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웰빙문화 관점에서 재해석한 근적외선구이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최정민(Choi Jungmi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4

        현대 산업사회의 병폐를 인식하고 정신적. 육체적 건강의 조화를 통해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을 영위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웰빙이 우리사회를 이끄는 트렌드가 되었다. 대중화된 소비코드로 자리 잡은 웰빙 문화에 대하여 논하고 웰빙의 문화적 가치를 접목하여 시장에서 큰 호응을 받은 성공사례를 미용 식품 생활가전으로 구분해서 대표적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기업에서 웰빙의 문화적 가치를 반영하지 못하면 시장에서의 상품경쟁력을 높일 수 없으며 결국 소비자의 외면을 받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 식생활의 세계화로 인한 육류 및 해물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고지방 및 조리과정에서의 발암물질 생성 등의 문제를 안고 있으며 이를 인식하여 웰빙의 관점에서 재해석한 근적외선 구이기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고기를 굽는 열원과 제품의 구조를 새롭게 제안하여 고기가 들러붙거나 타거나 시간이 흐르면 말라버리고 기름이 튀는 문제를 해결 하고자 하였으며 기존 열원에 비해 열효율 안전성 무독 무취 등의 장점을 지닌 근적외선을 조리기기 열원으로 적용하는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 웰빙 문화는 오랜 기간 물질적 가치와 정신적 가치가 조화롭게 균형 잡힌 진정한 모습으로 전개 될 것이다. As more and more people seek to relish happy beautiful life through spiritual and physical health in recognition of the pitfalls of contemporary industrial society well-being emerged as a trend that leads our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well-being culture that settled itself as popularized consumption symbol and looked into major success cases that were well received in the market in groups of aesthetics food home electronics and clothing by grafting the cultural values of well-being. If companies do not reflect the cultural values of well-being they may not increase commodity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and are bound to be estranged by consumers in the end. In this regard as the Korean consumption of meat and fish increases due to globalization of eating life the problems of involvement of high fat and generation of cancer producing substances during cooking process are at hand and thus by recognizing such problems this study proposed near infrared light roaster which is re-analyzed in well-being perspective. By newly proposing the existing structure of heat source and product that roasts meat this study made new attempt to apply near infrared light which demonstrates advantages like higher heat efficiency better safety no toxicity and no smell etc over existing heat source as heat source of cooking instrumen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meat scorching burning being stuck up and oil splashing. Well-being culture will be relished through true harmonization of material values and spiritual values for prolonged period.

      • KCI등재

        제품/시스템 디자인을 위한 도메인지식 기반 디자인 툴 개발

        최정민(Choi, Jungmi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7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6 No.3

        연구배경: 최근 제품/시스템 인터랙션 디자인에서 사용자 경험에 대한 초점이 쉽고 효율적인 사용에서 고품질의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즐거움으로 확장되고 있다. 밥솥의 경우, 밥짓기라는 가사노동의 효율성 측면 뿐 아니라 맛있는 밥이나 음식을 만들 수 있는 효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사진찍기에 있어서도 본인의 만족과 SNS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자랑거리가 될 수 있는 퀄리티 있는 사진촬영 앱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가 고품질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품/시스템 디자인 방법론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도메인지식 기반 디자인 툴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디자인 분야 또는 타 분야에서 제시되어온 디자인 툴과 지식기반 디자인 사례를 살펴본 후,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식기반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과 개발방법을 제시한다. 제안한 프로세스 모형은 1) 지식 구조화, 2) 과업 분석, 3) 과업-지식 연결, 4) 지식 전달, 5) 프로토타입 사양 정의 등 순차적으로 제시되는 5개 단계로 구성된다. 연구결과: 제안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을 기반으로 디자인 지원 소프트웨어 툴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툴을 사용하여 제품/시스템 디자인에 활용 가능한 지식 체계를 구성해나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사진촬영’ 도메인을 사례로 선택하였다. 제품/시스템 사용상의 과업과 이 과업 수행에 관련된 도메인지식을 정의하고 사용 상황을 고려하여 실제 프로토타입을 구성하는 단계로 진행되는 5개 모듈의 활용 방법을 설명하였으며, 툴 사용 결과물로서 UI디자인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연구결과물인 디자인 툴의 효용성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결론: 기존의 디자인 지원 툴들이 문제해결을 위한 절차적 가이드를 지원하는 데 초점을 둔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메인지식 기반 디자인 툴은 디자이너가 해당 분야의 문제해결을 위해 필요한 도메인지식을 파악하고 이를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후속연구로서, 제안한 툴을 활용한 제품/시스템 디자인 사례 개발을 더 정교하게 진행하고, 결과물에 대한 사용자 평가를 통하여 디자인 툴로서의 유용성을 면밀히 검토하고자 한다. Background: Recently, the focus of user experience in the product/system interaction design fields has been expanded toward users’ pleasant experience with producing high-quality results, not just easy and efficient use. For example, rice cooker users increasingly become interested in making delicious rice meals with the product, not just as household chore. Also, camera users’ concern and expectation level of photo quality is increasing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s. Seeking the product/system design methodology to help users produce high-quality results, the present paper particularly aims to develop a design-supporting tool, based on domain knowledge. Methods: The paper first reviews prior research examples of design-supporting tools and knowledge-based design approaches. Then, the model of knowledge-based design process is proposed. The process consists of five stages: 1) DK (Domain Knowledge) Structuring, 2) Task Analyzing, 3) Task-DK Mapping, 4) Knowledge Delivering, and 5) Prototype Specification. Result: Based on the process model, the knowledge-based design-supporting tool was developed. The ‘photo-taking’ domain was chosen as an example domain to explain the procedures of the developed tool. The research result was presented in the descriptions of the five modules and the information processed throughout the modules. A UI design cas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check up the usefulness of the design-supporting tool. Conclusion: While existing design tools tend to be focused on the procedural guidance for solving problems, the proposed tool is developed for supporting product/system designers to be able to create designs that reflect domain knowledge, needed for problem-solving. In the future study, more elaborated case studies of designing products/systems using the tool will be conducted, and then the output designs should be evaluated through user tests.

      • KCI등재

        이상치 검출 및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주거실태조사의 주거환경 만족도평가를 대상으로 -

        최정민(Choi JungMin),박동찬(Park DongChan) 한국주거환경학회 2017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5 No.1

        This study analyzed outliers which give a significant impact on reliability in the current Big Data era. We used the Housing Condition Survey (HCS)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 Korea as a main dataset. We focused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respondents, detected the outliers, and performed an empirical analysis for impact factors. Although we used the Mahalanobis distance method, which is a common method for outlier detection, we found that this outlier detection method was unreliable. Alternatively, the Naive Bayes Classification method was utilized to detect the outliers and to verify the impact factors. This choice of method was based on the fact that the high correlation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respondents are critical elements in the Naive Bayes Classification. The findings include that firstly, about 2,400 samples (12% of total) of the 2014 Housing Condition Survey were detected as outliers. Secondly, it was observed that the tendency of positive over-estimation about questions from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respondents in HCS is common. Thirdly, in order to reduce the occurrence of outliers in HCS, it is necessary to lessen the stress of respondents by avoiding long questions in table form.

      • KCI등재

        인근접거주 촉진 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최정민(Choi JungMin) 한국주거환경학회 2016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4 No.2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living-near families' in which mutual cooperation through strong ties among families is possible by having the aged parent generating and children generation rearing children of their own live next to or close to each other. Living-near families may be applied as a counterplan for the problem of low birth rate and aging problem in Korea since it mutually supports care and child-rearing. From the research, fir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Japanese local government’s support program to promote living-near families, there are 10 local government such as Chiba-city and Kobe-city along with Sinagawa-ku. This program was implemented in 2011 and the number of local governments implementing this is on the rise. The way of operation is different for each local government but the main purpose of this program is to increase the sedentary population of the area by caring for the parent generation and to lessen the child-rearing burden of the children generation. Secondly, the reason why the conditions for support and content are different for each Japanese government is because the area, population, economic state, housing conditions are all different and because the subsidy supporting by the local government is mostly a one-time thing and has a limit on period, when there are many applicants, the burden on their budget may act as a big limitation. Thirdly, as a survey analysis of two public dataset, the type and occupation of residenc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aged parent generation and the child-rearing children generation. Thus, living-near families connote the possibility of solving the housing mismatch problem between parent generation and child generation to some extent. Also, the preference of residence for the aged shown to be in the order of “living-near families > senior housing > living together”. However, the degree of that seeme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area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Seoul city and especially with the value of property. Fourthly, as a survey analysis of two private dataset conducted on residents of apartments, the preference was in order of “living nearby > living next to the other > living together”. However, the degre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amily composition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the respondent of the survey.

      • 대중교통 GIS DB 설계 및 구축

        최정민(Choi, Jungm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9

        본 연구는 다양한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현황을 공간적으로 파악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국가교통데이터베이스(KTDB) 구축의 일환으로 2013년부터 2014년에 걸쳐 수행한 과제이다. 대중교통과 관련이 있는 출발과 도착, 예매와 결제, 경로파악 등은 대중교통 개별 수단의 사이트나 각종 포털에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공간분석을 위해 GIS DB로 구축한 자료는 찾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구축대상이 되는 대중교통 수단은 버스(시내, 시외), 철도(도시내, 지역간), 국내선 항공 및 연안 여객 등이다. 대중교통 수단의 데이터 모델은 각각의 운행 특성에 맞게 설계하였으며, 경로분석 자료는 최적경로 탐색을 통해 일괄적으로 추출하여 GIS DB 형태로 구축하였다.

      • KCI등재

        멀티모달 제품 UX 디자인 시각화 프레임워크 제안

        최정민(Choi, Jungmi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0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9 No.4

        연구배경 디지털 입⋅출력 기술 개발이 활발해지고 모바일 앱을 비롯한 다양한 기기들과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제품이 늘어나면서, 우리 일상에서 제품과 상호작용하는 모습이 다채롭게 확장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하는 환경에서 제품 디자이너는 제품 인터랙션 니즈가 발생하는 구체적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자 경험(UX) 컨셉을 제시하고, 이를 다양한 표현 채널, 즉 모달리티(Modality)를 통해 가시화하여 전달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디자이너가 멀티모달 제품/시스템 UX 컨셉을 실제 구현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체적 인터랙션 아이디어로 시각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레임워크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멀티모달 제품 UX 시각화에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멀티모달 제품 UX 컨셉으로부터 최종 인터랙션 구현 단계로 이어지는 디자인 정보 시각화 연구의 필요성을 파악하였다. 이어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제품 인터랙션 니즈에 따라 적절한 모달리티를 고려할 수 있는 제품 UX 시각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이 프레임워크를 반영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시각화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앱과 연동되는 제품 UX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적으로 설명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제품 UX 기획 단계에서 제시된 컨셉을 다양한 인터랙션 모달리티를 통해 가시화하여 전달할 수 있는 체계적 제품 UX 시각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또한 이 프레임워크 적용 결과를 인터랙션 구현 단계로 연결시킬 수 있는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함께 제시하여 연구결과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결론 제안한 시각화 프레임워크를 통해, UX 컨셉으로부터 실제 인터랙션 프로토타입 구현까지 체계적으로 디자인 정보의 흐름이 이어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멀티모달 제품의 UX 디자인을 개발하는 디자인 교육 및 실무 프로젝트에서 아이디어 구체화를 돕는 체계적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s digital input and output technologies are rapidly evolving and more products are networked with other devices, including mobile apps, the way we interact with products in our daily lives is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e. Product designers need the ability to present user experience (UX) concepts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 situations in which people’s needs for product interaction occur, and to visualize and deliver them through various expression channels, i.e., modalitie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framework that can help designers visualize the UX concepts of multimodal products or systems to create detailed interaction ideas that can be linked to implementations. Methods Firstly,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ultimodal product UX visualization, it has been learned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s that can link between the multimodal product UX concept-making stage and the final interaction implementation stage. Then, a product UX visualization framework was proposed, by which designers can consider appropriate modalities according to product interaction needs. This study also presented a design process model based on the proposed framework. Finally, a UX project case of a product connected to a mobile app was explained analytically using the proposed visualization framework. Result This research proposes a systematic product UX visualization framework that can visualize and communicate the concepts presented at the product UX planning stage through various interaction modalities.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the visualization framework, this study also proposes a design process model that links the results of using the framework to the interaction implementation stage. Conclusion The proposed visualization framework provides the foundation for the systematic transformation of design information through the process from UX concept creation to interaction prototype implementation. The framework is also expected to be used as a systematic tool to help shape multimodal product UX design ideas in school and company design projects.

      • Evaluation of Near Data Processing System for Gen-Z connected Storage Class Memory

        최정민(Jungmin Choi),안수홍(Soohong Ahn),김선웅(Sunwoong Kim),김형수(Hyungsoo Kim),고병일(Byungil Koh),임의철(Euicheol Lim) 대한전자공학회 2019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1

        The trend toward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s leading to a dramatic increase in data that needs to be processed in the system. A SCM-based large capacity memory connected by serial interconnect is expected to be an efficient way to continuously improve a performance of the systems while overcoming the cost and capacity of DRAM. However, for data intensive workloads, the performance is significantly reduced due to the high latency and low bandwidth characteristics of the SCM-based system. In this paper, we evaluate a Near Data Processing (NDP) architecture to mitigate the workload dependency of the performance in the SCM-based large capacity memory system connected by Gen-Z interconnect.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1.7 times in the proposed system.

      • 가상 인플루언서의 소셜미디어 메시지 유형이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최민경(Choi Minkyeong),노은수(Noh Eunsu),최정민(Choi Jungmin)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소셜 미디어의 성장과 함께 오직 디지털 세상에서만 존재하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활동이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최근 가상 인플루언서는 높은 실재감을 가지고 대중들과 소통하고 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가상 인플루언서의 외양은 실제 인간과 아주 닮게 제작되어 물리적 실재감이 일정 수준 이상에 도달하였다. 그래서 가상 인플루언서의 물리적인 실재감보다 가상 인플루언서의 친근한 말투와 행동, 의지를 가진 대화 등으로 사회적 실재감을 높여 팔로워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끌어내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 인플루언서가 소셜 미디어에서 팔로워들에게 사용하는 메시지들이 사회적 실재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문헌 연구와 실험 및 관찰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 인플루언서의 메시지 유형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후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가상 인플루언서의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기 위한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메시지 유형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무인 편의점의 상품정보 제공 매체별 사용자 경험 분석

        최지혜(Jihye Choi),최정민(Jungmin Choi)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본 연구는 무인 편의점 내 설치된 상품정보 제공 매체 유형에 따른 사용자 경험을 파악하고, 무인 편의점 소비자의 정보탐색 경험 개선을 위한 인사이트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무인 편의점을 포함한 무인매장 쇼핑 경험에 대해 파악하고, 국내 무인 편의점에 설치된 정보제공매체 사례를 수집하여 3 가지 종류로 유형화하였다. 각 정보제공매체 유형이 설치된 무인 편의점 매장을 방문, 사용자 5 명이 참여한 사용성 평가 관찰조사 및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관찰 및 인터뷰 결과, 무인 편의점의 상품정보 제공 매체는 오류 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는 명확한 오류 메시지 및 효과적인 사용법의 안내, 유연한 인터랙션 방식, 상품별 필요한 정보의 양과 범위를 고려한 효율적인 정보설계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해양 섬모충플랑크톤 정량과 정성분석의 현실적 접근

        김영옥,김선영,최정민,김재성,KIM, YOUNG OK,KIM, SUN YOUNG,CHOI, JUNGMIN,KIM, JAESEONG 한국해양학회 2021 바다 Vol.26 No.3

        섬모충플랑크톤은 크게 두 분류군, 세포가 피갑(lorica)에 에워 쌓여 있는 유종섬모류(tintinnids)와 피갑(lorica)이 없는 소모류(oligotrichs)로 대별하고 있다. 국내에서 해양 섬모충플랑크톤의 분류학적 연구는 비교적 종 동정이 용이한 유종섬모류를 대상으로 먼저 시작되었고, 분류기준인 피갑의 가변성 때문에 분류학적 문제점은 있으나, 현재까지도 주로 피갑의 형태적 특징에 따라 종을 구별하여 생태·생리학적 연구정보로 활용하고 있다. 반면, 소모류의 경우, 세포염색을 통한 섬모열의 정밀한 특징으로 종을 구별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소모류의 분류학적 연구는 2000년 이후에 비로소 국내에 소개되었다. 최근 분석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섬모충의 분류체계와 종 정보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고 이를 반영하여 국내 해양에서 출현하는 주요 섬모충플랑크톤 종류가 새롭게 정리되어 도감으로 출간되었다. 섬모충플랑크톤은 동물플랑크톤의 질 높은 먹이원이 되는 동시에 초미소(pico)와 미소(nano)플랑크톤의 포식자로서 해양 미세먹이망에서 중요한 중간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부유생태계에서 섬모충플랑크톤의 역할은 새로운 주제가 아닌, 현재는 해양생태학의 보편적 지식으로 공유되고 있다. 따라서 해양 섬모충플랑크톤의 현장 모니터링 방법과 실험실 분석의 과학적 타당성을 기반으로, 획득된 자료로써 그 신뢰성을 확보함은 국내 섬모충플랑크톤 연구 발전에 크게 일조하리라 기대된다. 섬모충플랑크톤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유종섬모류 동일종의 피갑변이, 세포염색에 의한 소모류의 정량·정성분석, 유전자 분석결과의 자료비교, 생태학적 정보비교, 섬모충플랑크톤 현장채집 방법을 제안하며, 현실적 수용가능 범위를 설정하여 섬모충플랑크톤 모니터링의 정도관리를 위한 연구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고자 한다. Marine planktonic ciliates include two major groups, loricated tintinnids and naked oligotrichs. The study of marine ciliate plankton in Korea began with taxonomic efforts on tintinnids based on the morphology of lorica, a vase-shaped shell. Despite polymorphism in the lorica, it is utilized as a key characteristic in identification of tintinnid species. However, oligotrichs have been studied only recently in Korea due to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e observation of ciliary arrangements and the technical development for cell staining. Species diversity and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ciliates have been informed by recent advances i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Illustrations of the planktonic ciliate in Korea have been published on the basis of taxonomic data of tintinnids and oligotrichs. Planktonic ciliates acting as the major consumers of pico- and nanoplankton as well as the prey of mesozooplankton, has been monitored by spatial and temporal investigations in Korean coastal waters. A practical approach addressing the limitations and potential of marine ciliate studies in Korea is proposed here to improve the data quality of planktonic ciliates, providing an enhanced basis for quality control of ciliate monito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