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만의 원자력발전소 건설은 어떻게 중단 되었는가

        최창근(Chang Gun Choi),장지호(Ji Ho Jang) 한국정부학회 2015 한국행정논집 Vol.27 No.3

        부존자원 부족이라는 태생적 한계로 인하여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대만에서 원자력발전 문제는뜨거운 감자다. 그 중 1980년대에 공사가 착수된 후, 2014년 공정률 98%의 발전소가 잠정 폐쇄라는 다소의외의 결정에 이른 제4기 원자력발전소는 20년 넘게 지속되어 온 정책갈등 문제이다. ‘남천녹지(藍天綠地)’ 라 불리며, 각종 정치·사회 이슈 때 마다 국민당을 위시한 범람진영과 민진당을 위시한 범록진영으로 나뉘어 갈등을 벌이는 대만에서 제4기 원전 건설 문제는 이러한 정책갈등의 대표적 사례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년 이상 장기간 건설-중단-재개-잠정폐쇄로 이어진, 대만 제4기 원자력발전소 사례를 정책옹호연합모형(ACF)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한국에의 시사점을 살펴본다. A nuclear power station is a highly controversial topic in Taiwan where reliance on fuel imports is commonplace owing to the consequence of an innate flaw in securing resources. Among all the bitter controversies aroused, the fourth nuclear power station has been especially at the center of policy makers’ attention over 20 years. This study focuses on Taiwan’s initial decision on its construction in 1980 and the latest decision on its shutdown in 2014 despite its 98% completion. In this study, the policy conflict over the Taiwanese fourth nuclear power plant which experienced construction - deconstruction - reconstruction - provisional arrangement of shutdown for more than 20 years is analyzed using ACF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 KCI등재후보

        울진 바다목장 주변해역 연성기질 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황강석 ( Kang Seok Hwang ),서인수 ( In-soo Seo ),최병미 ( Byoung-mi Choi ),이한나 ( Han Na Lee ),오철웅 ( Chul Woong Oh ),김미향 ( Mi Hyang Kim ),최창근 ( Chang Gun Choi ),나종헌 ( Jong Hun Na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는 울진 바다목장 해역에서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생물다양성, 개체수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해역 연성기질 조하대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345종 8m-2에 단위면적당(m-2) 출현 개체수는 5,797개체이었다. 분류군별 출현 종수와 개체수에 있어서는 환형동물의 다모류가 각각 154종, 44.64%와 193,320개체, 83.37%의 점유율을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한편 연구해역의 주요 우점종으로 다모류의 민얼굴갯지렁이(Spiophanes bombyx)는 124,385개체(평균 3,110±4,434개체 m-2), 53.64%의 점유율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Magelona sp.1이 16,130개체 (평균 403±926개체 m-2)로 6.96%를 차지하였다. 이 밖에 이매패류의 Cadella semitorta, 다모류의 긴자락송곳갯지렁이 (Lumbrineris longifolia) 및 이매패류의 겨자씨조개 (Alveniusojianus)의 순서로 각각 6,325개체(2.73%), 5,010개체 (2.16%) 및 4,820개체 (2.08%)가 출현하였다. 한편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2개의 그룹과 1개의 정점 (5월의 정점 4)으로 구분되었다. 이 가운데 그룹 1은모든 조사시기의 정점 2, 3, 5, 6, 8 및 9가 포함되었고, 환경적으로 30~60 m 내외의 수심과 세립질 퇴적물이 우세한 정점들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또한 본 그룹에 속하는 대형저서동물은 총 282종(평균 66±15종)과 7,471개체 m-2의 밀도에 다모류의 Magelona sp.1, 긴자락송곳갯지렁이, 삼각모자갯지렁이(Scoloplos armiger), 꼬리대나무갯지렁이 (Praxillella affinis), 민숭대나무갯지렁이 (Maldanecristata)와 겨자씨조개 등이 주요한 구성종이었다. 반면 그룹 2는 모든 조사시기의 정점 1, 4, 7 및 10으로 구성되었고, 환경적으로 수심과 퇴적상은 각각 5m 내외의 조립질 퇴적물이 우세한 정점들이었다. 또한 생물적으로는 181종 (평균 37±18종)과 3,287개체 m-2를 나타내었고, 주요 우점종은 이매패류의 Cadella semitorta와 다모류의 Lumbrineriopsis sp.이었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연구해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연안으로 부터의 이격정도와 그에 따른 수심과 퇴적물의 조성차이에 의해 그 구조를 달리하고 있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and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Uljin Marine Ranching area, East Sea of Korea. Macrobenthos were collected using a modified van Veen grab sampler from April to September 2013. Total number of species sampled was 345 and mean density was 5,797 ind. m-2, both of which were dominated by the polychaetes. The most dominant species were Spiophanes bombyx (53.64%), followed by Magelona sp.1 (6.96%), Cadella semitorta (2.73%), Lumbrineris longifolia (2.16%) and Alvenius ojianus (2.08%). Cluster analysis and nMDS ordination analysis based on the Bray-Curtis similarity identified 2 station groups. The group 1 (station 2, 3, 5, 6, 8 and 9) was characterized by high abundance of the polychaetes Magelona sp.1, Lumbrineris longifolia, Scoloplos armiger, Praxillella affinis, Maldane cristata and the bivalve Alvenius ojianus, with fine sediment above 30m water depth. On the other hand, the group 2 (station 1, 4, 7 and 10) was numerically dominated by the polychaete Lumbrineriopsis sp. and the bivalve Cadella semitorta, with coarse sediment below 5m water depth. Collectively,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showed a distinct spatial trend, which seemed to be related to the water depth and sediment compo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