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예술에 관한 치유와 소통 다큐멘터리의 특성 분석: 다큐 <예술, 할까요?>를 중심으로

        최우 ( Woo¸ Choi ) 현대사진영상학회 2020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Vol.23 No.1

        There have been many art documentaries until now, but most of them focused mainly on specific artists or their works have been gone on the air. It can be said that the emotional and aesthetic parts and characteristics of art have been more emphasized. Recently, as the platform of video is spreading to the internet in addition to movies and TV, various approaches and analyzes are being shown in documentarie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art documentaries. The documentary <Art, Shall we?> focuses on the social role rather than the personal domain, so I see the necessity to study the essence and importance of it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documentary, I would like to examine the new perspectives dealed with in the art documentaries today, and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 forms of it. I think that <Art, Shall we?> is meaningful because the documentary’s journalistic and social participant character is better emphasized despite dealing with the content of art. First of all, in the point of view of content analysis I would like to look at the meaning of art based on educational and social communication, focusing on the examples and meanings in <Art, shall we?>. Also, in terms of formal analysis I will analyze the art documentary focused on the make-over format, and we will also look at examples from other documentaries and will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makeover format in documentaries. Finally, I will analyze the visual aesthetic aspect of <Art, shall We?>. I will research the major aesthetic image elements and how they are used in the art documentaries, and will scrutinize each individual esthetic element while at the same time maintaining an overview of how they all interact contextually. I am convinced that these visual aesthetic elements make the message and the meaning in the work communicated effectively.

      • KCI등재후보

        중국 조선족 교육의 현황과 과제

        최우길(Choi, Woo Gill)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2 디아스포라 연구 Vol.6 No.1

        중국 조선족 사회는 한중수교 이후 급격한 사회변동을 겪어왔다. 조선족의 민족교육 역시 커다란 변화와 어려움을 경험해 왔다. 조선족교육의 문제점으로 민족학교의 통폐합, 학생 수의 감소, 언어교육의 어려움, 능력 있는 교원의 감소, 교원 수급의 어려움, 학교 재정의 곤란, 가정교육의 붕괴 등을 들 수 있다. 조선족 교육당국은 한국교육계와의 교류를 통해 선진교육방식을 받아들이는 한편, 현재 조선족 교육이 처해 있는 어려움을 극복하려고 노력해 왔다. 양측의 교류를 정리하면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조선족 소학교 또는 중학교는 한국의 학교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학생교류, 교사교류, 봉사활동 등을 진행하고 있다. 둘째, 한국의 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 재외동포재단,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청 등이 조선족 학교의 교사를 초청하여 연수하는 경우가 있다. 조선족 민족교육 당국자들은 연수의 내용이 좀더 실질적으로 개선된다는 조건 하에 교사연수 기회의 확대를 절실히 바라고 있다. 셋째, 조선족 학교가 스스로 한국의 선진교육 모델을 받아들여 학교교육을 개혁하는 경우도 있다. 넷째, 한국의 동북아평화연대 등 시민단체가 교사들에게 한글 독서교육을 연수하고, 민족문화교실 및 심리상담실 등의 설치를 지원하기도 하였다. 다섯째, 조선족의 민간단체가 중국 국내외의 지원을 모아 장학재단을 운영하기도 하는데, 그 예로 덕림장학재단을 들 수 있다. 한국의 교육계는 조선족과의 교육교류에 있어서, 중국 조선족 학교들이 “중국의 학교, 공산당의 학교, 민족특색의 학교”라는 원칙으로 운영됨을 잘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의 교육계가 민족문화교육, 이중언어교육, 결손가정자녀문제, 小人小學級교육 등의 방면에서, 또한 조선족 민족자치 및 교육정책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조선족민족교육계와 적극적인 교류와 협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Ethnic Korean society in China has experienced a great transformation since Sino-Korean diplomatic normalization in 1992. The ethnic education of Korean minority has gone through big changes and difficulties. The problems of ethnic education in Korean community are as follows: the merge of Korean ethnic schools, the difficulty of language teaching, the decrease of capable teachers, the hardship of school financing, and the demolition of home education Ethnic educational authorities of Korean minority has tried to import the advanced educational method of South Korea in order to overcome difficulties that are now being faced in educational field. The ways of educational exchange between Seoul and Yanbian are as follows. Firstly, many Korean ethnic schools in China have a sisterhood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n ones. Their students and teachers visits each other periodically or intermittently. This exchange needs to be more materialized. Secondly, the agency like the Overseas Korean Foundation and the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of South Korea organize several training program for Chinese teachers in South Korea, which Chinese part wishes to expand them so much. Thirdly, some ethnic Korean schools in China import advanced educational model in order to reform their schooling. Fourthly, South Korean NGOs like East Asia Peace Coalition organize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in language or reading classes. They often offer classroom for ethnic culture and psychological counselling. Fifthly, Chinese NGOs like Delin Scholarship Foundation collect educational aid form oversea to encourage Korean ethnic education in China. South Korean part of education has to realize the limits of ethnic schooling in China, which are Chinese, Communist, and with a bit Korean characteristics. This article showes that Korean ethnic education in China suffers from difficulties of ethnic culture education, language teaching, home discipline, and small group class. It also indicates that South Korean school authorities should try to find ways to cooperate with Chinese part under the condition of ethnic autonomy and education policies.

      • 중국 조선족 이주사 연구를 위한 試論

        최우길(Choi, Woo Gill)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1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Vol.2011 No.2

        This article is designed to introduce the three different dimensions of Korean minority in China. Firstly, Koreans in China was recognized as “Chinese nationals” in 1949 by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econdly, Koreans in China are ethnically of the same blood lineage with Koreans in the Korean peninsula. Thirdly, through the high mobility of population, they have become to possess multi-dimensional identitie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o understand the changing reality and situation of Korean minority in China, their three dimensions have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ir migration and re-migration should be researched in the East Asian regional level and global level.

      • KCI등재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제조시설 화재위험 예측모델 개발 연구

        최우일(Choi, Woo Il),김연수(Kim, Yon Soo),장대원(Jang, Dae Won),김길호(Kim, Gil Ho),정윤섭(Jung, Yun Sub)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1

        보험사들이 제조시설의 화재를 담보하는 보험상품을 활성화하고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화재위험 평가기법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예측모형에서 사용된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제조시설을 대상으로 화재발생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학습과 검증을 위한 자료는 OO보험사에서 의뢰를 받아 OOO사에서 수행한 제조시설 위험 실사자료 및 보험사고 DB이며, 위험 실사자료의 9개 평가항목에 대한 결과 값을 입력값으로, 사업장의 화재발생여부를 출력값으로 사용하였다. 구축된 인공신경망 모형의 예측성능을 검증한 결과, 73%의 적중률을 보였다. 그러나 실무적으로 화재보험의 위험성평가에 활용될 수 있도록 높은 적중률을 가지는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학습데이터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expand or grow a fire insurance business for manufacturing facilities, insurance companies need to build fire risk assessment model. This paper is focused on building the model for fire risk assessment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suggested for predicting of fire accident in the manufacturing facilities. Input layer variables in ANN are composed of 9 assessment factors from risk survey reports ordered by OO Insurance and performed by OOO Company. Verification result for trained ANN show that the hit ratio is 0.7 considered to be relatively significant value. But it need many more training data to improve forecasts of fire accident in manufacturing facilities, which can be applied to risk assessment for fire insurance.

      • KCI등재후보

        남북관계와 중국 조선족 사회

        최우길(Choi, Woo-gill)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1 디아스포라 연구 Vol.5 No.1

        중국 조선족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공민인 동시에, 조선족이라는 이중정체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이중정체성은 이 연구가 실시한 조선족 유학생들의 의식조사에서도 나타난다. 이들은 한국생활을 통하여 ‘중국의 조선족’임을 자각하게 되었다. 최근 국가와 민족에 대한 조선족 젊은이들의 사고가 다양화하면서, ‘세계시민’의 의식이 보이기도 한다. 조선족 젊은이들은 한반도의 통일에 대해서는 ‘필요한 것’으로 인정하면서도, 주변 강대국들의 국제적 역학관계 등으로 그 예측이 어렵다는 점을 지적한다. 한국과 중국 조선족 사회의 공식적인 만남이 20년이 되었다. 양자의 만남은 시행착오의 연속이었으나, 한반도의 통일과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한국에게는 ‘몸의 통일’은 물론, ‘마음의 통일’이 얼마나 어려운지 실감할 수 있게 하였다. 그동안 남한과 북한의 만남은 중국 조선족 사회의 존재로 인하여 크게 활성화되었다. 연변을 중심으로 한 조선족 사회는 남북한 사이의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완충지대였다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의 미래를 바라보면서, 우리는 한반도가 통일이 되고 ‘다국적 민족공동체’가 이루어지려면, 조선족을 비롯한 재외동포들의 상이한 역사적 경험을 존중하면서, 중국과 한반도, 일본과 한반도 사이의 문화전환기능을 할 수 있는 이들의 존재를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Chosunjok(Korean minority in China) has a dual identity as Chinese citizen and ethnic Korean. Chosunjok students living in South Korea have been strengthening this dual identity through their experiences there. They are very positive fo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ut do have a clear vision on the unification issue. The meeting of South Korea and Chosunjok during the last two decades was a continuation of trial and error. South Korea understood that the process of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ould be very difficult. The existence of Chosunjok community in China have given a great impetus to North-South reconciliation. Yanbian has been a meeting place and buffer zone of two Koreas. Chosunjok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uture process of forming multi-national ethnic community and East Asian Commun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