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Radiation Treatment of Postmastectomy Lymphangiosarcoma

        최일봉,김미희,길학준,김춘열,박용휘,Choi, Ihl-Bong,Kim, Mi-Hee,Gil, Hak-Jun,Kim, Chun-Yul,Bahk, Yong-Whee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8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6 No.1

        유방절제술 후 임파육종은 유방암 환자에서 유방절제술 후 상지에 생기는 흔치 않은 악성 암이다. 유방절제술 후 임파육종에 평균 발병 연령은 63.9세이고 유방절제 후 발병할 때까지의 기간은 평균 10년 3개월이다. 유방절제술 후 임파육종은 혈관과 임파관에서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조직학적 소견은 진피의 부종과 악성세포로 둘러싸인 확장된 임파선이 특징이다. 견관절 분리술이나 전사분부 절제술 등의 광범위한 절제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고 방사선 치료를 포함한 다른 치료방법은 큰 도움이 않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유방절제술 후 만성 림프부종을 동반한 임파육종이 외부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종괴의 감소를 보여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Since the entity of postmastectomy lymphangiosarcoma was first reported by Stewart and Treves in 1948, postmastectomy lymphangiosarcoma has become a well recognized, uncommon malignant tumor which occurs in the upper extremity following mastectomy for mammary carcinoma. The postmastectomy lymphangiosarcoma occurred at an average age of 63.9 years and at an average of 10 years and 3 months following mastectomy. The lymphangiosarcoma raised from blood and lymphatic vessel. The histologic appearance has been observed edematous dermiss and dilated lymphatics lining with malignant cells. Most authors recommend radical amputation for treatment, either shoulder disarticulation or forequarter amputation. Other modalities of treatment including radiotherapy were considered as ineffetive. The present report provides a case of the regression of postmastectomy lymphangiosarcoma with chronic lymphedema by external irradiation. Radiation therapy was used as primary therapy. Total tumor dose of 6500 cGy in 9 wks was delivered using 6 MV x-ray and 8 MeV electron.

      • SCOPUSKCI등재

        절제 가능한 직장암에서 수술전 방사선 치료의 효과 -병리 조직학적인 연구를 중심으로-

        최일봉,장지영,김인아,신경섭,이종서,장석균,최규용,김영하,김준기,전정수,계철승,Choi, Ihl-Bong,Jang-Ji-Young,Kim, In-Ah,Shinn-Kyung-Sub,Lee, Jong-Suh,Chang-Suk-Kyun,Choi, Kyu-Young,Kim, Young-Ha,Kim, Jun-Gi,Chun-Chung-Soo,Kay-Chul-Seu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5 No.1

        목적 : 절제 가능한 직장암 환자에서 수술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예들(대상군)과 동일한 임상병기에서 수술만을 시행했던 예들(대조군)사이의 수술후 병리 조직학적 소견들을 비교하여 수술전 방사선 치료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7월부터 1996년 4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 방사선종양 학과에서 수술전방사선치료를 받았던 19명의 환자중 수술을 시행받은 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를 과거에 수술만을 시행했던 31명과 후향적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진단 당시 이들의 임상병기 분류는 Thomas Jefferson(TJ) system을 이용하였다. 수술전 방사선 치료는 매일 180-200 cGy로 주 5회, 총 방사선 조사량 4500-5000cGy까지 시행하였으며, 방사선 치료가 끝나고 평균 4주후에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병기 결정은 Modified Astler-Coiler(MAC) system을 이용하였다. 방사선 치료후 임상 병기에 따른 수술후 병리학적 병기와 소견을 관찰하고, 이 결과를 수술전 동일한 임상 병기를 지녔던 대조군의 병리학적 소견과 비교하였다 병리학적 소견으로는 종양세포의 혈관 침범, 림프관 침범및 신경조직주위 침범여부 등을 관찰하였다. 통계학적 방법으로는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었던 19명중 16명에서 종양의 위치에 관계없이 방사선 치료후 항문보존적 근치수술을 시행할수 있었으며, 방사선 치료후 1명$(6.3\%)$의 환자가 병리조직학적으로 완전반응을 보였다. 방사선 치료후에 항문보존적 근치수술을 시행했던 대상군과 수술만을 시행했던 대조군사 이의 임상적 병기와 수술후 병기를 비교해 보면 TJ stage III였던 경우, 9명의 대상군중에서는 완전반응을 보인 1명을 제외하고는, 8명 모두가 MAC stage B로 나타났으며$(88.9\%)$, 17명의 대조관에서는 B인 경우가 11명$(64.7\%)$, C인 경우가 6명$(35.3\%)$이었으며, TJ stage III였던 경우, 7명의 대상군에서는 MAC stage상 B인 경우가 4명$(57.1\%)$, C인 경우가 3명 $(42.9\%)$이었고, 14명의 대조관에서는 B인 경우가 4명$(28.6\%)$, C인 경우가 10명$(71.4\%)$이었다. 따라서 수술전 방사선 치료를 시행했던 예들에서 병리학적 병기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방사선 치료후 MAC stage C 소견의 급격한 감소가 보였다(p=0.049). 병리학적인 소견으로 종양세포의 혈관 침범, 림프관 침범과 신경조직 주위 침범등이 대상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모두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동일한 임상 병기에서 수술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군과 수술만을 시행한 군 사이의 수술후 병기는 수술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경우에 비하여 병기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병리학적으로 종양세포의 림프관 침범 소견이 감소된 것은 방사선 치료군에서 수술후 MAC Stage C 소견이 감소된 것과 일치되는 소견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절제 가능한 직장암 환자에서 수술전 방사선 치료를 하는 것이 효과적일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좀 더 명확한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수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기적인 추적관찰을 하는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pathologic effects of preoperative radiotherapy o the resectable distal rectal cancer, we analyzed the results of postoperative pathologic findings for the patients with preoperative radiotherapy ant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1995 to April 1996, we treated sixteen patients of resectable rectal cancer with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and curative surgery At diagnosis, Thomas Jefferson (TJ) system was used for the clinical stage of the Patients. We treated the patients with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of 4500~5000cGy before surgery. The surgery was carried out 4 weeks after completion of radiation therapy. Modified Astler Coller (MAC) system was used for the postoperative pathologic stage. We analyzed the pathologic stages and findings according to preoperative clinical stage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similar clinical stages. Result :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sphincter preservation surgery after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Pathoiogic complete response (CR) was shown in 1 case $(6.3\%)$. We compared the results between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group (Preop.RT group) and surgery only group (control group). In TJ stage II, among nine patients of Preop.RT group, 8 patients $(88.9\%)$ were in MAC stage 8 except 1 CR patient, but among 17 patients of control group. 11 patients$(64.7\%)$ were in MAC stage B and 6 Patients $(35.3\%)$ in MAC stage C. In TJ stage III, among 7 patients of Preop.RT group, 4 patients $(57.1\%)$ were in MAC stage B and 3 patients$(42.9\%)$ in MAC stage C. Among 14 Patients of control group, 4 patients $(28.6\%)$ were in MAC stage B and 10 Patients $(71.4\%)$ in MAC stage C. Above results showed that postoperative Pathologic stage was decreased in Preop.RT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49). The postoperative Pathologic findings (blood vessel invasion. Iymphatic vessel invasion, perineural invasion) were decreased in the Preop.RT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Bu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only in Iymphatic vessel invasion (p=0.019). Conclusion : The Postoperative pathologic stages and adverse Prognostic pathologic findings were decreased in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group. The Iymphatic vessel invasion and MAC stage C findings were abruptly decreased in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group. The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sectable rectal cancer. The patients group in our study was very small and long term follow up was not done. Therefore, further study about this issues is needed.

      • SCOPUSKCI등재

        Radiation Treatment of Postmastectomy Lymphangiosarcoma

        Ihl Bong Choi(최일봉),Mi Hee Kim(김미희),Hak Jun Gil(길학준),Chun Yul Kim(김춘열),Yong Whee Bahk(박용휘)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6 No.1

        유방절제수술후 임파육종은 유방암 환자에서 유방절제술후 상지에 생기는 흔치 않은 악성 암이다. 유방절제술후 임파육종에 평균 발병 연령은 63.9세이고 유방절제 후 발병할 때까지의 기간은 평균 10년 3개월이다. 유방절제술 후 임파육종은 혈관과 임파관에서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조직학적 소견은 진피의 부종과 악성세포로 둘러싸인 확장된 임파선이 특징이다. 견관절 분리술이나 전사분부 절제술 등의 광범위한 절제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고 방사선 치료를 포함한 다른 치료방법은 큰 도움이 안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유방절제술 후 만성 림프부종을 동반한 임파육종이 외부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종괴의 감소를 보여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Since the entity of postmastectomy lymphangiosarcoma was first reported by Stewart and Treves in 1948, postmastectomy lymphangiosarcoma has become a well recognized, uncommon malignant tumor which occurs in the upper extremity following mastectomy for mamary carcinoma. The postmastectomy lymphangiosarcoma occurred at an average age of 63.9 years and at an average of 10 years and 3 months following mastectomy. The lymphangiosarcoma raised from blood and lymphatic vessel. The histologic appearance has been observed edematous dermis and dilated lymphatics lining with malignant cells. Most authors recommend radical amputation for treatment, either shoulder disarticulation or forequarter amputation. Other modalities of treatment including radiotherapy were considered as ineffetive. The present report provides a case of the regression of postmastectomy lymphangiosarcoma with chronic lymphedema by external irradiation. Radiation therapy was used as primary therapy, Total tumor dose of 6500 cGy in 9 wks was delivered using 6MV x-ray and 8MeV electron.

      • SCOPUSKCI등재

        절제 가능한 직장암에서 수술전 방사선 치료의 효과

        계철승(Chul Seung Kay),최일봉(Ihl Bong Choi),장지영(Ji Young Jang),김인아(In Ah Kim),신경섭(Kyung Sub Shinn),이종서(Jong Suh Lee),장석균(Suk Kyun Chang),최규용(Kyu Young Choi),김영하(Young Ha Kim),김준기(Jun Gi Kim),전정수(Chung So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5 No.1

        목 적 : 절제 가능한 직장암 환자에서 수술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예들(대상군)과 동일한 임상병기에서 수술만을 시행했던 예들(대조군)사이의 수술후 병리 조직학적 소견들을 비교하여 수술전 방사선 치료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7월부터 1996년 4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수술전방사선치료를 받았던 19명의 환자중 수술을 시행받은 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를 과거에 수술만을 시행했던 31명과 후향적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진단 당시 이들의 임상병기 분류는 Thomas Jefferson(TJ) system을 이용하였다. 수술전 방사선 치료는 매일 180-200 cGy로 주 5회, 총 방사선 조사량 4500-5000cGy까지 시행하였으며, 방사선 치료가 끝나고 평균 4주후에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병기 결정은 Modified Astler-Coller(MAC) system을 이용하였다. 방사선 치료후 임상 병기에 따른 수술후 병리학적 병기와 소견을 관찰하고, 이 결과를 수술전 동일한 임상 병기를 지녔던 대조군의 병리학적 소견과 비교하였다. 병리학적 소견으로는 종양 세포의 혈관 침범, 림프관 침범및 신경조직주위 침범여부 등을 관찰하였다. 통계학적 방법으로는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다. 결 과 : 대상이 되었던 19명중 16명에서 종양의 위치에 관계없이 방사선 치료후 항문보존적 근치수술을 시행할수 있었으며, 방사선 치료후 1명(6.3%)의 환자가 병리조직학적으로 완전반응을 보였다. 방사선 치료후에 항문보존적 근치수술을 시행했던 대상군과 수술만을 시행했던 대조군사이의 임상적 병기와 수술후 병기를 비교해 보면 TJ stage Ⅱ였던 경우, 9명의 대상군중에서는 완전반응을 보인 1명을 제외하고는, 8명 모두가 MAC stage B로 나타났으며(88.9%), 17명의 대조군에서는 B인 경우가 11명(64.7%), C인 경우가 6명(35.3%)이었으며, TJ stage Ⅲ였던 경우, 7명의 대상군에서는 MAC stage상 B인 경우가 4명(57.1%), C인 경우가 3명 (42.9%)이었고, 14명의 대조군에서는 B인 경우가 4명(28.6%), C인 경우가 10명(71.4%)이었다. 따라서 수술전 방사선 치료를 시행했던 예들에서 병리학적 병기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방사선 치료후 MAC stage C 소견의 급격한 감소가 보였다 (p=0.049). 병리학적인 소견으로 종양세포의 혈관 침범, 림프관 침범과 신경조직 주위 침범등이 대상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모두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동일한 임상 병기에서 수술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군과 수술만을 시행한 군 사이의 수술후 병기는 수술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경우에 비하여 병기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병리학적으로 종양세포의 림프관 침범 소견이 감소된 것은 방사선 치료군에서 수술후 MAC stage C 소견이 감소된 것과 일치되는 소견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절제 가능한 직장암 환자에서 수술전 방사선 치료를 하는 것이 효과적일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좀 더 명확한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수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기적인 추적관찰을 하는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pathologic effects of preoperative radiotherapy on the resectable distal rectal cancer, we analyzed the results of postoperative pathologic findings for the patients with preoperative radiotherapy and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1995 to April 1996, we treated sixteen patients of resectable rectal cancer with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and curative surgery. At diagnosis, Thomas Jefferson (TJ) system was used for the clinical stage of the patients. We treated the patients with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of 4500∼5000cGy before surgery. The surgery was carried out 4 weeks after completion of radiation therapy. Modified Astler Coller (MAC) system was used for the postoperative pathologic stage. We analyzed the pathologic stages and findings according to preoperative clinical stage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similar clinical stages. Results: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sphincter preservation surgery after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Pathologic complete response (CR) was shown in 1 case (6.3%). We compared the results between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group (Preop.RT group) and surgery only group (control group). In TJ stage II, among nine patients of Preop.RT group, 8 patients (88.9%) were in MAC stage B except 1 CR patient, but among 17 patients of control group, 11 patients (64.7%) were in MAC stage B and 6 patients (35.3%) in MAC stage C. In TJ stage III, among 7 patients of Preop.RT group, 4 patients (57.1%) were in MAC stage B and 3 patients (42.9%) in MAC stage C. Among 14 patients of control group, 4 patients (28.6%) were in MAC stage B and 10 patients (71.4%) in MAC stage C. Above results showed that postoperative pathologic stage was decreased in Preop.RT grou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49). The postoperative pathologic findings (blood vessel invasion, lymphatic vessel invasion, perineural invasion) were decreased in the Preop.RT group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Bu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only in lymphatic vessel invasion (p=0.019). Conclusion: The postoperative pathologic stages and adverse prognostic pathologic findings were decreased in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group. The lymphatic vessel invasion and MAC stage C findings were abruptly decreased in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group. The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sectable rectal cancer. The patients group in our study was very small and long term follow up was not done. Therefore, further study about this issues is needed .

      • KCI등재후보

        Comparison of Virtual Wedge versus Physical Wedge Affecting on Dose Distribution of Treated Breast and Adjacent Normal Tissue for Tangential Breast Irradiation

        김연실(Yeon-Sil Kim),,김성환(Sung-Whan Kim),,윤세철(Sei-Chul Yoon),,이정석(Jung-Seok Lee),,손석현(Seok-Hyun Son),,최일봉(Ihl-Bong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2 No.3

        목 적: 유방의 방사선조사 시 결손조직을 보상하고 방사선 균질선량 분포를 얻기 위해 통상적으로 physical wedge를 사용하여 왔다. Physical wedge 사용 시 주변의 폐, 심장, 반대편 유방, 피부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의 증가에 따른 급성, 만성 부작용의 증가가 문제시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Physical wedge와 virtual wedge를 비교하여 동측 유방, 반대편 유방, 폐, 심장, 주변연부조직에 미치는 선량분포의 개선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Solid water phantom을 이용하여 Dmax와 10 cm 깊이에서 physical wedge와 virtual wedge 사용시 조사야 주변선량을 비교하였다. Humanoid Phantom (Anderson Rando Phantom)을 사용하여 Lt. breast의 tangential irradiation 시 physical wedge와 virtual wedge 사용에 따른 동측 유방선량과 피부선량, 반대편 유방 선량과 반대편 유방의 피부선량, 주변 연부조직선량, 동측 폐선량 및 심장에 조사되는 선량을 TLD를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Helax 5.0 RTP system을 이용한 computer planning으로 선량분포 및 관심부의 DVH를 비교하였다. 이때 virtual wedge와 physical wedge의 사용에 따른 총조사 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7명의 유방암 환자에서 virtual wedge, physical wedge 사용에 따른 동측 유방 피부선량, 반대편 유방 피부선량, 조사야에서 1.5 cm 떨어진 주변 선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Virtual wedge는 15o, 30o, 45o, 60o 모두에서 physical wedge에 비해 주변선량이 감소하였으며 방사선조사 시간을 53∼55% 감소시켜 유용한 결과를 나타냈다. 15o, 30o wedge를 사용한 Humanoid Phantom의 TLD 측정에서도 virtual wedge에서 반대편 유방선량은 1.35%, 2.55% 감소하였고, 반대편 유방 피부선량은 0.87%, 1.9% 감소하였다. 또한 동측 폐선량은 2.7%, 6.0%, 심장선량은 0.96%, 2.5% 감소하였다. 또한 조사야 경계부위의 선량은 1.8%, 2.33% 감소하였으며 동측 유방의 피부선량은 2.4%, 4.58% 증가하였다. Helax 5.0 RTP system을 이용한 DVH analysis에서 동측 유방내 선량균질정도는 physical wedge와 virtual wedge에서 차이 없이 유사하였다. 결 론: 유방암치료에서 virtual wedge는 통상 사용하는 physical wedge에 비하여 주변 연부조직선량, 반대편 유방선량, 동측 폐선량 및 심장선량을 감소시켜 급, 만성 방사선 부작용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한 방법이며 또한 방사선조사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선형가속기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Purpose: The ideal breast irradiation method should provide an optimal dose distribution in the treated breast volume and a minimum scatter dose to the nearby normal tissue. Physical wedges have been used to improve the dose distribution in the treated breast, but unfortunately introduce an increased scatter dose outside the treatment field, particularly to the contralateral breast. The typical physical wedge (PW) was compared with the virtual wedge (VW)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dose distribution affecting on the treated breast and the contralateral breast, lung, heart and surrounding peripheral soft tissue. Method and Materials: The data collected consisted of a measurement taken with solid water, a Humanoid Alderson Rando phantom and patients. The radiation doses at the ipsilateral breast and skin, contralateral breast and skin, surrounding peripheral soft tissue, and ipsilateral lung and heart were compared using the physical wedge and virtual wedge and the radiation dose distribution and DVH of the treated breast were compared. The beam-on time of each treatment technique was also compared. Furthermore, the doses at treated breast skin, contralateral breast skin and skin 1.5 cm away from the field margin were also measured using TLD in 7 patients of tangential breast irradiation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phantom measurements. Results: The virtual wedge showed a decreased peripheral dose than those of a typical physical wedge at 15o, 30o, 45o, and 60o. According to the TLD measurements with 15o and 30o virtual wedge, the irradiation dose decreased by 1.35% and 2.55% in the contralateral breast and by 0.87% and 1.9% in the skin of the contralateral breast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irradiation dose decreased by 2.7% and 6.0% in the ipsilateral lung and by 0.96% and 2.5% in the heart. The VW fields had lower peripheral doses than those of the PW fields by 1.8% and 2.33%. However the skin dose increased by 2.4% and 4.58% in the ipsilateral breast. VW fields, in general, use less monitor units than PW fields and shortened beam-on time about half of PW. The DVH analysis showed that each delivery technique results in comparable dose distribution in treated breast. Conclusions: A modest dose reduction to the surrounding normal tissue and uniform target homogeneity were observed using the VW technique compare to the PW beam in tangential breast irradiation The VW field is dosimetrically superior to the PW beam and can be an efficient method for minimizing acute, late radiation morbidity and reduce the linear accelerator loading by decreasing the radiation delivery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