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비설화에 나타난 혐오감정의 두 양상, ‘식욕-음식’ 짝패와 ‘성욕-여성’ 짝패의 교차와 변주

        최원오 ( Choi Wonoh ) 한민족어문학회 2018 韓民族語文學 Vol.0 No.79

        본 논문은 구비설화에 나타난 혐오를 식욕과 성욕의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혐오감정은 식욕이나 성욕처럼 인간의 가장 본능적 조건에서 검토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혐오감정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 욕망과 결부되어 있는 구체적 대상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욕망은 비가시적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그것을 ‘식욕-음식’의 짝패, ‘성욕-여성’의 짝패로써 설명하고자 했다. ‘식욕-음식’의 짝패와 관련한 혐오감정은 본능적 반응과 문화적 반응의 층위에서 나타나는데, 전자는 오염음식과 후자는 금지음식과의 관련성이 높다. ‘성욕-여성’의 짝패와 관련한 혐오감정은 본능적 반응과 윤리적 반응의 층위에서 나타나는데, 전자는 결혼 이전의 여성, 후자는 결혼 이후의 여성과의 관련성이 높다. 이때 전자는 여성을 창녀의 시선으로 바라봄으로써 혐오감정을 직접적으로 표출하고, 후자는 열녀(또는 성녀)의 시선으로 바라봄으로써 혐오감정을 이면적으로 표출하게 된다. 여성을, 한 인간으로서 존중받아야 될 대상이 아니라, 남성 중심의 사회, 또는 가부장제 하의 사회에서 ‘창녀’, ‘열녀’라는 이분법으로만 바라본 것이다. 그런 점에서 구비설화에서 파악되는 ‘열녀담론’은 ‘혐오담론’으로써 분석될 여지를 내재한다. 한편, ‘식욕-음식’의 짝패와 ‘성욕-여성’의 짝패는 상호 교차되고 변주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문둥병 환자를 소재로 한 구비설화에서 이런 점이 잘 확인된다. 이들 설화에서 ‘식욕-음식’의 짝패와 ‘성욕-여성’의 짝패는 철저하게 문둥병 환자인 남편에 종속되며, ‘성욕-여성’의 짝패가 ‘식욕-음식’의 짝패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한 인간으로서의 여성이 아니라, 남편의 문둥병을 치료하기 위한 ‘음식’으로써 전이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혐오감정이 다기적(多岐的)으로 분출되는 현상, 혐오감정 간의 위계상 권력 등을 이해하는 데 시사점을 준다. This paper examines the hate feelings to related the appetite and sexuality in the oral tales. It is noted that the hate feelings need to be examined in the human's most instinctive conditions, such as appetite or sexuality.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hate feelings,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pecific objects associated with appetite and sexuality. Because the concepts of appetite and sexuality are invisible, I tried to explain these ideas as the suits 'appetite-food' and 'sexuality-woman.' The hate feelings of the 'appetite-food suit,' appears on the layer of instinctive reaction and cultural reaction in society. The former is highly related to the contaminated food and the latter is related to the prohibited food. The hate feelings associated with the 'sexuality-woman suit' appears on the layer of an instinctive response and an ethical response. The former is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women before marriage, and the latter with women after marriage. At this time, the former concept expresses the hate feelings directly by looking at the woman by the prostitute's gaze, and the latter expresses the hate feelings by looking at the gaze of the virtuous women (or the saint). Women are viewed not only as a person to be respected, such as a human being, but as a dichotomy of a "prostitute" or "virtuous women" in a male-centered society or a patriarchal society. In this respect, the 'discourse of the virtuous women,' which is understood in the oral tales, has a possibility to be analyzed as the 'discourse of hate.' On the other hand, the 'appetite-food suit' and 'sexuality-woman suit' are crossed each other and shows the variation. This is well figured out in oral tales as based on the leprosy patients. In these oral tales, the suits of the 'appetite-food' and 'sexuality-woman' are thoroughly dependent on the leprosy husband and 'sexuality-woman suit,' which are equated with the 'appetite-food suit.' It is not a woman as a human being, but a "food" for treating her husband's leprosy. This gives suggestions for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that the hate feelings are divaricate, and that in this case, there is power of the hierarchy between the hate feelings.

      • KCI등재

        동물/인간의 경계와 욕망, 그리고 변신

        최원오(Choi, Wonoh)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본 논문은 한국과 북미 원주민의 구전설화 중에 동물신부 모티프가 들어 있는 네 편의 자료 ― 한국: <지네각시>, <우렁각시>. 북미 원주민: <성난 버팔로아내>, <여우부인> ― 를 대상으로 하여, 변신동물과 인간의 경계, 거기에 투사된 인간의 욕망, 그에 따른 변신에 대한 차별적 인식 등을 이론 검토 및 설정의 차원에서 논의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다윈(Charles Darwin, 1809~1882)의 진화론이나 데카르트(Rene Descartes, 1596~1650)의 동물기계론에 보이는 상반된 시각,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2004)와 아감벤(Giorgio Agamben, 1942~ )이 바라보는 인간과 동물관계에 대한 상반된 시각, 그리고 조선시대의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 등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간과 동물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담론이 체계적으로 제기되어 왔는데, 이는 구전설화 연구에서도 동물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분석 및 비교분석을 시도하는 데 좋은 자극제가 된다. 논의 결과, 이론적 차원에서는 변신설화에서의 변신, 특히 동물신부가 등장하는 설화에서의 변신이 동물/인간의 경계와 어떻게 관련되고, 그러한 관련성의 정도에 따라 변신에 대한 인식의 층차가 달리 획정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한국과 북미 원주민의 설화에 적용해 본 결과, 네편의 구전설화는 인간과 동물의 경계를 분명히 하고, 그에 투사된 욕망도 남성적 결핍의 충족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 공통적 기반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변신동물이 여성이기에 나타나는 자연스런 결과이다. 그러나 한국의 설화는 인간계의 범주 내에서 바라보는 변신동물에 대한 이야기라면, 북미 원주민의 설화는 동물계의 범주 내에서 바라보는 인간에 대한 이야기라는 성격이 강하다. 이러한 차이점은 북미 원주민의 설화에서처럼 ‘변신’을 동물을 포함한 자연계를 이해하기 위한 소통 수단으로 받아들이는가, 아니면 한국의 설화에서처럼 동물을 포함한 자연계를 인간계의 한 부분으로 정립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해하는가의 문제로 귀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표면적으로는 한국과 북미 원주민의 네 편의 설화가 보여주는 공통적 기반이 확고해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변신동물의 기능과 거기에 투사된 욕망의 내밀한 층차가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의 연구는 동물설화, 특히 변신동물이 등장하는 설화의 표면과 이면을 고려한 해석이나 비교 분석에 유효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With four pieces of work that have animal bride motifs among other native oral tales in Korea and North America ― Korea: Centipede Bride and Freshwater Snail Bride, North American natives: The Piqued Buffalo-Wife and The Fox Woman ―,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s the border between transformed animals and human beings, human desires projected in it, and accordingly discriminative recognition of transformation. As is well known, philosophical discours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animals have been raised in both the Orient and the Occident including the opposite views between Darwin’s evolutionism and Descartes’s philosophy of animal machine, Derrida’s and Agamben’s opposite view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animals, and the Inmulseongdongiron(Theory of Human Nature and Thing Property) in the Choseon Period, which provide good guidelines for attempting at systematic and comparative analys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nimals and human beings in the study of oral folktales.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t has turned out that the four oral folktales make the border between human beings and animals, and show a common base in that the desires projected in it are for the satisfaction of male deficiency. However, while Korean folktales are about transformed animals seen within the category of the human realm, North American natives’ have strong characteristics as tales about human beings looked at within the category of the animal realm. Such a study can provide some effective suggestion for interpretation and comparative analyses in consideration of the surface and hidden sides of animal folktales.

      • KCI등재

        창세신화의 창세신과 신적 영웅, 그 변별적 자질의 분석과 의미- 남미 테우엘체 원주민의 엘랄 작품군을 중심으로 -

        최원오(Choi, Wonoh)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9 외국문학연구 Vol.- No.74

        본 논문은 남미 테우엘체 원주민의 창세신화 엘랄 작품군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 작품군에 등장하는 신들을 창세신과 신적 영웅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점, 신적 영웅은 ‘영웅의 원형’을 보여준다는 점 등을 아울러 밝힌 것이다. 엘랄 작품군 은 테우엘체 원주민에게 창세신화의 범주에서 전승된 것이기 때문에, 이 작품군의 주인공인 코츠와 엘랄이 창세신으로 인식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본 논문은 코츠는 창세신, 엘랄은 신이면서 영웅, 즉 신적 영웅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한편, 창세신화는 시초의 것, 원형적인 것 등을 제시하여 현실적 세계 의 당위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코츠와 같은 창세신의 주된 자질은 영속적인 것들의 창조로, 엘랄과 같은 신적 영웅의 주된 자질은 비영속적인 것들의 조정과 경계 획정으로 그 당위성이 설명되는 것이다. 그 점에서 코츠는 우주 및 자연의 기원이 되는 창세신의 원형에 해당한다면, 엘랄은 문화영웅이나 인간적 영웅의 기원이 되는 ‘영웅의 원형’에 해당한다. 이러한 논의는 한국의 창세신화에서처럼 복 수의 창세신이 등장하는 경우, 그 변별적 자질과 의미를 분석하는 데뿐만 아니라, 신적 영웅 및 영웅의 비교문학적 연구를 시도하는 데에도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based on the study of the creation myth(Elal Cycle) of Tehuelche Aborigines of South America, that the gods can be classified into creation gods and divine heros, and that the gods show the prototype of the heroes. In Elal Cycle, Kóoch argues that creation gods and Elal can be distinguished as divine heroes. The main qualities of the creation god, such as Kóoch, are the creation of perpetual things, and the main qualities of the divine hero, such as Elal, are explained by the adjustment and boundary delimitation of non-perpetual things. In that respect, if Kóoch corresponds to the archtype of the creation god, which is the origin of the universe and nature, the Elal corresponds to the ‘archtype of the hero,’ which is the origin of a cultural hero or human hero. This discussion will provide many implications for analyzing the distinctive qualities and meanings of two creation gods as they appear in the Korean myth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