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약성경에 나타난 죽음, 죽음 이후의 세계 및 부활에 대한 이해

        최순진 ( Soon Jin Choi ) 한국개혁신학회 2016 한국개혁신학 Vol.52 No.-

        본 논문은 구약성경에 나타난 죽음, 죽음 이후의 세계, 그리고 부활에 대해서 살펴본다. 구약성경은 죽음을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받아들이며, 죽음에 대한 구약성경의 태도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이다. 죽음 이후의 세계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히브리어 단어는 lAav.이다. 구약성경은 lAav.에 있는 상태를 전반적으로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죽은 자의부활과 가장 관련이 있는 구약성경 구절인 이사야 26:19와 다니엘 12:2의 본문 주석을 통해서, 우리는 잠에서 “깨어나는” 것이 국가적인 이스라엘의 회복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신체적 부활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이해한다. 이사야 26:19와 다니엘 12:2의 저작연대와 관련하여 역사비평의 견해는 주전 2세기로 간주하며, 구약성경의 부활사상이 페르시아의 영향을 받은 주전 2세기경의 부활사상에 근거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부활에 관한 이스라엘과 페르시아의 태도가 크게 차이 나며, 따라서 이 본문들이 제시하는 구약성경의 부활사상은 오히려 이스라엘의 신앙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살아가며 고난을 겪고 결과를 보지 못한 의로운 백성들이 훗날 부활의 어느 시점에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다니엘 12:2과 이사야 26:19은 대답을 제공한다. 역사비평이 주장하는 것처럼, 그 시기가 굳이 주전 2세기의 상황에 한정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위 두 본문의 저작연대에 관한 역사비평의 논쟁에 대해서, 우리는 결국에는 현재 있는 그대로의 본문을 해석해야 한다고 최종형태의 본문해석을 옹호한다. 다니엘 12:2와 이사야 26:19 본문들에 나타나는 내세의 개념은 구약성경에 산재해 있으며, 부활사상은 고대 이스라엘의 사상으로 구약성경에 내재한다. 죽음, 죽음 이후의 세계, 부활과 같은 논제들은 구약성경에서는 훨씬 덜 조명을 받고 있는 주제들이다. 구약성경의 부활사상은 이 주제에 대한 신약성경의 이해와 연관하여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고 이 논문은 제안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Old Testament`s view of death, afterlife and resurrection. Death is accepted as inevitable in the Old Testament but its view toward death is negative. A closely related Hebrew word to the concept of afterlife in lAav.. The characteristic state of lAav. is generally described negatively in the Old Testament. Isaiah 26:19 and Daniel 12:2 are the major texts that reflect the resurrection concept in the Old Testament. This paper argue that the idea of “rise” and “awake” in these texts represents the individual bodily resurrection instead of the restoration of the nation Israel. A historical-critical view of Isaiah 26:19 and Daniel 12:2 concerning the authorship issues regards them as the second-century BC materials. Therefore it views the resurrection thoughts in the Old Testament were influenced by the Persian thoughts.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the attitude toward the resurrection concept in the Old Testament ar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e Persian thoughts, even though one may not completely deny the possibility of the Persian influence on the resurrection idea in intertestamental texts. Thus we contend that the resurrection concept in the Old Testament is based on the ancient Israelite faith inherent in the Old Testament. The resurrection idea of Isaiah 26:19 and Daniel 12:2 provides an answer to the question about what will happen to the future of the righteous people of God who lived, suffered and died before being delivered by God. The circumstance shouldn`t be limited to the situation of the Jewish people in the second century BC. Regarding the authorship issue of Isaiah 26:19 and Daniel 12:2, we advocate the interpretation of the final form of the text. The thoughts of resurrection and afterlife reflected in Isaiah 26:19 and Daniel 12:2 are inherently present in the various Old Testament texts, even though their number may not be great, as ancient Israelite thoughts. The concepts of death, afterlife, and resurrection are less frequently addressed in the Old Testament;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at those concepts may also be understood biblical-theologically in connection with these topics in the New Testament.

      • KCI등재후보

        전쟁과 평화에 대한 선지자적 이상: “보습을 쳐서 칼을” 아니면 “칼을 쳐서 보습을”?(이사야 2:2-4, 미가 4:1-3, 요엘 3:9-10의 성경적 해석)

        최순진 ( Soon Jin Choi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30 No.-

        전쟁과 평화에 대한 선지자적 이상 (prophetic vision)에 관한 논제와 밀접한 성경 구절은“무리가 그들의 칼을 쳐서 보습을 만들고 그들의 창을 쳐서 낫을 만들 것이며”(사 2:4; 미 4:3)와“너희는 보습을 쳐서 칼을 만들지어다 낫을 쳐서 창을 만들지어다”(욜 3:10)이다. 이 두 본문은 첫 보기에는 서로 상충된 예언처럼 보이며 우리로 하여금 누구의 예언을 따를 것인가에 대한 선택을 요구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사야, 미가, 요엘의 본문들은, 현재의 위치에서 그들의 문맥 (이사야 2:2-5; 미가 4:1-5; 요엘 3:1-10) 하에서 주석될 때, 모두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를 성취하기를 요구한다. 요엘의 선언 (욜 3:10)은 전쟁도구를 쌓아 두고 전쟁을 준비하라는 뜻이 아니다. 요엘의 예언은 무장해제를 의미하는 이사야와 미가의 예언을 뒤엎는 것으로 간주될 수 없다. 우리는 수없이 되풀이 되는, 또는 끊임없이 새로이 발생하는, 분쟁과 갈등의역사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본 논문은 전쟁의 종식과 평화의 성취의 시기에대해서, 평화 성취는 종말론적인 최후의 날에만 가능한 비관적인 염원이 아니라, 당대 또는 근접에 미래에도 실현될 수 있는 희망이라고 대답한다. 평화가 어떻게 성취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사 2:4와 미 4:3은 하나님의 주권적 개입에 의해서 이전과는 극적으로 다른 새로운 상황, 즉 전쟁의 종식을 가져온다는것을 말한다. 전쟁 종식의 구체적인 행위인 무기파괴와 전쟁준비 중단을 위해서, 이사야 (미가)의 예언에 따라서 기독교인들이 자발적으로 적극적으로 행동해야 한다. 전쟁의 종식과 평화로운 세상의 성취를 위한 선지자적 이상(prophetic vision)은 이사야, 미가, 요엘의 예언을 들은 선지자의 청중들이 신실하게“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에 의지하며“여호와의 빛”에 따르도록 권면하였듯이, 21세기 기독교인들 또한 여호와의 길을 추구하도록 권면한다. Isaiah 2:4 (Micah 4:3) and Joel 3:10 are Biblical texts closely related to the issue of war and peace. Isaiah 2:4 states that “they shall beat their swords into plowshares, and their spears into pruning hooks,” while Joel 3:10 urges people to prepare for a war, “Beat your plowshares into swords, and your pruning hooks into spears.” At first glance, these two prophetic messages appear to be contradicting each other, although both are addressing how to achieve peace. In this paper we advocate that Isaiah 2:4 (Micah 4:3) and Joel 3:10 are not proclaiming contradictory messages regarding how to achieve peace. Joel’s prophecy is not urging people to prepare for war by accumulating weapons. It is rather a rhetoric that discourages people to fight. Thus, Joel’s prophecy cannot be considered to be reversing the message of Isaiah and Micah which asks for disarmament for peace. The message of Isaiah and Micah encourages the audience to trust in the Lord and walk in the paths of the Lord faithfully. This paper also investigates whether peace can be achieved in the near future or in eschatological times only. The vision for the abolition of war and achievement of peace as portrayed in Isaiah 2:2-4 and Micah 4:1-3 is yet to be realized fully. The world is still filled with news about wars and rumors of wars. Nevertheless, we are waiting for the age of world peace to come in the near future, not necessarily in final eschatological days only. However pessimistic it may look from the current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affairs, we argue that the achievement of peace does not have to be postponed until eschatological times. People of God must trust in the Lord and follow his paths.

      • KCI등재
      • KCI등재

        낙원, 실락원, 복락원: 환경 위기에 대한 구약성경적 관점

        최순진 ( Soon Jin Choi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4 성경과신학 Vol.69 No.-

        환경 위기에 대한 성경적인 대답은 무엇일까? 본 논문은 인간과 다른 창조물 사이의 관계에 대한 성경적 관점을 조명한다. 창세기에 기술된 창조 기사는 흔히 "환경파괴적이고 인류중심적"이라고 환 경주의자들에 의해서 주장되었다. 이러한 주장의 정당성에 대해서 본 논문은 하나님, 인간, 그리고 피조 세계 사이의 관계를 제시하는 주요 구약성경 본문 (창세기 1:26-30; 2:18-22; 3:1-19; 8-9장; 출애굽기 23:10-11; 호세아 2:16-23; 아모스 9:11-15; 이사야 11:6-9)들을 검토함으로써 이의를 제기한다. 우리는 본문 주해를 통해서 이러한 본문들이 환경위기에 대한 성경적 관점을 형성하는데 어떻게 기여하는가를 조명한다. 인간이 다른 창조물을 자애롭게 관리하는 책무를 갖고서, 인간과 다른 창조물 사이에 평화롭고 조화로운 공존이 존재한다는 것을 본 논문은 주장한다. 창조 당시에는 인간은 다른 창조물들 과 평화롭고 조화로운 관계에 있었으나, 이 관계는 곧 깨어지게 되고, 따라서 인간과 자연 사이의 관계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었다는 것을 본 논문은 제시한다. 창세기 3장과 8장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 인간과 자연 사이가 어떻게 분리 되었는가를 보여준다. 창조질서 내에 더 이상 조화와 화평이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하나님은 안식일 규정을 통해서 회복의 계획을 제시한다 (출애굽기 23:10-11). 선지자들은 회복이 완성되기를 염원한다. 호세아서, 아모스서, 이사야서 본문에 주어진 선지자들의 비전은, 창조 당시에 지명된 대로 창조세계 의 구성원들 사이의 원래의 평화롭고 조화로운 공존이 (창세기 1-2장) 어떻게 완전히 회복되는가를 보여주는 종말론적인 그림을 제시한다. 환경 위기를 맞이해서, 우리는 자연과 다른 창조물을 인간들이 착취하는 것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야 한다. 자연은 인간탐욕의 착취대상이 아니다. 자연의 파괴는 궁극적으로 인간에 영향을 미친다. 인간과 자연의 운명이 창조질서 내에서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What should be a proper Biblical response to the environmental crisis? This paper investigates a Biblical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living creatures. The creation account in Genesis has often been viewed by environmentalists to be "environmentally destructive anthropocentric." In this paper, we challenge the validity of this view by the examination of key Old Testament texts which 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humans, and the created world (Gen 1:26-30; 2:18-22; 3:1-19; Genesis 8-9; Exod 23:10-11; Hos 2:16-23; Amos 9:11-15; Isa 11:6-9). Through the exegesis of these texts, we evaluate their contribution to the Biblical perspective of the environmental crisis. This article advocates a view of harmonic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the rest of creation with the benevolent stewardship of humans being the function of humans. We present our argument that humans, at the time of the creation, were in a harmonious and peaceful relationship with the rest of creation. However, this relationship would soon be broken. It brought about the changed relational status between humans and nature. Genesis 3 and 8 portray how the separation happened, humans from God and humans from nature. The harmony and peace in the creation order existed no longer. However, a God-initiated restoration effort is given in the Sabbath laws (Exod 23:10-11). Prophets are looking forward to seeing the day of restoration finalized. The prophetic visions (in the selected texts from Hosea, Amos, and Isaiah) present an eschatological picture of the complete restoration of the environment to the original harmonious coexistence among the members of creation, as designated at the time of creation (Genesis 1 and 2). Facing environmental crisis, we should be concerned with man`s exploitation of nature or of God`s creation. Nature is not a mere object of exploitation for human greed. The destruction of nature eventually will affect humans. The fate of humans and nature is, in the end, inseparable in the creation order.

      • 랫드에서 Compound K (CK)의 단회 및 반복투여독성 평가

        변종신 ( Jong Shin Byeon ),박지현 ( Ji Hyeon Park ),최순진 ( Soon Jin Choi ),지유근 ( Yu Guen Ji ),최학주 ( Hak Joo Choi ),김동희 ( Dong Hee Kim ),황석연 ( Seock Yeon Hwang )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2013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Vol.22 No.1

        Single-and repeated-dose toxicities of Compound K (CK)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oxicity Test Guidelines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sing Sprague-Dawley rats. For single-dose toxicity study, CK was dissolved in drinking water, orally administered and examined for 14 days. As results, CK up to a dose of 5,000 ㎎/㎏, the limited dose, neither induced death, clinical signs and necropsy findings, nor affected body weight gain and organ weights, in which 10% lethal dose could not be estimated. Based on the results of single-dose toxicity test, CK was administered at doses of 500, 1,000 or 2,000 ㎎/㎏ for 28 days for the evaluation of repeated-dose toxicity. All doses including the limited dose (2,000 ㎎/㎏) of CK did not cause any abnormalities of rats, including mortality, clinical signs, body weight gain, feed/water consumption, necropsy findings, organ weights, hematology, blood biochemistry. Rather, high doses (1,000 - 2,000 ㎎/㎏) of CK reduced the serum levels of alanine transaminase (ALT), aspartate transaminase (AST), creatinine phosphokinase (CPK), lactate dehydrogenase (LDH) and triglycerides, in addition to an increase in glucose, indicative of protective effects on hepatic and muscular injuries. Thus, both maximum tolerable dose (MTD) and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NOAEL) were not determined. The results indicate that long-term intake of high-dose CK might not induce general adverse effects.

      • 예레미야의 “새 언약” (렘 31:31-34) : 수사학적 긴장관계의 해결

        최순진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17 Torch Trinity Journal Vol.20 No.1

        “위로의 책”이라고 흔히 알려져 있는 예레미야 31-33장의 중심이 되는 31:31-34은 예레미야의 “새 언약”을 지칭하는 본문이다.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들은 신약의 “새 언약”에 영향을 받아서, 예레미야 선지자 당시의 청중이 유다의 멸망과 포로생활이라는 역사적 상황 속에서 “새 언약”을 어떻게 이해했는가에 대해서는 간과해 왔다. 이 논문은 예레미야 당시의 역사적 상황에 초점을 맞춰 “새 언약”의 의미를 살펴본다. 예레미야서의 핵심어는 언약적인 관점에서 “거짓”이다. 여호와의 말씀을 전해야 할 선지자들이 거짓 말씀을 전했으며, 말씀을 가르쳐야 할 제사장들이 말씀에 무지했으며, 언약적 공의로 통치해야 할 왕들이 도리어 백성을 억압했다. 이것이 예레미야가 말하는 “거짓”이며, 당시 사회 전반에 만연되어 있어서 심판이 불가피 했다. 신명기적 관점에서 볼 때, 언약파괴의 결과는 심판이다. 예레미야서의 “거짓”과 “여호와를 알다”는 것은 예레미야서를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논점이다. 심판 후, 미래가 불투명할 때, 예레미야의 “새 언약”은 이스라엘의 미래에 대한 새로운 역사적인 가능성을 제시한다. 여호와를 진실로 “아는 것”이 미래에 대한 희망의 실마리가 된다. 여호와는 여전히 이스라엘의 하나님이며, 이스라엘은 여전히 하나님의 언약백성이라는 것을 “새 언약”은 보장한다. “새 언약” (new covenant)의 “새로운” (new)의 의미에 관하여, 본 논문은 “새 언약”이 이전의 언약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언약이라기 보다는 방식 (mode, form)만 다르고 이전의 언약과 내용에 있어서는 같은 언약이라는 것으로 이해한다. Jeremiah 31-33 is often known as “The Book of Comforts.” At the center of the Book of Comforts stands 31:31-34 which talks about “a new covenant” (Jer 31:31). Rightly or unduly influenced by the “New Covenant” in the New Testament, the prior studies often overlooked how the people of Jeremiah’s time understood the idea of “a new covenant” in their historical situation. This paper will investigate the idea of “new covenant” in Jeremiah’s historical situation. “Falsehood” is a key word in the book of Jeremiah. Falsehood was rampant throughout the society from the greatest to the least. Judgment was unavoidable. From the perspective of Deuteronomy, the consequence of the covenantal breach is death. Israel was condemned to exile. Jeremiah’s message of “new covenant” provides the future possibility when there appears no hope. “Falsehood” and “Knowing the Lord” are closely related to understand the message of the “new covenant” in Jeremiah. Previously people knew God nominally. This is falsehood in a covenantal perspective. The “new covenant” confirms that Israel is God’s people and the Lord is God of Israel. “New” in a new covenant is new in its contents, but in its form or mode.

      • “바산의 암소” (암 4:1)의 정체를 통해서 본 이스라엘을 심판에 이르게 할 죄의 성격에 대한 고찰

        최순진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20 Torch Trinity Journal Vol.23 No.1

        구약의 선지서 중에서 아모스서는 사회정의를 중점적 주제로 하는 책으 로 간주된다. 특히 아모스 4:1에서 “바산의 암소들”과 “우리로 하여금 마시 게 하라”는 표현들은 사회지도층들이 일반 백성들을 억압하고 착취하는 것 으로 이해되었다. 따라서 사회정의가 파괴되었기 때문에 이스라엘에 심판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아모스서 선언하고 있다는 것이 보편적인 이해이다. 이 논문은 4:1을 이전 본문 3:9-15와 이후 본문 4:2-5의 문맥 하에서 4:1의 의미 를 분석한다. “바산의 암소들”과 “우리로 하여금 마시게 하라”의 주해는 이 스라엘에 임할 심판의 성격을 결정한다. 지금까지는 “바산의 암소들”은 이 스라엘의 고위층 부인들을 지칭하며, “우리로 하여금 마시게 하라”는 표현 은 사치스러운 생활을 지칭한다는 것이 보편적인 이해이다. 그러나 이 논문 은 “바산의 암소들”은 바알 신을 추종하는 지도자들을 포함한 일반 백성들 을 지칭하며, “우리로 하여금 마시게 하라”는 표현은 비싼 음료를 마시는 사 치스러운 생활이라기보다는 바알 신을 섬기는 제의적(Cultic) 문맥 하에서 이해할 것을 제안한다. 따라서 우상숭배 행위는 심판의 불가피성을 부른다. It is commonly known that social justice is the main theme of the book of Amos. The term “Cows of Bashan” (4:1) is often understood to refer to the elite women who are married to high ranking government officials in Samaria. They are subsequently accused of oppressing the poor and needy in society in order to maintain a rich lifestyle of drinking expensive wine. We attempt to interpret 4:1 in the preceding context 3:9-15 and following text 4:2-5. In this paper, we argue that the term “Cows of Bashan”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Baal worshiping. Also, we argue that the phrase “Bring that we may drink” is referring to a certain cultic activity. Understanding of 4:1 in the religious context, instead of rich lifestyle is in line with the general theme of Amos 2:6-4:13 where series of oracles are condemning idolatry in Israel. Thus, idolatrous activities warrant unavoidable judgment in Isra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