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계몽기동요’ 선정기준과 남·북 개작 양상 비교

        최윤정 ( Choi¸ Yoonjeo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20 동화와 번역 Vol.40 No.-

        이 논문은 70여년 분단의 장벽 속에서도 내밀하게 공유되었던 해방 전 노래를 남북공동 문화유산이라는 측면에서 주목한다. 북한에서는 1920년대 초부터 해방전까지 우리 민족들이 즐겨 부르던 동요, 예술가곡, 대중가요, 신민요 등을 ‘계몽기가요’로 통칭하며 1990년 중반 이후 이를 재평가하기 시작했다. 이는 지금까지 주체문예이론에 입각한 주체음악만이 참다운 음악이며 가치 있는 것으로 평가해 온 기존 북한의 시각과는 상당히 다른 태도이다. 오히려 그동안 계몽기가요를 무조건적으로 금지했던 자신들의 태도를 편협한 것으로 지적하며, 해방 전의 공백을 계몽기가요로 메울 수 있게 되었다고 평가한다. 특히 북한은 해방 전 노래에 담긴 반일, 애국, 광복의 이념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당대의 시대상과 민족의 정서를 올바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혁명성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민족 음악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계몽기가요’ 중에서도 남녀노소 모두에게 애창되었던 창작동요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북에서 선정한 계몽기 동요목록을 살펴보면 대개는 남한에서도 잘 알려진 동요들이지만 여전히 남과 북의 시각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특히 북에서 대표 동요로 꼽는 노래 중에는 남한에서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월북 작사가와 작곡가의 노래가 포함된다. 또한 남한의 경우에는 월북 작가들의 노래가 금지곡이 되면서 이들의 노래를 개작하여 불러 왔다. 북한은 계몽기가요를 발굴정리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원작의 개작 양상을 문제 삼으며 전면적으로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은 것은 남과 북이 마찬가지이다. 민족 공동 유산인 해방 전 노래들은 앞으로 남과 북의 교류와 협력을 통해 더욱 풍부히 하고 지켜져야 할 필요가 있다. 북한은 더 많은 노래를 발굴하여 해방전 공백기를 풍부히 할 필요가 있으며, 남한 역시 월북 작사가 및 작곡가들을 재평가하고 원작자의 이름을 다시 찾는 작업이 필요하다. This study focuses on pre-Liberation songs that were shared in secre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even under the barrier of a 70-year division in the aspect of a common cultural heritage between them. North Korea gave a common designation of song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o children's songs, art songs, pop songs, and new folk songs enjoyed by the Korean people between the early 1920s and Liberation and began to reassess them in the middle of 1990s. This is a considerably different perspective from North Korea's old viewpoint that only Juche music based on Juche literary theory was true and had value. North Korea pointed out that their old attitude of unconditionally banning song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was narrow-minded and put out an evaluation that song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would help to fill the vacuum before Liberation. Their special focus was on anti-Japanese, patriotic, and independence ideas in the songs before Liberation. Since these songs can help understand the poetry of those times and the sentiment of the people correctly, they hold value as national music heritage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eir revolutionary nature.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creative children's songs of song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as all people, including men and women, the old and young, loved to sing them. A look at the list of children's song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selected by North Korea shows that most of the songs are well-known children's songs in South Korea as well, but there is still a difference in viewpoint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representative children's songs selected by North Korea, in particular, include songs that were written by lyricists and composers that defected to North Korea and are relatively less known in South Korea. Songs from artists that defected to North Korea were banned in South Korea; thus, they were adapted.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and arranging song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North Korea raised issues with the adaptation patterns of these originals and made full scale objections. North Korea is, however, not free from these issues just like South Korea. Songs before Liberation are a common national heritage that needs to be enriched and preserved further through exchanges and collabor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hile North Korea needs to identify more songs and enrich the vacuum before Liberation, South Korea needs to reassess lyricists and composers that defected to North Korea and bring back the names of forgotten original authors.

      • KCI등재후보

        ‘스위트 홈’에 대한 환상과 근대 아동문학에 나타난 ‘모성’연구

        최윤정(Choi, Yoonjeong) 한국아동문학학회 2012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3

        가정은 황폐한 바깥 세계와는 분리되는 휴식과, 안정, 사랑의 장소로 신성시 되어왔으며, 아동문학에서도 ‘집’은 안전함의 전형으로써 반복되어 왔다. 가정의 정서적 기능이 강조되기 시작한 것은 애정으로 결합된 부부중심의 근대적 가족담론이 등장하면서 부터이다. 그러나 새로운 가족 윤리는 가정을 국가통치의 기능적 단위로 생각하는 국가 중심적 사고와도 관련되어 있었으며, ‘스위트 홈’에 대한 환상을 통해 조선의 열악한 가정 현실을 일깨우고자 했던 일제의 식민지 기획과도 무관하지 않은 것이었다. 여성은 소위 ‘스위트 홈’이라는 근대적 가정의 안주인으로서 그 지위가 보장되는 듯했지만, 행복한 가정을 위해서 ‘현모양처’의 역할이 요구되었다. 특히 ‘과학적 모성’이라는 이름으로 자녀양육의 부담이 가중되었다. 식민지 아동문학 작품에서는 가족을 위해 희생하는 누이 이미지를 통해 ‘대리모성’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자녀의 훌륭한 양육자로서 어떠한 고난도 극복하고자 하는 강한 모성도 등장한다. 이러한 모성의 강조는 현실성 없는 신비화된 모성 이미지를 만들어내며, ‘스위트 홈’에 대한 우리의 환상을 강화시킨다. Home has been sacred as a place for rest, stability and love, which is separated from the outer world, and has repeated as an example of safety. The emotional role of home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modern family discourse appeared. The modern family ethic is associated with a state-centric idea, and it was relevant to a Japanese colonial policy which despised poor Korean homes through the illusion of ‘a sweet home.’ A woman appeared to be ensured as a modern landlady at so-called ‘a sweet home,’ and she was asked to be ‘a good wife and wise mother’ to make her home happy. In particular, a burden of raising children, which was called as ‘a scientific motherhood’ imposed to her. ‘The substituted motherhood’ made an appearance through the image of an older sister who sacrificed herself for her family in the work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the tough and indefatigable motherhood fostering children also could be seen. The emphasis of the motherhood invents an unrealistic and sacred image of the motherhood, and reinforces the illusion of ‘a sweet home.’

      • KCI등재

        북한 유년기 아동물에 나타난 미국 표상

        최윤정 ( Choi Yoonjeo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21 동화와 번역 Vol.42 No.-

        이 글은 북한 유년기 아동물에 나타난 미국 표상을 고찰하고, 북한의 아동들이 미국을 절대 악의 대상으로 내면화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만 4∼5세의 어린 아동을 대상으로 한 북한의 유년잡지 『꽃봉오리』는 6·25 전쟁을 비롯한 과거의 모든 역사적 사건을 소환하여 미국을 침략자로 규정하면서 이에 대한 적개심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인간백정에 가까운 잔인한 학살자로서의 ‘미제국주의’의 모습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표상은 어린이들에게 분노와 적개심을 넘어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는 측면에서 주목을 요한다. 북한 사회에서 ‘승냥이 미제’는 대표적인 미국 표상이다. ‘승냥이’는 아동 교양물에서도 다양한 각색과 변주를 통해 계급교양 목적으로 활용된다. 특히 어린이들은 동화와 우화의 의인화된 동물이야기를 통해 승냥이의 성격과 특징을 내면화하게 된다. 그리고 이는 곧 미국에 대한 표상으로 연결된다. 본 연구는 미국에 대한 극단적인 적개심만을 강조하는 이러한 교육 방식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특히 북한 당국의 규제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일상에 파고드는 외래문화의 유입은 새 세대들에게 교육과 현실의 괴리를 느끼게 할 것이다. 북한이 지향하는 사회주의 체제의 완성을 위해서라도 이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presentations of America in publications for children in North Korea and examine the process of North Korean children of internalizing America as an absolute evil. In North Korea, Kkotbongori is a children’s magazine that targets young children between four and five years old. The magazine defines America as the invader and reinforces the children's hostility towards America by summoning all the historical events of the past, including the Korean War. There is a special emphasis on the aspects of American imperialism as a brutal slayer close to a butcher of people. This representation requires attention as it can instill anger and hostility in children and further become an object of fear and horror. In North Korean society, the Dhole, American Imperialism is one of the most typical American representations. The Dhole is used for class education in children's books as cultured reading through various adaptations and variations. Children internalize its character and features, especially through the stories of personified animals in children's stories and fables, and it is connected to the representations of America. This study raises questions about this educational approach that emphasizes extreme hostility toward America. Following the inflow of foreign culture penetrating into the daily life of North Korea despite the regime's regulations, the new generation of North Koreans will feel a gap between education and reality. There should be alternatives, even in the goal of North Korea to complete a socialist system.

      • KCI등재

        근대 아동만화에 대한 인식과 전개 양상 연구

        최윤정(Choi Yoonjeong)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6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1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 of comics that began to appear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printing technology, an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process as a popular art. Specially, this study examined the present condition of published works around a children’s magazine Child Life and considered characteristics of juvenile comics different from adult comics. Juvenile comics started from Choi Namseon’s ‘Daumeotzi’ but started to develop since the mid 1920s when modern comic elements as ‘reproduction’ and ‘popularity’ became feasible in reality. Specially, Child Life is a media with the most striking usage of visual texts among the published children’s magazin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reason can be summarized into approximately three. The first reason is it was easy to accept foreign cartoons because they were published with foreign missionary funds with Christianity as the background. The second reason is it was one of the strategies of securing readers without literacy skills or even children, and the last reason is that there were a lot of capable illustrators among editorial staffs of Child Life. Specially, Child Life is a media who actively released juvenile comics that emphasized fun and laughter. Juvenile comics started and developed from comics in storytelling form of more than 4 columns(cuts). Specially, comic strips were published constantly and the main subject was adventure and exploration. However, the mission-first ideology that Christian magazine aims for is revealed in these adventure comics as well. Child Life who intented to deliver the benefits of comics and bring fun and laughter to juvenile readers was a media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juvenile comics.

      • 선(線)을 중심으로 한 도자형태의 공간적 이미지 표현

        최윤정 ( Yoonjeong Choi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18 陶藝硏究 Vol.- No.27

        본 논문을 통해 선의 공간적 이미지 표현을 위한 도자예술의 제작기법 연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선은 가장 기본적인 조형 요소로서 표현의 실질적인 출발점이다. 선은 1차원의 점이 가지고 있는 추상적인 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며 3차원의 물리적 입체와 공간이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함축적인 조형 표현 요소이다. 따라서 조형 요소로서 가장 감각적이며 동시에 논리적인 개념을 압축하고 있는 조형 언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선이 가지는 고유한 성격은 공간감이라는 조형 원리를 도자예술에서 점토의 물성을 이용한 표현기법 연구를 통하여 직감적이고 함축적으로 공간감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다. 두 개 이상의 물질 사이에 작용하는 공간감은 상대적이며 거리감을 동반하는 개념이다. 이 개념은 빛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빛은 물리적으로 같은 조건을 가지고 있는 두개 이상의 물질 사이에 거리감과 깊이감을 상이하게 작용하게 하며 다양한 심상을 일으킨다. 물질적인 양감이 강하게 작용하는 도자예술에 서선이라는 기초적인 조형 언어를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입체가 가지는 상대적 조형 원리인 공간감을 표현 하기 위해 점토의 고유한 성질인 가소성과 수분을 이용한 제작기법을 연구하고 선의 공간적 이미지를 표현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echniques to deliver a spatial image of porcelain via lines. Lines, by nature, are the most fundamental component of modeling, embodying expression in and of itself. While lines are formed by unlimited dots of one dimension, they, once connected, are able to express three dimensional physical spaces and more visually. For this reason, lines are one of the most sensual and stereoscopic languages in the field of modeling. Using this unique nature of lines, we are able to create a very intuitive and implicative space, or perception thereof, out of clay in the field of porcelain art. Our perception of space exists relatively between two or more substances, accompanied by the distance. Lights may affect this in such a manner that lights may distort a physical depth and width between two substances, creating a variety of images. In order to embody a sense of space with the minimized usage of lines on porcelain, this research will discuss techniques for regulating the plasticity and moisture of clay.

      • KCI등재

        북한의 그림책 장르인식과 아동 그림책에 나타난 탈이념성

        최윤정(Choi Yoonjeong)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8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3

        이 논문은 북한의 그림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림책에 대한 북한의 장르인식을 살피고 아동용 그림책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특히 남북 이질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에서 북한 그림책에 나타난 탈이념성에 주목하였다. 북한 그림책이 가지고 있는 장르의 혼종성은 많은 연구자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지만, 남한식의 개념을 무리하게 대입시키기보다는 그러한 혼종성 자체를 북한 그림책의 특징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1980년~90년 중반에 걸쳐 집중 발간된 북한의 아동용 그림책들은 글과 그림의 관계, 그림의 완성도 측면에서 예술적 관점으로 접근 가능한 텍스트들이다. 이들 텍스트들을 중심으로 그림책 장르에 대한 북한식의 이해를 살펴볼 수 있다. 많은 아동용 그림책들이 북한 사회에서 요구하는 교양덕목을 담아내는 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견된 탈이념적 성격의 그림책들은 향후 남북관계에 있어 가교역할을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주목을 요한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North Korea’s perceptions of the picture book gen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for children by examining picture books in North Korea with a special focus on the anti-ideology of North Korean picture books to overcome a sense of differenc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North Korean picture books, pictures include cartoons. Since there is no clear distinction between picture books and cartoons in North Korea with regard to the perception of the picture book genre, the researchers are in confusion in the field. The hybridity of the genre itself should, however, be understood as a characteristic of North Korean picture books instead of forcing the South Korean-style concept on North Korea. The North Korean picture books for children whose publication was concentrated from the 1980s to the middle 1990s, in particular, offer texts that can be approached from an artistic perspective in terms of relations between texts and pictures and the completion level of pictur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North Korean-style understanding of a medium of art called picture books with a focus on these texts. It is clear that many picture books for children have a primary goal of conveying the virtues of refinement required by the North Korean society, but the picture books of antiideological nature around “old storybooks with pictures” are worth receiving attention as they will be able to promote the recovery of homogene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serve as a bridge in future relations between two Koreas.

      • KCI우수등재
      •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딜레이드 오프로딩 스키마를 적용한 사용자 이동성 고려 캐싱 기법

        최윤정 ( Yoonjeong Choi ),임유진 ( Yujin L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2

        비디오 컨텐츠 사용이 증가하면서, 사용자가 요구한 파일을 제시간 안에 전달하는 문제가 중요해졌다. 사용자와 가까운 곳에 파일을 캐싱해 두고 필요할 때 다운받으면 파일을 보다 빨리 전달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움직일 경우 이동성을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와 파일의 인기도를 함께 고려해 딜레이드 오프로딩(delayed offloading) 스키마를 적용한 환경에서 마이크로 기지국(micro base station, MBS)에서 다운받는 데이터 크기를 최소로 만들어 비용을 최소화 하는 캐싱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타알고리즘에 비해 MBS 로부터 다운받는 양을 줄이고 스몰 셀 기지국(small cell base station, SBS)에서 다운받을 성공 확률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였다.

      • 차량 환경에서 엣지 커버리지 오버랩을 고려한 강화학습 기반의 엣지 캐싱

        최윤정 ( Yoonjeong Choi ),임유진 ( Yujin L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1

        인터넷을 통해 주위 사물과 연결된 차량은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콘텐츠를 요구하는데 클라우드로부터 가져오는 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리기 때문에 차량과 물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캐싱하는 기법들이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반 시설이 밀집하게 설치된 도시 환경에서 maximum distance separable(MDS) 코딩을 사용해 road side unit(RSU)에 캐싱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RSU의 중복된 서비스 커버리지 지역을 고려하여 차량의 콘텐츠 요구에 대한 RSU hit ratio를 높이기 위해 deep Q-learning(DQN)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비교 알고리즘보다 hit raito 측면에서 더 높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증명하였다.

      • 차량 속도와 위치 표현 방법이 LSTM 기반 차량 경로 예측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윤정 ( Yoonjeong Choi ),임유진 ( Yujin L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2

        차량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요구하는 환경에서 차량의 위치를 예측해 미리 알 수 있다면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만드는 것에 도움이 된다. 차량은 도시 환경에서 비교적 느린 속도를 갖는다는 특징이 있고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도 여러 가지다. 본 논문은 Long Short-Term Memory(LSTM)을 사용해 차량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과정에서 이동 속도와 위치 표현 방법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차량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차량의 이동 표현 방법이 세밀할수록 차량 이동 경로 예측이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