. 윤대녕 소설이 갖는 상상력의 매력은 현실을 합리적 사슬에서 해방시켜 또다른 삶의 가능성을 추구하는데 있으며, 환상을 받아들이는 불확정적인 현실의 이해는 사막 같은 현실을 극복하려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를 만나는 깊은 봄날 저녁』과『눈과 화살』에서는 비가시적 미세권력이 감시장치와 성적욕망의 장치를 통해 현실을 지배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그를 만나는 깊은 봄날 저녁』에서는 초면이나 다름없는 두 사람이 단지 명함을 주고받았다는 이유로 친숙함을 가장하고 만나고 헤어지는데, 그들을 만나게 한 정체모를 힘과,『눈과 화살』에서 광기어린 화가 박무현이 왜 온전한 정신으로 살아갈 수 없었을까라는 질문에 윤대녕은 그것을 권력의 감시와 통제로 보고 있다. 즉 자본주의의 화려한 도시의 일상에 대한 단호한 부정을 근저에 깔고 있다. 『천지간』은 우연의 만남을 우리의 전통사상인 불교적 인연설을 통해 새로운 생명의 삶으로 전복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소설에서 전통사상이 전근대성에서 분리되어 후기자본주의적 삶의 조건 속에 스며들고 있음을 의미한다. 죽음인 동시에 삶인 ‘한’, ‘판소리’, ‘범피중류’는, 생사의 경계가 해체된 일종이 차연으로 나타난다. 이 차연의 원리를 이용해, 근대 이성적 삶에서의 죽음과 허무를 소생의 상상력으로 전복시킨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빛의 걸음걸이』는 인상주의적 회화를 연상시키는 시각적인 작품으로, 일상의 무거움을 느끼며 살아가는 슬픈 비밀을 간직한 한 가족의 작은 남향집에서 일어난 하루를 사건 자체보다는 시간을 따라 변화하는 미묘한 빛의 걸음걸이로 표현한 작품이다. 윤대녕은 이 소설에서 가족들에게서 발견되는 삶과 죽음의 비밀을 흰색과 붉은색의 이미지, 눈부신 빛의 이미지 속에 그려넣고 있다. 빛의 흐름으로 시간의 흐름을 표현하고 삶과 죽음을 드러내고자 한 것은 존재의 비밀스런 리듬을 자연 속에 내맡김으로써 세계화 합일하려는 욕망을 표현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카메라 옵스큐라』에서는 보이지 않는 이데올로기에 무의식마저 지배당하는 현대의 일상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미로를 닮은 무수한 이미지와 기호에 의해 지배되는 도시공간, 그리고 도시의 지하세계를 나타내는 황학동 벼룩시장은 상징적 차원에서 인간의 무의식과 일치한다. 그곳에 들어서는 사람들은 안정적인 일상적 자아의 죽음을 경험한다. 주인공은 자신에게 낯선 존재로 다가온 여인에게 이끌리며 그녀의 정체를 파헤치려 하지만 그녀의 낯설음 혹은 타자성은 결국 그와 그녀 사이에 존재하는 거리를 더욱 깨닫게 하여 결국 그녀를 구원하지 못하고 인간관계의 좌절을 경험하게 되는 내용이다. 『지나가는 자의 초상』에서도 격리된 타인들의 불안정한 관계로 이루어진 삶의 양상을 제시한다. 주인공이 희미한 기억의 목록을 뒤지다가 자신에게 나타났다가 사라진 두 여자를 회상하며 전개되는 이 작품은 불안정한 인간 관계는 그것에 내재한 절망적인 공허함의 극한을 느끼게 한다. 이상의 단편에서 추구하는 존재찾기 즉 잃어버린 나를 찾기 위한 그의 노력은 물질만능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던지는 의미는 크다. 또한 존재찾기의 방법으로 사용된 신화적 상상력, 이미지적 사고, 전통사상의 회복 등을 통한 다양한 방법의 개척은 이성중심적의 근대적 사고에서 탈피한 포스트모던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how literature respond to capitalism society through the resaerch on post-modernism aspect in Youn Dae-nyoung's short stories. Post-modernism has a deep influence on our literature in 1980s in the midst of our social and historical change. Youn Dae-nyoung attempted to ask who I am and what is true human relationship in 1990s through traditional philosophy and fantasy. This study investigate post-modernism aspect in Youn Dae-nyoung's short stories under the category of mythological imagination, surveillance system and fabricated device of sexual desire, resurrection of cultural identity, writing with image and unconsciousness. In his novel ' silver-fish fishing note', he try to regain lost identity through mythological imagination in this capitalism society. 「One sprig night when I meet him」and 「Eye and Arrow」attempts to reveal how invisible political power control our reality through surveillance system and fabricated device of sexual desire. 「The world」shows the possibility of restarting our life through unexpected meeting with others. 「Light walk」is a visual work reminding us of impressionist paintings, which portrays the flow of time at the pace of light walk of the family who has a sad secret.「Camera opscura」symbolically demonstrates our daily life and unconsciousness controlled by invisible ideology. 「Portrait of a passer-by」portrays dismal conditions of our life in the unstable relation among alienated others. You can see the bottom of emptiness in the human relationship as the protagonist recalls two women who has come in and out of his life. His effort to regain his identity in these short stories provides significant meaning to us who live this age of materialism. Besides, the method he choose in his journey to find his identity-mythological imagination, thought based on images and regression to traditional philosophy- may establish a new paradigm in this post-modern era which emphasizes the breaking from the modern way of thoughts focusing on rationality.

      • 풍력발전단지 입지선정을 위한 발전량 예측에 관한 연구 : 풍력발전단지 입지선정 계획은 풍속이 우수한 지역중심으로

        최창용 경상국립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deals with the prediction of generation output essential for verifying the feasibility of installed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s. So it is derived a new probabilistic output expression that combines a wind generator output with a generator output characteristic curve. It also explains how wind speeds measured on the ground can be corrected to wind speeds at the height of the wind generator, as the wind speed change depending on the location. This derived output prediction method is applied to the planned wind farms in Joguri and Dapori areas in southern Geoje Island to predict the output. The results and methods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profitability evaluation of planning new wind farm.

      • 한·미 FTA가 한국 쇠고기산업에 미치는 파급영향과 대응전략

        최창용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Free trade agreement (FTA) contracting is coming to be many gradually in the world. Korea contracts the many countriesfor export competitive power reinforcement of industrial product .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tarted a real agreement in 2006. Now there is to a finishing phase of agreement. But the FTA of the United States which is a world-wide 1st dignity concentration product export large country and is forecast with the fact that it will decrease the damage which is serious in Korean agriculture. Specially beef industry of Korea still the size decease competitive power is weak. There is a possibility of receiving the case fatal effect where the FTA will be actualized with US that great power in beef industry. From the research which it sees did the Korea and America FTA bring what kind of effect in beef industry of Korea to analyze, the present study suggest an approach to the delineation of the major attitudes and pattern common to effect of beef industy in korea. Throughout this study I have relied as much as possible on data from a variety of source to facilitate Lee byoung-oh(2006)’s direct damage (benefit decrease estimates) used industry connection analysis techniques. When it produces the amount of money which corresponds to the damage misfortune of namely domestic beef industry it produces the expense of the fire tube industry for, becomes the consequential damage misfortune, the expense escape of fire tube industry applies the production mortar coefficient which uses the industrial fire tube ticket and it produces. The Indirectness the damage used an inter-industry relation table to Korea bank in 2000, 404 of basic section in the Korean beef synthesize 33 of section. As a result, measurement of The Indirectness the damage is From minimum 183 billion to maximum 1844 billion and if it add the immediateness damage of Korean beef industry From minimum 295 billion to maximum 2972 billion. To be like it minimizes the place damage where the big damage is forecast in Korean beef industry with the sensitive item or the tariff abolition exceptional item from agreement process arrangement to try the confrontation plan for, in order to be classified, discrimination of the beef leading and strengthening a competitive power, last to improve the structure of Korean beef industry If it explains a solution plan concretely, The United States when agreeing the FTA, against the relative country demands market opening strongly. But, it follows actually in situation and the contents is different. The discrimination of the beef will lead and immediacy characteristic it will can secure. To be very careful becomes the scientific civil official and it is possible from farm to table in th e production phase, processing phase and circulation consuming phase. It is a possibility immediacy characteristic security becoming the good plans to GAP in system of production phase, HACCP in system of processing phase, for example, butchery market , and traceability in circulation and consuming phase The direction which improves the structure of beef industry of Korea flows, first, the well round (Well being) the birds and health intention development of the function characteristic beef which suits, size magnification the cost reduction which leads, to be the systematization back heightening of competitiveness for a marketing power reinforcement, two it cuts open but the supersonic waves measurement back the quality brazier with polishing the technique which is joined together, creating an added value, if three the immediacy characteristic which it cuts open from producing the beef the consumer will be able to trust the discrimination marketing strategy of the foreign nation obstetrics, last to develop.

      • 대학 취업 프로그램 참여와 취업률과의 연관성 고찰 : 전라북도 전주시 J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창용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employment rate and employment programs the is Centered on the J University in Jeonju City, Jeollabuk-do province

      • 영유아기 양육환경이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최창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아동의 사회적 발달을 지원하는 것은 사회복지 연구의 오랜 목표이다. 그 중 아동이 초등학교 전환기에 보이는 사회적 문제행동은 학교적응의 중요한 지표이자, 아동에게 장기적이고 다차원적인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의 발달과정을 살피고, 개입 전략 및 정책 지원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는 것은 사회복지 연구의 주요 과제이다. 그러나 한국의 기존 연구들은 몇 가지 한계를 갖고 있다. 첫째, 영유아기 양육환경가 아동의 사회적 발달 결과에 핵심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널리 수용되는 이론적 가정이지만, 한국 아동들을 대상으로 영유아기 양육환경의 종단적 영향의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는 연구가 부재하였다. 둘째,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의 외현적 유형인 공격성과 내재적 유형인 사회적 위축 간에는 상반된 특성과 함께 높은 수준의 상관관계와 공통된 예측요인이 보고되지만, 분절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이에 따라 둘의 발달과정상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셋째,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자원은 부모, 교사, 지역사회 등 환경적 요인을 중심으로 탐색되어 왔으며, 환경적 영향이 아동의 어떠한 내적 자원을 통해 행동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넷째, 아동의 부정적 발달 결과를 설명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되어온 가족과정모형은 가구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과 그를 매개하는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왔다. 그러나 사회경제적 지위를 제외한 중요한 양육환경 변인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다섯째, 가족과정모형 연구는 양육환경의 영향이 아동 발달 결과에 미치는 영향만을 확인하여 왔으며, 양육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아동 발달 결과가 후속되는 양육환경과 아동 발달 결과에 미치는 연속적인 가족과정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사회복지 연구 및 실천에 기여하기 위하여, 가족과정모형에 기반을 둔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영유아기 양육환경의 종단적 영향의 실증적 검증,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 관련 요인의 통합적 분석, 아동의 개인 내적 자원으로서 자기조절 능력을 고려, 사회경제적 지위와 함께 가족과정의 핵심 영향요인인 영아기 양육행동을 포괄, 아동의 선행 사회적 문제행동 수준을 포함하는 가족과정모형을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영아기 양육환경(양육행동, 가구소득, 어머니 학력)에서 아동의 선행 사회적 문제행동 (만 4세 공격성 및 사회적 위축), 유아기 가족과정(온정적 양육태도, 부부갈등), 초등학교 전환기 자기조절(만 7세 행동적 집행기능), 사회적 문제행동 (만 7세 공격성 및 사회적 위축)으로 이어지는 가족과정모형을 검증하였다. 이 때, 아동의 성별, 출생순위, 부정정서성 기질, 활동성 기질은 통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양육환경은 아동의 만 4세 시기와 초등학교 전환기(만7세)의 사회적 문제행동(공격성, 사회적 위축)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영아기 양육환경은 아동의 만4세 시기 사회적 문제행동(공격성, 사회적 위축) 수준을 매개하여 유아기 가족과정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영아기 양육환경은 유아기 가족과정 요인을 매개하여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공격성, 사회적 위축)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영아기 양육환경은 유아기의 양육환경과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공격성, 사회적 위축)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모형 분석 및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아동의 만 0세 시기부터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만 7세까지에 해당하는 한국아동패널의 1차년도(2008년)부터 8차년도 (2015년)까지의 8개년도 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1차년도 어머니 조사에 참여한 후 8차년도까지 패널이 유지된 전체 가구 중 사별, 이혼, 별거를 통해 가족 해체가 일어난 34가구의 자료를 제외한 1,360가구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일변량 분산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등의 양적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의 간접효과의 유의도는 효과분해를 통해 확인되었으며, 개별 간접효과 경로의 유의도는 팬텀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연구문제별로 관련된 분석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양육환경은 아동의 만 4세 시기와 초등학교 전환기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만 4세 및 초등학교 전환기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의 네 지표에 대한 일변량 분산분석 결과, 양육행동 및 가구소득의 수준에 따라 구분된 집단 간에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집단별 평균치 및 사후검정을 통해 영아기 양육행동의 질적 수준이나 가구소득이 높은 집단일수록 사회적 문제행동 수준이 점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서는 두 시기의 공격성에 대해서만 유의한 집단 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또한 구조모형 분석 결과, 영아기 양육행동과 가구소득은 두 시기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에 유의한 직접 효과 또는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머니 학력은 초등학교 전환기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에 대한 전체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일부 간접효과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영아기 양육환경이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에 유의한 종단적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영아기 양육환경이 초등학교 전환기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 가족과정은 아래의 연구문제들에서 다루었다. 둘째, 영아기 양육환경은 만 4세 시기 공격성을 매개하여 유아기 가족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만 4세 시기의 공격성은 유아기의 온정적 양육태도를 저해하고 부부갈등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 만 4세 시기의 사회적 위축은 유아기 가족과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영아기 양육행동과 가구소득은 만 4세 시기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을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며, 영아기의 두 변인은 유아기 온정적 양육태도와 부부갈등과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만 4세 시기 공격성을 매개하여 유의한 간접효과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영아기 양육행동과 유아기 온정적 양육태도 및 부부갈등, 어머니 학력과 부부갈등 간에는 유의한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영아기의 긍정적인 양육환경이 직간접적인 효과를 통해 유아기의 긍정적인 가족과정으로 이어지며, 아동의 선행 공격성 수준이 그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영아기 양육환경은 유아기의 가족과정을 매개하여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먼저 유아기 가족과정 요인은 초등학교 전환기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유아기 온정적 양육태도는 초등학교 전환기 사회적 위축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유아기 부부갈등은 공격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개념적으로 보다 유사한 가족과정 요인과 사회적 문제행동 유형 간에 보다 강한 관계가 확인되었다. 영아기의 양육환경은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미치지 못하였으나, 만 4세 시기 사회적 문제행동 수준과 유아기 가족과정 요인을 매개하여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아기 양육행동과 가구소득은 만 4세 공격성과 유아기 부부갈등을 순차적을 매개하여 초등학교 전환기 공격성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미쳤으며, 만 4세 공격성과 온정적 양육태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초등학교 전환기 사회적 위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만 4세 공격성을 매개하지 않는 가족과정들도 확인되었다. 영아기 양육행동은 부부갈등을 매개하여 공격성에, 온정적 양육태도를 매개하여 사회적 위축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미쳤다. 어머니의 학력은 부부갈등을 매개하여 공격성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만 4세 시기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은 각각의 초등학교 전환기 수준에 대해 직접효과를 보이며, 영아기 양육행동 및 가구소득과 만 4세 공격성/사회적 위축, 초등학교 전환기 공격성/사회적 위축의 유아기 가족과정을 매개하지 않은 경로들의 간접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은 영유아기 양육환경이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등학교 전환기의 행동적 집행기능으로 측정된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은 아동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 모두를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며, 만 4세 시기의 공격성과 유아기 부부갈등이 행동적 집행기능에 대한 유의한 직접효과를 보였다. 온정적 양육태도는 행동적 집행기능과 유의수준 p<.10에서만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행동적 집행기능은 영아기부터 초등학교 전환기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에 이르는 전체 가족과정 속에서도 유의한 한 경로로 확인되었다. 앞서 초등학교 전환기 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모든 개별 가족과정 경로들은 행동적 집행기능을 추가로 포함하였을 때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위축에 대해서는 행동적 집행기능을 포함함으로써 추가적인 가족과정이 확인되었다. 앞서 온정적 양육태도만이 사회적 위축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경로로 확인되었으나, 행동적 집행기능을 고려한 결과 부부갈등과 행동적 집행기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사회적 위축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미치는 가족과정 경로들이 추가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이론적 가정으로만 남아있던 영아기 양육환경이 한국의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처음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가진다. 또한, 둘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보고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분절적으로 연구되어 온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을 단일한 연구모형을 통해 관련 설명 요인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아동의 발달 결과를 설명하는 이론적 틀로 널리 사용되어 온 가족과정모형을 이론적으로 확장하는데도 기여하였다. 영아기 양육환경까지 포함하는 전체 생애과정을 반영하고, 사회경제적 지위에 더해 양육행동의 영향을 고려하고, 부모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아동의 선행 사회적 문제행동 수준과 개인 내적 자원으로서 자기조절 능력을 포함한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가진다. 먼저 본 연구는 한국 아동을 대상으로 영유아기 양육환경의 종단적 영향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마련하며, 조기 아동기 개입을 위한 정책 마련 및 개선을 제언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전환기 아동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 감소를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학교 기반의 자기조절 능력 향상 서비스의 제공을 제안한다. 셋째, 영아를 둔 부모의 바람직한 양육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가구가 경험하는 영유아 아동 양육상의 어려움을 확인하고 이들에 대한 지원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다섯째, 아동에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양육환경이 아님에도 아동의 자기조절, 공격성, 사회적 위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부부갈등의 중재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높은 초기 공격성 등 다루기 힘든 특성을 보이는 자녀를 양육하는 가족의 가족과정 향상을 위한 서비스를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함의에도 불구하고,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 발달 과정을 가족 체계 내에서만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또한 2차 자료를 활용한 연구로 활용가능한 자료상 한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아동의 사회적 문제행동에 대한 영유아기에 걸쳐 살펴보는 초기 연구로서 전체 집단의 평균적 발달 과정을 확인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한계를 고려하며, 다양한 가구 유형에 따른 특성을 확인하고, 가정 외 환경 체계의 영향을 고려하는 후속 연구들을 통해 한국 아동의 사회적 발달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길 기대한다. Establishing evidence for reducing problematic social behaviors is an essential goal of social work research. Preventing problematic social behaviors at elementary school entry i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they hinde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 dual failure in social relationship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literature revealed that earlier symptoms of problematic social behavior have severer and broader negative impacts on children in their life courses. Therefore, more research evidence is needed for early childhood interventions that aim to prevent problematic social behaviors of children.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mily processes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that relate to children's problematic social behavior at elementary school entry (age 7).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finds several limitations of existing theory and literature in South Korea. First, there was no study that provided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 theoretical hypothesis that child-rearing environment in infancy has a long-lasting influence on later social developmental outcomes. The lack of evidence makes it difficult to encourage early childhood interventions. Second,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al pathways of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the two most representative subtypes of externalization and internalization problems. Given that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re closely related but distinct behaviors, it is needed to investigate these two concepts separately but simultaneously. Third, although children's own internal resources or behavioral strategies mediate the impa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children's behaviors, the majority of literature in family studies overlooked them. It needs to investigate which and how children’s internal resource such as self-regul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children's behavioral outcome. Fourth, the family process model provides a useful theoretical framework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status of family on children’s outcomes and the underlying pathways. However, this model has mostly been applied to explain the outcomes in adolescence and did not consider other critical factors than social-economic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which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literature in South Korea. This study has four research questions as follow: (1) Does rearing environment in infancy have longitudinal effects on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t age 4 and 7? (2) Do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t age 4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aring environment in infancy and family process factors in early childhood? (3) Do the family processes from infancy to early childhood explain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t school entry (age 7)? (4) Does self-regulation mediate the influence of family processes from infancy on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t school entry?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suggests and tests a family process model from age 0 to 7 with regard to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To be specific, the research model contains the following constructs in each of the five family process phases. (1) rearing environment in infancy (age 0-2): quality of rearing behavior of mother, household income to needs, and mother's educational level, (2) the early level of problematic social behavior (age 4): children's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3) family process mediator in early childhood (age 4-6): warmth parenting and marital conflict, (4) self-regulation at school entry (age 7): behavioral executive function, (5) problematic social behavior at school entry (age 7): children's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The research model is analyzed with a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the Panel Study in Korean Children. Eight waves of data, wave 1 (2008, age 0) to 8 (2015, age 7), collected from 1,360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re utilized for analysis. The results from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re discuss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Firs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rearing environments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children's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t age 4 and 7. The results from ANOVA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t age 4 and 7 among groups defined by the level of rearing behavior and household income. Social withdrawal at age 4 and 7 a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ternal education level. In general, the mean score of problematic social behavior is gradual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level of rearing environmental factors. The results from SEM show that rearing behavior and household income in infancy have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t age 4, an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t age 7. Also, household income in infancy h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ocial withdrawal at age 7, while maternal education level has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aggression at age 7. Second, aggression at age 4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aring environments in infancy and family process in early childhood. Aggression at age 4 h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warmth parenting in early childhood a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marital conflict in early childhood. Also, the quality of rearing behavior and household income in infancy hav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aggression at age 4, and their indirect effects on warmth parenting and marital conflict are mediated by aggression. The two factors in infancy also hav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social withdrawal at age 4, but social withdrawal does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warmth parenting and marital conflict. Also, the quality of rearing behavior has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warmth parenting and marital conflict. The maternal education level h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marital conflict. Third, the family processes from infancy to early childhood explain the level of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t school entry. The results identify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nceptually similar constructs among family process factors in early childhood and problematic social behaviors at school entry. To be specific, warmth parenting h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social withdrawal, whereas the marital conflict h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aggression. The quality of rearing behavior and household income have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aggression through sequential mediation of aggression at age 4 and marital conflict. They also have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ocial withdrawal through sequential mediation of aggression at age 4 and warmth parenting. The following three indirect paths are also significant: (1) rearing behavior → warmth parenting → social withdrawal, (2) rearing behavior → marital conflict → aggression, (3) maternal education → marital conflict → aggression. Lastly, the results suggest that self-regul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amily process of the early development of problematic social behaviors. Children with higher self-regulation, measured by behavioral executive function, show a lower level of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t school entry. Also, self-regulation has significant direct or indirect relationships with the family process factors in earlier ages: rearing behavior, household income, maternal education in infancy, aggression at age 4, and marital conflict in early childhood. The results of the phantom analysis report that self-regula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entire family process from rearing environment in infancy to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t school ent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hantom analysis, every single indirect pathway made by the combination among variables in significant direct effec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g., household income → aggression at age 4 → marital conflict → self-regulation → aggression at school entry; or rearing behavior → marital conflict → self-regulation → social withdrawal at school entry). This study has theoretical,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is is the first Korean study that provides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 longitudinal effects of infancy rearing environment on problematic social behaviors. South Korea has limited expenditure and strategies for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and most of existing resources are concentrated on physical health and dayc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arly childhood interventions for promoting the quality of rearing behavior and supporting socio-economic hardships may reduce children's social problems in later lives. Second, the findings of mediators explaining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effects of rearing environment in infancy (e.g., aggression at earlier ages, warmth parenting and marital conflict) suggest specific strategies for healthier family processes that can prevent children's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Third, interventions for improving self-regulation of children in schools and families can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lessening problems in social relationships. This study illustrates the substantive role of self-regulation in the developmental pathway of children's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In summar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knowledge base for developing effective early childhood interventions and policies to support Korean children’s healthy social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