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행복감과 초등학생 자녀의 행복감 관계에서 자녀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최아론,이영순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life stress on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happiness and children’s happiness. For this, I collected the data from total 853 elementary students(4th grader 378, 5th grader 475) of 12 elementary schools in Jeonllabuk-do and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ego-resilience and life str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happiness and mothers’ happiness. Second, mothers’ happines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ego-resilience and life stress. Third, children’s ego-resilience and life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Fourth, mothers’ happiness had a substantial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mediated by children’s ego-resilience and life stress.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parents education and counselling for mothers should be emphasized and that the study on the programs for happy mothers should be proceeded continuously.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행복감과 자녀의 행복감 관계에서 자녀의 자아탄력성과 생활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내 12개 초등학교 4학년 378명, 5학년 475명 총 85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자녀의 자아탄력성과 생활스트레스는 어머니의 행복감과 자녀의 행복감을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행복감은 자아탄력성과 생활스트레스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자녀의 자아탄력성과 생활스트레스는 자녀의 행복감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행복감은 자녀의 자아탄력성과 생활스트레스를 매개로 자녀의 행복감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청소년을 개입할 때 어머니의 부모 교육 및 상담이 강조되며, 행복한 어머니를 위한 프로그램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고교생의 학교계열, 생활스트레스 요인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인지적몰락의 매개효과

        최아론,이영순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3

        본 연구는 고교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인지적 몰락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고등학교 계열별로 생활스트레스와 인지적 몰락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라북도 내 4개시의 8개 고등학교 856명(인문계 294명, 실업계 319명, 예술계 243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 및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생활스트레스 하위요인, 인지적 몰락 하위요인 및 자살사고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자료 분석 결과 측정모형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적 몰락이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사고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열별 다집단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완전매개모형의 구조는 모든 계열에 동일하게 적용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계열별로 인지적 몰락을 유발하는 생활스트레스 하위요인에는 차이를 보였으나 인지적 몰락 하위요인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자살연구 및 자기파괴 행위에 인지적 몰락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며 계열에 따라 자살예방을 위한 접근방식을 달리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nd mediation effects of cognitive deconstruction on the association. Eight hundred fifty five high school students (i.e., 294 academic high school, 319 vocational high school, and 243 arts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or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Correlational analyse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hose relations. Findings in the study showed that life stress and cognitive deconstru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Second, cognitive deconstruc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Third, sub-factors of life stress which lead to cognitive deconstruction varied according to the school typ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고등학생의 인지적 몰락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용서, 삶의 의미, 감사, 희망의 매개효과

        최아론,이영순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인지적 몰락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용서, 삶의 의미, 감사, 희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내 2개 시의 3개교 인문계 고등학생 515명을 대상으로 자기도피 척도, 자살사고 척도, 용서 척도, 삶의 의미 척도, 희망 척도, 감사 척도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용서, 삶의 의미, 감사, 희망은 인지적 몰락과 자살사고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몰락은 용서, 삶의 의미, 감사, 희망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희망에 직접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셋째, 감사와 희망은 자살사고와 직접효과가 있었으나 용서와 삶의 의미는 자살사고에 직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적 몰락은 용서, 삶의 의미, 감사, 희망을 매개로 자살사고에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자살 연구와 관련하여 인지적 몰락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며, 청소년 자살 예방을 위해서 희망요인이 적극 활용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gnitive deconstruction, suicidal ideation, and positive factors of high school students. 515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or cognitive deconstruction, suicidal ideation, hope, participants gratitude, meaning in life and forgiveness.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using AMOS 18.0.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N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ope, gratitude, meaning in life and forgiven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cognitive deconstruction and suicidal ideation. Second, cognitive deconstruction had a direct effect on hope, gratitude, meaning in life and forgiveness. Third, hope and gratitude were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significantly on suicidal ideation, but their meaning in life and forgiveness were found not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Fourth, cognitive deconstruction had a substantial indirec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mediated by hope, gratitude, meaning in life and forgiveness.

      • KCI등재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부정적 해석의 순차적 매개효과

        조민해,최아론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negative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alu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For negative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aluation, a total of three interpretations (IPES, DPES, DPSOS) were us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framework, and different research model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method, and the final model was confirmed. For this purpose, 400 university students surveyed self-report survey, measurement tools using the Korean version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cale(K-PSPS),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SIAS), Social Phobia Scale(SPS), Fear of Positive Evaluation Scale(FPES),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s Scale(IPES), Discounting of Positive Events Scale(DPES), and Disqualification of Positive Social Outcome Scale(DPSO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First,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fear of positive evaluation, IPES, DPES, and DPSOS all showed positively correlation. Seco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ful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IPES. Thir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partia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DPES. Fourth,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partia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DPSOS. Based on thes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부정적 해석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긍정적 평가에 대한 부정적 해석은 총 3가지의 해석(IPES, DPES, DPSOS) 방식을 통합적인 틀 형태로 사용하였으며 해석방식에 따라 각기 다른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최종모형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00명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측정 도구는 한국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K-PSPS),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SIAS), 사회공포증 척도(SPS),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FPES), 긍정적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 척도(IPES), 긍정적 사건에 대한 평가절하 척도(DPES),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에 대한 가치절하 척도(DPSO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IPES, DPES, DPSOS는 모두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IPES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DPES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DPSOS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과 사회불안의 관계: 경험회피와 사후반추사고의 순차적 매개효과

        유정찬,최아론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2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1 No.2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experiential avoidance and post-event rumina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ack Intolerance for uncertainty and social anxiet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ace-to-face and online with 459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easurement tools were the Korean version of the lack Intolerance for Uncertainty Scale(IUS) and the shortened Korean version of the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Questionnaire(MEAQ-24). The post-event rumination Questionnaire (PRQ),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SIAS) and the Social Fear Scale(SPS) were used to measure social anxiet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ack of Intolerance for uncertainty, avoidance of experiential, post-event rumination, and social anxiety all showed a static correlation. Second, it was shown that experience avoidance and post-event rumination are single mediators in relation to lack Intolerance for uncertainty and social anxiety. Thirdly, d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lack Intolerance for uncertainty and social anxiety, experience avoidance and post-event rumination were shown to be completely mediated in sequenc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clearly revealed the avoidance and cognitive processes that individuals who lack the patience for uncertainty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social anxiety. And based on the behavior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study, a follow-up study was suggested.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험회피와 사후반추사고의 역할을 검증하고, 사회불안의 감소를 위한 개입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재학 중인 대학생 459명을 대상으로 2022년 3월 1일부터 202년 4월까지 30일 약 2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SPSS 22.0, SPSS MACRO v4.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경험회피, 사후반추사고, 사회불안은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사후반추사고는 각각 단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사후반추사고는 순차적으로 완전 매개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한 개인들이 사회불안을 겪는 과정에서 겪는 회피와 인지과정을 명료히 밝혔다는 점에서 함의가 있다. 그리고 연구에서 밝혀진 행동적, 인지적 특성을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김혜미(Kim, HyeMi),최아론(Choi, ARon)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22 동서정신과학 Vol.25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J지역에 소재한 대학생 369명을 대상으로 성장 마인드셋 척도, 그릿 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 그릿,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진로상담영역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whether grit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mindse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369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the J area using the growth mindset scale, grit scal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rowth mindset, gri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grit has been shown to be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students growth mindse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basic data in the career counseling field stating that growth mindset and grit promo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유아신(LIU, YAXIN),최아론(Choi, A-ron) 한국교육치료학회 2021 교육치료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중국인 유학생 497명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으로 Scheffe을 사용하였다. 연구 검증을 위해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Process Macro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국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나이, 체류기간, 신분, 한국어 능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희망, 대학생활적응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나 희망과 대학생활적응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희망의 부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인 유학생이 어느 부분에서 주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 확인하여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고 보다 더 효율적인 대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적응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인이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among 497 Chinese students based in Jeollabuk-do.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o check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university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cheffe was used as a follow-up test. Correlation among research variables was analyzed for research verification, and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through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djustment of Chinese students to university life in Kore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ir age, length of stay, status, and Korean language ability. Stil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gender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Secondly,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showed a significant amulet correlation with hope, university student adaptation, and a significant amulet.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hope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Thirdly,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hope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develop counseling programs that can help Chinese students in Korea experience major stress and improve their level of adaptation so that they can lower their stress levels and have a more efficient college life.

      • KCI등재

        성인 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지각된 통제감,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이선희(Lee, Seon-Hee),최아론(Choi, A-Ron) 한국교육치료학회 2021 교육치료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애착 회피, 애착 불안과 외상 후 성장 관계를 살펴보고 지각된 통제감, 자기노출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온라인으로 진행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외상 질문지, 외상 후 성장 척도, 성인 애착 척도, 지각된 통제감 척도, 자기노출 척도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부트스트랩핑과 팬텀 변수를 이용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애착 회피, 애착 불안, 지각된 통제감, 자기노출, 외상 후 성장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애착 회피, 애착 불안과 외상 후 성장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은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애착 회피, 애착 불안과 외상 후 성장 관계에서 자기노출은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외상연구의 영역을 정서 및 인지적 접근으로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대학생 외상 치료에 있어 상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xiety, and post-traumatic growth to confirm whether perceived control and self-exposure have mediated effects. Two hundred thirty-six college students answered an online survey asking questions, post-traumatic growth scales, adult attachment scales, perceived control scales, and self-exposure sca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 using bootstrap and phantom variables. As a result, Firstly, there are meaningful relationships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xiety, perceived control, self-exposure, and post-traumatic growth. Second, the perceived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xiety, and post-traumatic growth showed a complete mediated effect. Third, self-exposure has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xiety, and post-traumatic growt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tends the area of trauma research to emotional and cognitive approaches. It also provides consultative suggestions for trauma treatment by university student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recommenda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COVID-19시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여가제약협상의 관계

        임진선(Lim, Jin Sun),최아론(Choi, A Ron)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2021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있는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법이 여가제약협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1년 1월 25일부터 2월 19일까지 전북, 전남, 부산에 소재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47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과 AMOS18.0 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ANOVA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COVID-19 이전과 이후의 여가유형에 변화에 따라 여가제약협상에 차이가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법에 따라 여가제약협상에 대한 부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처방안에 대한 세부적 접근에 대해 고민해야 할 것이다. 특히 스트레스 대처방법 중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법(문제중심 대처, 사회적지지추구)이 여가제약협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COVID-19와 연계하여 스트레스 대처와 연계한 여가제약이나 여가만족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ollege students stress coping in the post-corona era affect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rom January 25th to February 19th, 2021, 247 copies were used for this study, excluding 13 questionnaires from Jeonbuk, Jeonnam, and Busan.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and AMOS 18.0.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types of leisure before and after COVID-19. According to the stress coping method of college students, it appears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art of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s,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detailed approach to the coping plan.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active stress coping method(Active problem solving, Social support seek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s. Therefore, future research will require efforts to verify their relationship with various approaches to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s, and stress and stress response strategies with COVID-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