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 학생을 지도하는 특수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인식과 경험 탐색

        최지혜(Jee Hae Choi),정소영(So Young Jung),이영선(Young Sun L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학생을 지도하는 특수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인식과 경험을 탐색하여 향후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세계시민교육의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발달장애 학생에게 세계시민교육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10명의 초등·중등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자료는 전사 후 지속적 비교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5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 특수교사는 세계시민교육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2) 왜 발달장애 학생에게 세계시민교육이 필요한가?, 3) 무엇이 발달장애 학생의 세계시민교육을 어렵게 하는가?, 4) 특수교사는 세계시민교육의 결과로서 무엇을 기대하는가?, 그리고 5)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세계시민교육을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발달장애 학생도 세계시민으로서 정당한 권리를 가지며, 이에 대한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이에 따라 교육의 기본 권리로서 발달장애인에게 세계시민교육이 시행돼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발달장애인의 특성이 세계시민교육의 시행에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기에 발달장애 학생에게 적합한 세계시민교육 내용과 교수 방법이 연구될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은 세계시민교육이 발달장애 학생의 사회성 발달, 세계관 확장 등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세계시민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 through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find ways to support them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is research purpose,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0 elementary and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teaching GCE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inuous post-transcription comparison method, and five major topics were derived: 1) How do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fine GCE? 2) Why do they need GC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3) What makes GCE difficul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4) What do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ct as a result of GCE? And 5) what efforts are needed for GC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nts in this study recognized that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so have legitimate rights as global citizens and need to play a role, and accordingly, GCE should be implemented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basic right to education. However, he mentioned the need to study th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f GCE suitabl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act as a barrier to the implementation of GCE. In addition, specia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expected that GCE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worldview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to revitalize GC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 KCI등재

        특수교사를 위한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 측정 도구 개발

        최지혜(CHOI JEE HAE),이영선(LEE YOUNGSUN),주란(JU RA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2 특수교육논총 Vol.38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를 위한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 척도와 측정 도구의 문항을 검토하고 수정·보완하여 특수교사용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전문가 검토, 현장적합성 검사, 예비조사 단계를 거쳐 전국 유아, 초등, 중등 특수교사 527명에게 본조사를 시행하였다. 최종 486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특수교사용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 결과 특수교사용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 척도는 ‘세계시민교육 이해’, ‘세계시민성(지식, 기술, 태도)’, ‘세계시민교육 교수 역량’의 3가지 요인구조로 설정되었다. 전체 수렴타당도는 .930이었고, 하위요인별 수렴타당도는 .814부터 .941까지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든 영역(χ², df, χ²/df, CFI, TLI, SRMR, RMSEA, CR, AVE)에서 해당 측정 도구가 타당하고, 안정적으로 측정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단순재현전략(loose replication strategy)을 사용하여 교차타당도 분석한 결과, 두 모델은 모두 수용 가능한 범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특수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교사 역량을 파악할 수 있는 측정 도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이를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신뢰롭고 타당한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특수교사의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을 강화할 연수를 개발하고, 특수교사를 위한 세계시민교육 연수를 시행하여 이에 대한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tool to measure the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 based on previous studies. Method: We reviewed the GCE teacher’s competency scales and measurement tool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and extracted possible items. Finally, we completed the tool with 27 items through the processes of content validity and a pilot field test. Five hundred and twenty-sev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nationwide participated in out survey; and the response of the final 486 teacher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urther,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the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CE and to grasp the validity. Resul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actor structure was set up in three ways: “Understanding GCE”, “Global Citizenship” (knowledge, skills, attitude), and “GCE teaching Competency”. The overall convergence validity was .930, and the convergence validity by sub-factor was high and between .814 to .941.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surement tool was valid and stably measurable in all areas (χ², df, CFI, TLI, SRMR, RMSEA, CR, AVE), and the cross-validation analysis using a loose replication strategy showed that both models were within acceptable ranges.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it is possible to reliably and reasonably measure teachers’ competence by developing a measurement tool for teachers in the absence of such a tool to measure their competence in GC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ossible not only to develop training methods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future, but also develop tools to conduct GCE training for such teachers and measure their effectiveness.

      • KCI등재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최지혜(Choi Jee Hae),박정연(Park, Joung Yeon),안경숙(An Kyoung Suk),이숙향(Lee Suk-H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을 탐색하여 이를 통해 효과적인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현장 지원 방안을 도출해 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고려하여 특수교육 경력 3년 이상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이 있는 10명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Zoom을 통한 비대면으로 이루어졌으며 면담자료는 모두 전사한 후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전사된 면담 자료는 지속적 비교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7가지의 대주제와 30가지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대주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육과정 재구성 실행 방법, (2) 교육과정 재구성의 성과, (3)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영향요인, (4)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교사 개인적 제약요인, (5)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환경적 제약요인 (6) 제약요인에 대한 극복방안, (7)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지원요구. 결론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강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1)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해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실질적인 협력 환경 구축, (2)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적인 연수 개발, (3) 현장에 기반한 교육과정 및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연구 활성화, (4) 특수교육 교원 확충 및 교육환경 개선.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urriculum redesign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upports for effective curriculum redesign. Methods Considering this purpose, i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pecial teachers who had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s in curriculum redesign.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non-face-to-face using Zoom in consideration of the COVID-19 situations, and the reliability was confirmed after all the interview contents were transcribed. After tha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7 major themes were emerged along with 30 subthemes: (1) methods to implement curriculum redesign, (2) outcomes of curriculum redesign, (3) influencing factors in curriculum redesign (4) barriers in teacher personal level about curriculum redesign, (5) environmental barriers in curriculum redesign, (6) methods to overcome of the barriers, and (7) supports for curriculum redesign.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supports for enhanc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capacities to redesign curriculum were discussed as follows: (1) establishing practical cooperative environments for curriculum redesign through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2) enhanc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urriculum redesign, (3) doing research on field-based curriculum and curriculum redesign, and (4) increasing the number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improving educational environments.

      • KCI등재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 분석 -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최지혜(Choi Jee Hae),이대송(Lee Dae S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장애학생을 위한 세계시민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특수교육 교과 전문가 세 명이 각자 Merryfield의 분석 틀을 이용하여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에서 세계시민교육 관련 내용요소와 성취기준을 분류하였으며, 이후 세 명의 결과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되는 내용요소와 성취기준을 분석결과로 도출하였다. 또한, 분석결과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15년 이상의 세계시민교육 경력이 있는 일반교육 사회과 교사에게 전문가 검증을 받았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첫째 간학문적인 이해와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내용을 강조해야 한다. 둘째 비판적 맥락에서 편견 해소와 도덕교육의 중요성 인식하기 위한 내용을 강화하여야 한다. 정책 및 현장에서의 실제를 위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다원주의 관점에서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해야 한다. 둘째, 사회과 교육의 지향점을 세계시민교육에 둔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지구적 세계관의 습득뿐 아니라 인권과 다양성 존중, 배려와 평화적 갈등 해결의 요소까지를 포함하는 광의의 교육적 시도로 해석(허수미, 2018)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that was revised in 2015.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three experts i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used Merryfield s analysis framework to classify the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The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criteria to be derived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results.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results, experts were verified by general education social studies teachers who have more than 15 years of experience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first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should be emphasized.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ntent to resolve prejudice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oral education in a critical context. The policy and the implications for actual in the field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should be made more abundant in order to develop an attitude that respects various cul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pluralism. Second, placing the goal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a broad educational attempt that includes elements of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diversity, consideration and peaceful conflict resolution as well as the global worldview.

      • KCI등재

        장애학생 가족을 대상으로 실시된 상담지원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

        김나경 ( Kim¸ Na Kyung ),최지혜 ( Choi¸ Jee Hae ),박지연 ( Park¸ Jiyeon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가족을 대상으로 실시된 상담지원 관련 국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상담지원의 실제 및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국내 논문 37편을 선정하여 연구 동향과 상담지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2012년에 가장 많은 수의 논문이 발표되었고 주 양육자, 특히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장애학생의 학교급과 장애유형은 각각 초등학교, 발달장애가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으로는 비교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둘째, 상담지원 구성을 분석한 결과 상담유형으로는 집단상담이, 상담방식으로는 미술치료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이론적 배경이 제시되지 않은 논문이 가장 많았으나 제시된 논문 중에서는 인지행동치료 이론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셋째, 상담지원 방법 분석 결과 상담자 배경 정보, 상담 장소가 명시되지 않은 연구가 많았고, 단기상담으로 진행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넷째, 상담지원의 성과를 알아보기 위해 장애학생 가족의 부정적 정서를 측정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아버지와 조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 특정 상담유형과 방식에 국한되지 않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상담지원 방법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밝히고, 상담지원의 성과로 장애학생 가족의 긍정적 정서변인을 살펴보는 후속연구가 증대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in counseling support research conducted in Korea for family membe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in counseling support. Thirty seven studies published from 2010 to 2020 were selected and analyze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has been published in 2012 and the most main participants were mothers. In terms of disability type and age of the participants’ childre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lementary students were the most. The majority of studies used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Second, the most frequently used counseling types and media were group counseling and art therapy each. Most studies did not declare their theoretical backgrounds, bu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heory accounted for the majority among the studies that presented a theoretical background. Third, a number of studies did not provide details regarding qualifications of counselors and counseling places. In terms of length, short-term counseling was the most frequently applied. Fourth, most studies focused on the amelioration of families’ negative emotions as an outcome of counseling. This study implied that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regards to counseling for fathers and grandparents and that counseling types and media should be diversified. Also, future studies should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counseling methods and pay attention to positive emotion as an outcome of counseling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