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유럽연합 헌법의 현황과 전망

        최윤철 ( Yoon Cheol Choi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一鑑法學 Vol.11 No.-

        Die Einheit der Europa war und ist ein Traum fur Europar. Der Weg zur einheitlichen Europa ist nicht einfach. Es hat denjenigen, die sie durch Gewalt zu erreichen versucht haben, nicht gelungen, eine Europa zu bauen. Nachdem 2. Weltkrieg sind Europar einverstanden und vereinbart, die einheitliche Europa zur Entwicklung der Europa notwendig zu sein. Im Jahr 2003 haben Europar einen sehr shonen Entwurf erfahren. Namlich ist sein Name ,die Verfassung fur Europa,. Der Weg zur einheitlichen Europa ist gross offen. Mindestens haben sie damals so geglaubt; Grand Open. Aber ein Zweifel wachst schnell, ob der schone Traum ein Albtraum werden konnte, nachdem Ratifikation in Frankreich u. Niederland im 2005 geplatzt geworden ist. Der Vertrag uber eine Verfassung fur Europa besteht aus ein Praambel, 4 Teilen und mehren Protokolen. Das erstes Teil beinhaltet allgemine Bestimmungen : Definition u. Ziele der Union(Titel I), Grundrecht u. Unionsburgerschft(Titel II), Zustandigkeiten der Union(Titel III), die Organe der Union(Titel IV), Ausubung der Zustandigkeiten der Union(Titel V), das demokratische Leben der Union(Titel VI), Finanzen der Union(Titel VII), die Union und ihre Nachbarn(Titel VIII), Zugehorigkeit zur Union(Titel IX). Das Teil II besteht aus ein Praambel fur die Grundrechte und einzelne Grundrechte. Die Grundrechte werden nach ihrer Besonderheit eingeordnet: Wurde des Menschen (Titel I), Freiheiten(Titel II), Gleichheit(Titel III), Solidaritat(Titel IV), Burgerrechte(Titel V), Justizielle Rechte(Titel VI), Allgemine Bestimmungen uber die Auslegung und Anwendung der Charta(Titel VII). Das Teil III beinhaltet zwar meisten Bestimmungen auf der Verfassung. Aber es kann als klassische Inhalt einer Verfassung nicht betrachtet werden. Vielmehr handelt sich es als eine Verfassung im materiellen Sinn oder einen Bereich auf den Verwaltungsrecht. Das Teil IV ist die allgemienen und Schlussbestimmungen. Hier wird die Symbol der Union bestimmt(Art. IV-1). Ausserdem betimmt das Teil IV uber die Aufhebung der fruhren Vertrage(Art. IV-2), Territorialer Geltungsbereich (Art. IV-4), Verfahren zur anderung uber die Verfassung(Art. IV-7) usw. Zum Weg zur Einheit der Europa ist schon klar. Tortz der Misserfolg der Ratifikation in einigen Mitgliedstaaten fahrt der Lokomotiv ,Eine Europa, fort. Er ist schon eine halben Weg vorbei. Niemand konnte ihn wiederkehren lassen, obwohl eine neue Situation auf dem Weg eine Schweirigkeit verursacht.

      • KCI등재

        한국 이주법제의 변천과 전망

        최윤철 ( Yoon Cheol Choi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一鑑法學 Vol.0 No.33

        산업화와 세계화 현상은 한국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보다 나은 생활조건과 환경을 찾아 이동하는 현상은 전세계에 걸쳐서 일어나고 있다. 이주현상은 특정 국가에만 국한 되는것이 아니라 모든 국가에 해당되며, 모든 국가가 대응하는 초국가(超國家)적인 현상이다. 최근의 산업화와 개방을 경험한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저출산과 고령화는 한국 사회의 지속발전의 중요한 위협요인이 되었으며, 급속한 도시화는 국가의 균형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 요인이 되었다. 노동력 공급의 불균형은 제조업과 농어업 인력의 심각한 부족을 가져왔다. 1990년대 중반부터 급증한 외국인의 유입은 대체적으로 외국인 노동자, 재외동포, 결혼이민자, 유학생, 난민 등으로 유형화 할 수 있다. 2000년대에 제정된 외국인 법령도 이러한분류에 기초하고 있다. 이주 현상을 예상하지 못하거나 할 수 없었던 입법자에 의해 만들어졌던 ``국적법``, ``출입국관리법``도 대폭 개정되었다. 2000년 초반의 ``외국인 근로자 고용 등에 관한 법률``, 2000년대 후반에는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다문화가족 지원법``, ``재외동포의 법적지위에 관한 법``, ``결혼중개업법``등이 새로이 제정되거나 대폭 개정되었다. 2010년대에는 ``난민법``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한국의 이주관련 법제는 단기간에 마련되고 이에 기초한 정책과 추진체계도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졌다. 다른 국가들이 장기간에 걸쳐서 이주민에 대한 법령과 정책들을 준비하여 왔던 것에 비하면 매우 이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한국사회의 구조적인문제의 심각성과 이주현상에 대한 한국사회의 신속한 대응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다른한 편으로는 사회의 충분한 합의가 부족한 가운데 정부의 주도에 의해서 이루어짐으로서사회의 자율적 기제가 부족하여 법령이 실질적인 효력을 발휘하는데 한계가 생기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단기간에 급증한 외국인과 외국계 국민은 한국사회에 새로운 기회와 도전이다. 한국사회의 기존 구성원과 이주민과의 통합은 한국사회의 지속발전의 본질적인 요소이다. 이주민을 한국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 보고 긴장과 갈등을 최소화 하면서 이들과 함께 한국사회 공동체의 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실질적인 법제의 정비와 정책 및 추진체계의 정비가필요한 시점이다. 이미 이주사회를 경험하고 긴장과 갈등을 겪었던 다른 국가의 사례와 이주 20년을 맞고 있는 한국의 그간의 경험과 사례, 원주민과 이주민의 의견 등이 충분히 반영된 가운데 현행 법제도와 정책들에 대한 분석과 개선이 있어야 한다. 외국인, 이주자는 나와동등한 가치를 가지는 존엄한 인간이라는 생각이 기초가 되어야 한다. 한국 사회가 저출산·고령화로 인하여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어서 이를 해결하는 수단의 하나로서 외국인의 유입을 필요로 한다는 생각은 매우 위험하다. 이주자는 수단이 아니라 목적 그자체이다. 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 Migrating in search of better liv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 occurs throughout the entire world. Migration is not limited to certain nations, but is relevant with all nations worldwide as a transnational phenomenon faced by them. Korea, which has recently experienced industrialization and openness toward migrants, is no exception. In particular, the low birth rate and the aging of population have become important threats for sustained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and rapid urbanization has become a factor that negatively shortage of manpower in manufacturing, agriculture and fisheries. The inflow of foreigners, which increased rapidly since the mid-1990s, can be generally categorized into foreign workers, overseas Koreans, marriage-based migrants, international students, and refugees. The law regarding foreigners enacted in the 2000s is also grounded in this categorization. The ``Nationality Act`` and the ``Immigration Control Act``, which had been made by legislators who didi not or could not expect the migration Phenomenon, were also drastically amended. There were enactments of new laws or drastic amendments, such as the ``Act on the Employment, etc of Foreign Workers`` in 2003, and the ``Framework Act on Treatment of Foreigners Residing in the ROK(2007)``,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2008)``, ``Act on the Immigration and Legal Status of Overseas Koreans(2004)``, and ``Marriage Brokers Business Management Act(2007)``. In the 2012, the ``Refugee Act`` was enacted. Foreigners and hyphenated Koreans that increased so rapidly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provide a new opportunity and challenge for the Korean society. Integration of the existing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and immigrants is the fundamental element of sustained development for the Korean society. Now is the time to see migrants as equal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and minimize tension and conflicts, organizing and modifying laws, policies and implementations systems in a practical way to seek development of Korean community along with the migrants. It ist necessary to analyze and improve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policies in light of the case other nations that already experienced the migrations society and faced tension and conflicts, the experiences and case of Korea that is now celebrating the 20th years of migrations, and the opinions of natives and migrants. All that mist be grounded on the idea that foreigners and migrants are human beings with dignity who have equal values as us. It is a highly dangerous idea to think that the Korean society needs an inflows of foreigners as a means to resolve the issue of the decreasing competency of Korean society due to low birth and aging population. Migrants are nor a means bur the purpose itself.

      • KCI등재

        일반논문 : 다문화가족 지원과 사회통합프로그램의 관계

        최윤철 ( Yoon Cheol Choi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一鑑法學 Vol.0 No.28

        Increasing of Foreigners, foreign citizens, and foreign workers in Korea brought new challenges for Korean society. Korean society is not a single nation-state based on the pure blooded anymore. Legislator made also some notable acts with a focus on a new social phenomenon. The enacted acts to allow and support the foreigners and Foreign-based citizens, who want to settle with indigenous people in Korean society, better way to living. Many policies based on it have been performed. Contains a variety of support for the stability of life and early adapt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centered on the immigrant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was enacted. Defines the basic treatment for foreigners staying in Korea “The Basic Law for Treatment of Foreigners in Korea” was also enacted. For the integration of foreigners in the Korean society, the Law ‘Exit and Entry Act’ was changed.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under the new law will be executed and enforced for Promoting social integration for foreigners. However, the overlap between law-related, which has been put on collision, due to ambiguity, problems of law enforcement contains a lot. Relation between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nd “social integration program” is also ambiguous character and its purpose. Thus integration and management overall review of the system of both is required. Basic stance of the Korean society of foreign settlers must be shown. Then the support and requirements for the foreigners are even better to concretize.

      • KCI등재

        헌법개정과 환경권: 독일 기본법 제20a조와 비교

        최윤철(Choi Yoon Cheol) 유럽헌법학회 2019 유럽헌법연구 Vol.0 No.28

        자연적 생활기반의 보호와 파괴의 예방이 모든 국가와 과학 및 경제에서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면서 현대 헌법국가는 자연의 보호가 중요한 국가과제가 되었다. 18세기와 19세기 초의 자유주의 법치국가, 19세기와 20세기의 사회국가의 발전을 거쳐서 현대 헌법국가는 환경국가가 되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1987년 개정된 현행 헌법에 대한 개정논의가 진행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환경관련 법제 및 제도의 수권규정인 헌법 제35조는 1980년(제8차 개정, 당시 헌법 제33조)에 국민의 권리로서 처음 규정되었다. 당시 개헌을 주도하였던 신군부의 환경보호 또는 환경과 국민의 기본권에 대한 인식의 실질성 여부는 논외로 하더라도 ‘환경’, ‘환경보호’에 관한 내용이, 그것도 기본권으로 헌법에 규정되었다는 것은 획기적인 것이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헌법 제35조에 근거하여 한국의 모든 환경법제와 제도, 집행, 사법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환경권이 도입된 후 40여년이 지났고 환경과 관련한 국내ㆍ외적 상황은 급변하고 있어서 현행 환경권에 대한 검토를 할 헌법적 필요가 있다. 환경권을 기본권으로 규정하고 있는 한국 헌법의 태도와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헌법 개정과정에서 개정을 통해 이루어질 환경권 및 환경조항은 어떻게 구상되고 규정되어야 할 것인지를 살피는데 독일 기본법 제20a조의 연혁과 내용을 살펴보는 것은 많은 시사점이 있다. 오랜 정치적 논의를 거쳐서 규정된 독일 기본법 제20a조는 독일의 환경입법과 환경행정 그리고 사법의 헌법적 수권규정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독일은 한국처럼 환경조항을 기본권 장에 편입하여 규정하지 않았다. 최근 발의되거나 제시된 헌법개정안이 담고 있는 환경권과 환경조항 들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대통령 안, 국회 자문위원회 안, 헌법학회 안 모두가 현행 헌법의 환경권과 환경조항보다는 개선된 내용을 담고 있다. 세 가지 주요 헌법 개정 발의안 또는 제안들은 공통적으로 ‘환경권’을 기본권으로 보는 것, 환경보전의 필요성, 미래세대에 대한 책임, ‘지속가능’의 원칙, 동물보호 등에서 공통의 인식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법적 성격, 원칙과 기준, 규정방법, 내용, 실현수단 등에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개정안들의 공통점은 환경권을 제1항에 규정하고 이하의 항들에서 여러 분야별로 국가의 의무를 정하고 있다. 환경권 규정을 제외하고 살펴보면 독일 기본법의 국가목표조항으로서 환경보호 조항의 내용과 각 개정안들의 내용이 매우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각 개정안의 환경보호에 대한 국가의 의무 규정을 독일처럼 국가목표규정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는 주장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본권에 대한 언급 없이 사람 또는 국민과 함께가 아닌 오로지 국가가 모든 국가작용을 동원하여 환경보호를 할 것을 규정하고 있는 독일과 환경권을 전제로 하고 그 밖의 환경보호 목표를 국가의 과제로 하고 있는 한국의 헌법개정안을 수평적으로 단순 비교할 수는 없다. 국가에 대해서 개인이 가지는 주관적 공권으로 환경을 파악하는 관점은 환경을 전적으로 대상으로 파악하고 인간의 일방적 이해(Interesse)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을 의미한다. 개인이 자신의 생활과 생존의 영위를 위해서 국가에 대해 환경에 일정한 작위 또는 부작위를 요구할 수 있는지, 특정 개인이 국가에게 환경에 대한 일정한 요구(적극적, 소극적)를 하는 것은 또 다른 개인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 지, 사인간에 이루어진 환경침해를 환경권이라는 헌법상 권리로 보고 다루는 것이 기존의 사법상 구제수단을 보다 강화하고 분쟁의 해결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지 등 그 밖의 많은 문제점이 기본권으로서 환경권을 인정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나아가 환경권의 구체적인 내용과 효력을 정하기 위해서 우선 권리의 객체를 확정하여야 하는데 환경을 어떤 영역까지 확장할 수 있는지도 매우 어려운 문제이기도 하다. 그러한 까닭에 기본권이 아닌 국가목표조항의 성격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환경을 규정한 독일의 규정방식을 이해할 수도 있다. For 40 years, the term, legal nature, scope, and content of the environmental right in Korean constitutional law have still been debated, even though it has been designated as a fundamental right of the Korean constitution. Despite the lengthy discussions, the legal system and the institutions of the environment are set up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 In 2018, the submission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by presidents has been forwarded to the National Parliament. But she had no chance to vote in Parliament. As president also the parliament and other organizations, for example KCLA have proposed their own amendment. All drafts contain environmental rights and clauses in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Each proposed amendment essentially defines environmental rights as fundamental rights and contains content for their implementation. In the course of the revision of environmental rights and related provisions, the provision of article 20a GG of Germany and its process of change are remarkable. Unlike in Korea, Germany has not set up the environmental clause in the fundamental rights chapter. With ernest and long discussions, article 20a GG acts as a state destination constitutional authorization article for legislation, administrations, and jurisdictions on the environmental system. The fact that the inclusion of environmental rights as one of fundamental rights was subject to various controversies in Germany means that a number of more constitutional issues, such as the subject of the rights, etc. should be solved by law in order to include environmental rights as fundamental rights.

      • KCI등재

        독일 이주법제의 변천, 현황과 시사점

        최윤철 ( Choi Yoon-cheol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7 No.3

        독일은 국민국가의 형성과 영토고권이 확고해진 19세기에 들어서 비로소 이주자를 통제하고 관리하는 방식으로 이주행정을 공법영역에서 고려하기 시작하였다. 이주자는 대인고권을 통해 관리하고 통제하는 대상으로 영토국가의 재량이 강력히 지배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이주를 담당하는 행정청에 광범위한 재량을 인정하여 왔다. 그러나 이주자의 통합, 국제적 이주의 증가, 인도주의적 요구는 이주행정을 더 이상 재량의 영역으로 둘 수 없고, 법률에 따라 이주행정의 명확성과 투명성, 법치국가원칙을 확립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독일의 이주법제는 최근 수십 년간 유럽연합의 탄생, 대량 이주난민 발생 등 상당한 외부적 요인과 오랜 기간 증가한 이주자의 사회통합 등 내부적 요인을 모두 담아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주법제는 독일 영토내의 구성원들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다양성을 인정함으로서 법치국가로서 독일을 지속가능한 국가로 있도록 하는 목표를 가지고 변화하고 있다. 심각한 인구감소로 인하여 사회의 지속가능성이 위협받고 있는 가운데 이주자의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어서 멀지 않은 장래에 한국 사회는 이주배경 국민과 이주자가 전체 인구의 상당부분을 차지할 것이다. 이제 이주자를 단순히 이방인으로서 ‘타자’로 여기고 마련된 1세대 이주법제와 정책들에 대한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검토를 하여야 한다. 이주자가 더 이상 ‘타자’가 아니라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우리’라는 인식아래 서로 통합하고 공존하기 위한 이주법제와 정책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주법제는 이주자의 유형, 이주자 통합을 위한 이념적 기초, 한국사회의 장기적 지향점 등을 고려한 가운데 근본적 검토가 있어야 한다. 그러한 점에서 독일의 이주법제 변천을 살피는 것은 한국의 이주법제 정비를 위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Immigration administration was considered an area of wide discretion of the Administration until the last few decades ago. The immigrants understood that the discretion of the territorial state was strongly dominated by the object of management and control through the territorial supremacy. By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en Germany established the formation of a national nation and territorial sovereignty, it began to consider migration administration in the public law by controlling and managing migrants. At the same time, discussions were held as to whether the state's management of migrants should be based on the rule of law. The integration of migrants,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migration, and the humanitarian demands have changed the immigration administration to no longer be a discretionary area of the administrative office, but to establish the clarity, transparency and rule of law of immigration administration. The immigration law field is a special field newly formed in the public law. The German immigration law has the task of covering relations with the European Union, the occurrence of mass migration refugees as an external factor, and the integration of immigrants into the German society as an internal factor. The German migration legislation is changing with the goal of making Germany a sustainable country as a 'Rechtsstaat' by minimizing conflicts and recognizing diversity among its members(natives and migrants). Article aims to look into Germany's current migrant legislation and find implications. First, study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German migration legislation from the German Empire to the present chronologically. Secon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German immigration law, especially social integration We briefly examine the overview and transition of German immigration law. I will briefly introduce the legislative background and purpose of ‘Zuwanderungsgesetz’ (immigration law), 'Staatsangehörigkeitsgesetz'(Nationalty law) and 'Asylgesetz' (asylum law), and postpone the analysis of each law to the next opportunity. Third, we examine the main details of the stay law, which applies directly to foreigners who wish to enter and stay in Germany. In particular, we will look closely at the concept of integration and integration course. Finally, consider the above discussions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for the immigration law and integration efforts of Korean society that are changing into a migrant society.

      • KCI등재
      • 이음된 GFRP바를 사용한 콘크리트 보의 보강근비 효과

        최윤철(Choi, Yoon Cheol),최현기(Choi, Hyun Ki),최창식(Choi, Chang Sik)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09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09 No.2

        In order to prevent the corrosion of conventional steel reinforcements in harsh enviornment,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GFRP) are used. Because of its original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corrosion, many standards already publicated and many researchers widely study this reinforcement. However, there are no exact solution for lap splice length for GFRP. This paper presents the experimental moment deflection relations of GFRP reinforced beam which are spliced. Test variables were reinforcement ratio of GFRP. All test specimens were tested under 4-point loads so that the spliced region be subject to constant moment. Three test specimens failed at spliced point and one test specimen, control specimen which used one GFRP bar, was failed in GFRP fracture. This failure mode influenced to concrete stress distribution that cannot show ultimate str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