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채만식 장편소설의 신문ㆍ잡지 연재본과 단행본 비교

        최유찬(Choi, Yu-Ch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47 No.-

        채만식의 장편소설은 대부분 신문 ㆍ 잡지에 연재된 다음 단행본으로 발간되는 순서를 밟았다. 이러한 작품 발표 과정은 작가가 독자들의 반응을 통해 자기 소설의 장단점을 파악한 다음 퇴고 작업을 할 수 있는 유리한 여건을 제공한다. 더욱이 채만식은 자기 작품에 대한 문학계의 평가에 매우 예민하게 반응하여 논전을 펼쳤기 때문에 논점이 되는 문제에 대한 확실한 인식을 가질 수 있었고 그로 인해 단행본 출간을 위한 퇴고 작업은 매우 능률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사실을 가장 명확하게 보여주는 작품이 작가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탁류』와 『태평천하』다. 발표 당시 임화 등으로부터 세태소설이라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던 이 작품들을 퇴고하면서 작가는 소설의 주제를 더욱 명확히 하고 사건 전개 과정을 보다 짜임새 있게 구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두 작품의 신문 ㆍ 잡지 연재본과 단행본을 비교했을 때 『태평천하』의 퇴고작업이 묘사대상으로부터 객관적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지엽적인 사항들을 손보는 데 그쳤다면 『탁류』에 대한 퇴고작업은 문단을 새로 삽입하거나 삭제하고 장절의 구성을 개편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이러한 차이는 발표매체가 달라 잡지에 발표한 『태평천하』가 보다 작품의 형식을 정제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창작된 것이라면 신문에 매일매일 연재한 『탁류』는 그런 여가를 가지지 못한 채 발표된 데 원인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근원적인 이유는 『태평천하』가 풍자문학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 표층과 심층 사이에 큰 간격이 없는 데 비해 『탁류』는 표면과 내면의 이야기사이에 단절이 있는 사실과 연관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곧 『탁류』는 일제타도라는 주제를 알레고리적으로 형상화하고 있기 때문에 독자들에게 그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섬세한 장치들을 마련하는 일이 필요했고, 그 작업을 위해 작가는 신문연재본에 대대적인 수정을 가했던 것이다. 『탁류』와 『태평천하』는 작가 스스로 자신의 후반기문학의 출발점이라고 했던 「명일」의 작품구조, 곧 플롯의 대응형태[parallelism]를 기본구조로 하고 있다. 그러나 『태평천하』는 작품전체가 구절판과 같은 형태를 지니고 있어 시간성이 미약하고 공간성이 중시되는 데 반해 『탁류』는 한말의 역사를 초봉이의 인생을 통해 표현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작품 전체가 사회적 공간을 제시한 다음 그 현실이 어떻게 해서 조성되었는가를 제시하는 이 구조는 일찍이 1930년대 초 단편소설 「산동이」가 보여주었던 ‘0→’ 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먼저 현실을 나타내는 넓은 공간이 제시된 다음 그 현재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화살표로 표시된 선분적인 형태의 이야기로 형상화하는 방식이다. 『탁류』에서 정주사가 등장하는 미두장의 장면이 일제에 의해 착취되는 조선민족의 현실을 나타내는 공간이라면 그 뒤에 전개되는 초봉이의 변전하는 운명은 선분적인 형태의 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작가는 이 선분적인 이야기에다가 플롯의 대응형태라는 외피를 입히고 있다. 곧 하바꾼에게 멱살을 잡혀 캑캑거리는 정주사와 닮은꼴인, 장형보에게 거꾸로 들려 금방 숨이 넘어가는 송희의 모습을 뒷부분에서 형상화한 것이다. 여기에서 『탁류』는 「산동이」의 구조와 「명일」에 구현된 바 있는 플롯의 대응형태를 결합시킨 복합구조임이 드러난다. 바로 이 구조를 명확히 하기 위해 작가는 11장을 두 개의 장으로 나누어 장면전환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 장면전환에 착목할 때 『탁류』에는 세 개의 장면전환이 있음을 알게 된다. 정주사 이야기에서 초봉이 이야기로 전환한 것이 그 첫째며, 고태수가 죽은 다음 초봉이가 군산을 떠나기로 결심하는 장면이 두 번째, 장형보와 계약을 맺음으로써 동거에 들어가는 순간 군산의 넓은 무대가 다시 등장하는 것이 세 번째의 장면전환이다. 『태평천하』가 풍자를 위해 객관적 거리를 확보하는 수준에서 퇴고 작업이 이루어진 데 반해 『탁류』는 세 개의 장면전환을 뚜렷이 함으로써 작품에 역동적인 시공간을 만들어내고, 그 작업을 통해 일본제국주의의 타도를 형상화하는 항일문학으로서의 특성을 제고하고 있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ditions of Chae, Man-Sik’s major novel. Through the analysis we expect to discover some aspects that the writer should endeavor to represent in the novels. There is no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editions of 〈Tae-Pyong-Chon-Ha〉. The writer only cut branches of the affair that deviate from the plot”s main stream. And he describes the characters and the events a little way off. The writer’s method for narration devotes to acquire objective attitude. On the contrary 〈Tak-Ryu〉’s revision have an serious impact on the character of the work. The writer frequently change the expression and the passage. Not so much he alter the structure of chapters. The effects of the writer’s revising works make a sharp clear out between three transitions in the whole work. The three transitions lay out four scenes of the work. The first scene represent the present state of Korean people who are subject to colonialistic Japan. Chung-Ju-Sa is the allegory of the Korean people. The second scene describe the history of Korea around 1900’s. The third scene express figuratively the act to overthrow the colonialist Japan. The fourth scene depict the wish for independence and future life planning of Korean people. Through this four scenes the readers catch hold of the allegory which is hidden from the sight. The meaning of the allegory is Korean people’s resistance against imperialistic Japanese.

      • KCI등재
      • KCI등재

        『고요한 돈』의 한국어 번역 판본 비교

        최유찬(Choi, Yu-Ch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3 No.-

        The Quiet Don was written by Michail Aleksandrovich Sholohov between 1925 and 1940. The first part of The Quiet Don appeared in serialized form around 1928. This part named And Quiet Flows The Don. The complete novel deal with the life of the Cossacks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They lived in the Don river vally as "free pople" depending piracy, unregulated fishing and hunting. They were a frontier military organization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The plot of the great Don epic revolved around Grigori Melekov and Aksinia who fall in love with. But the story, after a while, enlarge to the world war and Russian civil war.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great epic appear in 1949. The poet, Baek, Seok translated to the 5th part of the whole text which is composed with eight part. Though the edition disappeared in South Korea, owing to. Korean war and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In 1985, the relaxed period of the oppression of socialist ideology, two publisher put out translations of The Quiet Don. These editions seem to be translated from the Japanese editions. Comparing with Baek, Seok"s translation, their style constantly described events and scenes with prosaic mood. The atmosphere of the novel didn"t communicated to the readers by the prosaic expression. Baek, Seok"s style differ with the translation of the Japanese edition. In each other parts. the poet use the varying technique. The description about natural affairs give an impression as if the scene is a facet of lyrical poem. But the language to describe an action and event used to convey the aspects of the matters objectively. Especially, the phrase and composition to make a long story short near to be a poetical expression. Baek, Seok effectively comb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culiarity of the each parts. So much his translation acquire rhythmical narrative structure. The use of the local languages and customs, repetition of the same vocabulary have service to acquire the rhythm.

      • KCI등재

        한국 현대문학에 나타난 세대 갈등과 극복

        최유찬(Choi, Yu-chan) 국어국문학회 2013 국어국문학 Vol.- No.164

        This research study the aspects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s that expressed in korean modern literature. Human beings experienced a various generational conflicts with the fate of one"s own generation. Generally The aspects of generational conflicts combined with the process of civiization. The first phase in the process of civilization is characterized with a continual increase of external controls over human"s emotional and physical expressions. The second phase is the the internalization of these external controls. The third phase weaken these controls with the de-ritualization of everyday life. Korean people had experienced these three phase in two siecle"s short term. Especially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were a primary factor which give rise to the violent intergenerational conflicts. But, in korean modern literature the deployment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s has two outset, one is at first 21century"s modernization, the other is the 1950"s Korean war. The war sew up a deep wound over the shocks of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 recovery of Korean war "s hurt only is capable of 1990"s post-modern society. Intergenerational conflicts in post-modern society become weakened and the youth take the leading role as a part of social reconciliation.

      • KCI등재

        『아름다운 새벽』의 알레고리 연구

        최유찬(Choi Yu-Ch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9 No.-

        채만식은 풍자작가로 알려져 있으나 일제 말기의 장편소설들은 알레고리 기법을 사용한 작품들이다. 일제 말기의 작품 가운데 『아름다운 새벽』은 작가가 구상한 3부작 장편소설의 첫 시험작이다. 이 작품은 그동안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서 친일작품으로 분류되어 비난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러나 알레고리 기법을 사용한 이 작품은 겉보기와는 달리 항일의식을 표현한 소설이다. 이 사실은 이경훈을 비롯한 여러 선행연구자들이 작품에서 관찰하고 있는 내용들을 재구성할 때 분명하게 드러난다. 연구자들은 주인공의 아내 서씨가 봉건성의 그림자를 지니고 있고, 오나미는 양장미인이라는 사실을 지적한다. 또 박용순은 일본의 어머니와 같은 인상을 풍긴다고 본다. 그리고 이러한 인물들은 작품의 작위적인 구성을 위해 인형처럼 동원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이 분석에서 한 걸음만 나가면 이 작품이 알레고리 구조로 되어 있고 아내 서씨가 전통 조선을, 양장미인 오나미가 근대화를, 박용순이 일본제국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곧 주인공은 봉건적인 세계를 벗어나 근대화를 이루려고 하지만 뜻과는 달리 일본의 지배를 받게 된 조선민족을 표상하는 인물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 사실은 일제 말기에 창작된 세 장편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이름이 서로 연관되는 데서 더욱 뚜렷하게 드러난다. 작가는 일본의 패망이 가시적인 현실로 등장하고 있다는 인식을 알레고리를 통해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llegorical elements in Chae Man-Sik"s novel, The Beautiful Dawn. Allegory is a term denoting a technique of literature which in turn gives rise to a method of criticism. We can recognize allegory when the events of a narrative obviously and continuously refer to another simultaneous structure of events or ideas. Chae Man-Sik represents his intention against the imperialism of Japan by means of allegorical techniques in his novel. A few scholars apprehend the use of allegorical techniques in the course of reading the work by chance. In this paper the viewpoint and discovery applicate to the whole structure of the work. This analysis devote to prove his struggle against the colonial domination of Japan. Through his allegorical work Chae Man-Sik showed that his professed pro-Japanese was a mask. The work depicts the ruin of Japan and creates the hero who will be a champion of national independen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