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소화’ 단원에서 가상 실험 수업과 실험 수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최옥순,여성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4 교과교육학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소화」단원을 대상으로 가상 실험 수업과 실험 수업을 실행하여 학업성취도 및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학업성취도와 태도 검사, 설문 조사를 하였고 그 자료를 공분산분석, t 검정, 빈도분석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 실험 수업 집단과 실험 수업 집단 간에 수업방법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 .05). 이러한 결과는 과학 수업에서 가상 실험 수업이 실험 수업과 유사한 학습 효과를 유발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둘째, 가상 실험 수업이나 실험 수업에서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도는 차이가 없었다(p> .05). 그러나 태도 면에서는 실험 수업의 경우 남학생과 여학생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 .05). 셋째, 개발한 가상 실험 프로그램 학습은 흥미도, 이해도, 학습 도움 정도, 화면 구성 만족도 등에서 학생들의 긍정적인 인식을 유발하고 있으므로 학교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넷째, 학생들은 가상 실험 수업에서 모둠별 실험보다 개별 실험을 선호하고, 실험 수업에서는 모둠별 실험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virtual lab and the real experimental activity in the lesson of 'Digestion' of the 7th grade students, and to diagnose if it is possible to introduce the virtual lab under the school field. The virtual lab programs We utilized are 'Detection of Nutrients' and 'Which Substance Passes Through Cellophane?', found in Edunet and Scienceall, and 'Function of Saliva' that I developed for the less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6 students of the 7th grade in Seoul.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the group of the real experimental activity in the laboratory, and the other was that of the virtual lab in the computer room. Three different experiments in the lesson of 'Digestion' have been done through thre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 examined each student's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 science lessons. After this, I examined only the group of the virtual lab by giving a questionnaire on the virtual lab. The data of this study was analyzed with ANCOVA, T-Test, and Frequencies, by using the SPSS 11.0 progra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improvement of achievement and students' attitude according to the teaching techniques (p> .05). Second, each group had no meaningful difference in improvement of achievement according to student's gender(p> .05). However, male students' attitude has been improved more meaningfully than female students' attitude in the real experimental activity(p< .05). Third,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virtual lab program which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It shows that the virtual lab program can be useful as a teaching-learning material. Especially it is require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because most students want the virtual lab in their future science class. Fourth, students preferred the individual experiment in the virtual lab and they preferred the small group experiment in the real experimental activity. We should consider the form of activity - the individual activity or the group activity, according to the teaching techniqu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 suggest that we develop high-leveled virtual labs to introduce to each school by experts.

      • KCI등재

        지체장애학교 중도·중복장애 졸업생의 학교교육에 대한 경험과 졸업 후 삶에 대한 질적 연구

        최옥순,김영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school education and life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of physically challenged school graduate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conducting this study. Fifteen physically challenged school graduate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ased on a 2-item questionnaire (for school education that they received) and a 5-item questionnaire (for life after school gradua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researcher (the primary author)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individually with each participant. All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by the researcher, using Colaizzi's method. Based on the students' interviews, essential themes of experience emerged: needs of transition education based on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no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and low wages, needs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difficulties for using the facilities and center for the disabled, no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after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meaningless leisure time, difficulty of us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and no ways for the motorized wheelchair, limited support system only for welfare recipients, needs of the steady supports for medical services and rehabilitation, fear of the future, etc.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양적, 질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특수교육을 받은 장애인들의 고용, 자립생활, 지역사회참여 등 성인생활에서의 성과는 높지 못하며, 특히 중도·중복장애졸업생의 경우 과반수가 가정으로 돌아가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학교 중도·중복장애졸업생들의 학교교육에 대한 경험과 졸업 후 생활에 대한 면접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해석함으로써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지체장애학교의 교육방향과 중도·중복장애인의 성인생활로의 지원체계를 모색하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2001-2005년에 G 광역시 소재 지체장애학교를 졸업한 중도·중복장애학생 15명과 그들의 부모였다. 반구조화 면접 방법을 사용하여 참여자별로 학교교육 경험과 졸업 후 생활에 대하여 개별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지체장애학교 학교교육 경험에 대해 개인의 장애 정도에 따라 만족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장애특성과 요구에 따른 개별화 교육과 전환교육을 통해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교육을 필요로 하였다. 또한 중도·중복장애인의 경우 학교 졸업 후 고용의 기회가 전혀 주어지지 않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신체장애가 심하다는 이유로 본인이 희망하는 시설이나 기관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어 심한 좌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훈련기관에서 교육을 받고 난 후에도 취업이 되지 않아 다시 가정으로 돌아가거나 직업교육기관에 재입학하는 과정을 되풀이하고 있었으며 별다른 여가생활을 하지 못한 채 무료하게 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무엇보다 이동의 어려움을 호소하였으며, 장애성인 지원 정책이 단지 가정의 경제 수준만을 고려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대상자에게 집중되어 있음을 지적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졸업 후 생활에 대한 어려움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학교 졸업 후에도 장애정도와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지원이 지속적으로 제공되기를 간절히 원하였다.

      • KCI등재후보

        반복적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pH 밸런스와 LPP의 혼합 처리 효과

        최옥순,박정아,장미숙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0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4 No.2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attern hair loss (PHL) agent during repetitive permanent wave treatments. Thi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control group, in which damaged hair was permed without PHL treatment, and a experimental group, in which damaged hair was permed without PHL treatment. The findings were the following; fist, regarding hair cuticle roughness, the cuticle was relatively stable, with minor lift-ups in the experimental group. Additionally, exfoliation-related cuticle loss was low.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firmed to have greater tensile strength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the hair’s wave-forming power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curl formation and hair softness were relatively satisfactory, Fourth,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versely, wave forms were kept relatively intact despite a greater increase in shampoo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retreatment with a PHL agen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atisfy consumers who wan healthy hair while minimizing da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