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교의 심신상관적 마음이해와 치유법 : 『용호비결』에 나타난 도교 내단의 성명쌍수론을 중심으로

        최수빈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논집 Vol.26 No.-

        흔히 도교(道敎)는 여러 가지 신체수련을 통해 장생불사를 추구하고 부적이나 주문, 의례를 통해 세속적 구복을 추구하는 종교로서, 노장사상과 같은 도가(道家)와 구별하여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도교 안에는 벽곡(辟穀)과 같은 식이요법, 도인(導引)과 같은 체조, 화학연금술, 약초학, 부적 등 다양한 종교 문화적 요소가 존재한다. 그것만이라면 도교는 의학이나 체육학, 혹은 대중적 주술행위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제대로 살펴보면 도교 안에는 깊은 사색과 명상이 있고, 그들의 심신 훈련의 기술의 바탕에는 매우 심오하고 체계적인 철학이 자리하고 있다. 노장사상으로부터 출발된 도교의 다양한 사상과 수행법은 당말 오대 이후로부터 시작되어 송원 시대에 가장 흥성했던 내단 사상에 이르러 가장 완성도 있게 체계화된다. 도교 내단(內丹)의 가장 독특한 수행법의 특징은 몸과 마음의 균형 있는 연마, 곧 ‘성명쌍수(性命雙修)’라고 할 수 있다. 유교나 불교와 구별되는 도교수행의 독특성은 마음수련을 위해 몸 수련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도교에서는 인간을 심신상관적(psycho-somatic)인 존재로 인식하는 바, 도교의 구원, 곧 득도를 통해 신선적 경지에 오르기 위해서는 육체와 정신, 양면의 수행이 필요하다고 본다.도교의 내단 사상과 수행법은 한국에서도 성행하였다. 조선시대의 여러 선비들은 단학수행에 몰두하고 다양한 저술을 통해 그들의 수행법을 소개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김시습(金時習)․권극중(權克仲)․정염(鄭磏) 등이다. 조선중기의 정염(鄭磏: 1506~1549)에 의해 작성된『용호비결(龍虎秘訣)』은 조선시대의 내단內丹)사상의 핵심을 잘 보여주는 저서이다『용호비결』은 도교의 심신수련서 가운데에서도 그 내용이 간단하면서도 한국도교의 내단 수행(修行)의 본질과 핵심을 잘 드러내주고 있다.『용호비결』에서는 도교의 수행법을 폐기(閉氣), 주천화후(周天火侯), 태식(胎息)의 세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이 가운데에서도 폐기의 과정이 가장 중요하며 따라서 이를 올바로 이해하고 바르게 수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한다. 『용호비결』과 같은 단학 수행서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도교의 수행법은 정신완성을 위해 신체의 상태를 온전하게 보전하고 그 순환상태가 원활하게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정신에너지를 공급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심신상관적 인간이해와 종교적 실천은 현대의학이나 심리학에서 말하는 인간의 정신이해와도 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at studying the Taoistic view of mind and body, and the cultivation theories and methods of them, establish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as a psycho-somatic being and a physiological system related with cosmic environments. Especially Inner Alchemy, or Neidan tradition has an emphasis on both and balanced cultivation of mind and body, that is inner nature and vital force (xing and ming). In Neidan tradition, techniques of cultivating the mind and body are based on Chinese philosophy, especially Taoistic thoughts (Laozi, Zhuangzi), Iching (Book of Change) apocrypha, Five agents, Buddhism, traditional practices relating to breath of energy(qi), outer alchemy etc. It is in a way a completely Taoistic reaction to Buddhism. And it establishes an order of different from the standard system of the Iching.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Neidan meditation is shown in the process of acquittance of tranquility and the stages of cultivation, namely the first from qing to qi, the second from qi to shen, the three from shen to Emptiness. Inner alchemy is a method of finding illumination by returning to the fundamental order of the cosmos. In order to attain the highest stage, xing and ming must be cultivated together. Zen Buddhists neglect the cultivation of ming, early taoists weaken the cultivation of xing, and confucianists are unconcerned with the training of the Life(mind-body). Without xing, ming will never attain perfect non-action. Cultivation of ming is controlled under cultivation of xing.The essence of Taoism in Chosun dynasty centers around the thought of nourishing and prolonging life which greatly hinges on Neidan (Inner alchemy). The thought of Taoism in Chosun dynasty put an emphasis not only on accomplishing spiritual freedom with a view of attaining longevity and immortality, but also on maintaining bodily vitality inside the body. Jeong Ryeom was a representative figure of Chosun Taoism who put more emphasis on specific practices than on theoretical foundations for Taoist practices. Jeong Ryeom's book titled ‘Secret Formulas for Dragon and Tiger’ describes more of Taoist practices based on nurturing of inner alchemy as opposed to external alchemy. The philosophical Taoist practices advocated and espoused by another Taoist such as Kim Siseup appeared to be transformed to become what may be termed ‘prophylactic medicine’ by Jeong Ryeom.

      • KCI등재

        천서(天書)인가 인서(人書)인가 - 도교 경전의 특수성과 대중화 문제에 대한 소고 -

        최수빈 한국도교문화학회 2019 道敎文化硏究 Vol.50 No.-

        대략적으로 도교의 경전관은 크게 두 가지로 대별해 볼 수 있다. 우선 경전이란 계시에 의해 세상에 전달된 天書이며 우주창생과 보편구제의 힘을 가진 聖物이라고 믿는 관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는 달리 경전이란 道를 체득하고 세계의 참된 본질을 파악하는 데 보조적인 도구로서, 그것과 진리 그 자체는 구별해야 함을 강조하는 경전관이 있다. 전자의 경우는 주로 위진남북조를 중심으로 유행하던 경전관으로서 경전의 절대적 권위가 인정된다. 특별히 이러한 경전관은 유교나 불교와 차별되는 가장 도교다운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후자는 송대 이후 삼교합일적인 특성을 가진 개혁도교를 중심으로 나타나며 특히 金元시기의 全眞敎와 내단분파의 문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경전관이다. 이 경우 언어와 문자의 한계를 강조하며 경전 자체의 신적 유래나 절대적 권위를 인정하지 않고 경전을 인간적 산출물로 여긴다. 경전관에 따라 경전의 작성, 그리고 전수와 보급의 양상이 달라진다. 경전을 天書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경전을 엄격하게 취급하여 자격을 갖춘 이들에게만 비의적으로 전수하거나 교단의 엄격한 계율과 의례를 거쳐 전수한다. 이러한 경우 경구의 상당부분이 상징과 비유를 사용함으로 해독이 어렵다. 따라서 경전 자체뿐 아니라 주석 역시 일반적인 공유의 대상이 되기 어려워 도교전문가들의 전유물일 수밖에 없다. 두 번째 경전관이 부상하는 북송시대 이후에는 주로 개인의 자력적인 수행을 중시하는 내단전통과 민중도교의 흐름이 공존하는데 경전의 자격을 부여하는데 엄격하지 않아 내단문헌과 대중적인 권선서, 주술적인 道法에 관한 문헌 등, 다수의 문헌이 도교경전 안으로 편입되며 심지어 유교와 불교의 경전도 다수 포함된다. 그리고 경전을 인간적 깨달음의 산물, 곧 人書로 취급하므로 경전의 전수와 보급이 용이하며 경전의 경구가 교육과 학습, 이성적 논의의 대상이 된다. 金元시대 全眞敎의 경우 道觀에서 도사들이 집단적으로 경전을 학습하고 토론한다. 또한 경전에 대한 자율적인 재해석과 경전의 재창출을 허용하는데 이러한 태도는 송대 이후 도교의 고유한 특색이라고 평가된다. 그러나 북송 이후에도 분파에 따라 天書로서의 경전관, 그리고 경구의 주술적 힘에 대한 강한 신앙을 강조하고 비의적 전수를 중시하는 경향은 계속 이어져 왔다. 도가 가지는 초월적인 차원은 신적 계시에 의해서만 인간에게 공개되고 접근될 수 있다는 믿음이 여전히 도교전통 안에 내재하였던 것이다. 도교경전의 대중화 혹은 대중적 보급은 두 가지 차원으로 진행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우선 비의적으로 전달되어 소수의 도교전문가들 사이에서만 통용되던 경전이 지식계층의 도사집단이나 신도집단에게 전달되고 교육되는 대중화의 차원이 있고 일반 평민계층에게 경전이 보급되는 대중화의 차원이 있다. 전진교의 경우 도사들 대상의 집단적 경전강의나 평신도 집회에서의 경전교육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졌지만 그것은 일반 평민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지식층을 중심으로 한 것이었다. 이와 다른 차원의 도교경전의 대중화는 북송 이후 민중도교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다양한 勸善書 들과 같이 지식이 없는 일반 평민들도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는 대중적 도교문헌들이 작성, 보급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보급, 공유되는 경전의 종류와 수가 매우 제한... The view of scripture, i.e. attitude toward authority of scripture or standpoint as to interpretation of scripture, varies from religious tradition to religious tradition. Even within the same religious tradition, the view of scripture may be determined by era and religious denominations. It is noteworthy that Daoism does not have standard view of scriptures itself. The characteristics of Daoism, i.e. a religion of interwoven complexity and high flexibility, are reflected on formation and understanding of its scripture. Daoist Canon, a massive accumulation of texts, is a collection of numerous texts with far-reaching diversity. All in all, scripture of Daoism may be characterized by diversity and flexibility. It would be worthwhile to identify a common factor behind consolidation of numerous Daoist texts of such diversity into one. It can be derived that Daoist texts are based on the metaphysics and cosmology centered on Dao and Qi (i.e. Breath, or Energy). The cosmology, involving a process starting from Dao(i.e. the One, the matrix of the whole universe) to creation of a myriad of things via a medium of Qi serves a framework to build a fundamental structure for religious practices of Daoism. Daoist endeavors to revert the process of such creation (i.e. from a myriad of things to Dao) as part of effort to reach the mystical union with Dao. The mechanism involving creation of all things based on Dao and Qi and circulation thereof serves as a fundamental basis to support all the doctrines and facilitate religious practices of Daoism. With a common theoretical framework, each denomination of Daoism documented its own texts and the view of scriptures during a particular time period while other denomination pursued its own way. We can find two different views on Daoist scriptures as follows: First, a group of traditions, such as Shangqing Tradition, Lingbao Tradition and Celestial Masters Tradition, deems scripture to hale a divine origin and power. Such traditions recognize that scriptures are literal expressions of Dao and believe that scriptures are sacred things which manifest the Sacred itself and possess sacred power themselves. Such scriputres are believed not to be works written by humans but revelations by gods as the messengers of the Dao. So, absolute authority is granted to scriptures in cases of such traditions. In contrast, a group of Inner Alchemy traditions such as Quanzhen Tradition places heavier weight on a practical value of scriptures than absolute authority thereof. The underlying concept is that scripture is something that presents a gateway to Dao but distinguished from Dao itself due to its inherent limitations as it is structured in character letters of a human. In this regard, scripture may be treated as auxiliary means to accomplish religious goals. The practices of adepts are stressed more than reliance on teaching of scripture. Different attitudes toward scriptures may be interlinked with understanding of character letters or languages. Furthermore, it may have an inter-linkage with understanding of salvation whether to be fulfilled via divine power or own efforts exerted by a human. The views on scriptures have an influence on the transmissions and propagation of scriptures. In case of traditions such as Shangqing School and Lingbao School that regard the scriptures as sacred things, the scriptures are transmitted in esoterical forms very cautiously. Therefore, the propagation of scriptures are not easily achieved. On the contrary, Daoist schools such as Quanzhen school transmit and propagate the scriputures freely because they see scriptures just as human works not revealed by deities but witten by humans. In conclusion, authority and status of Daoist texts differs from one to another, lacking consistency. In comparison with other religious traditions, Daoism permits free and flexible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Free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even led to variation and recreation of scriptur...

      • KCI등재

        신축성 전극 기술 개발 동향

        최수빈,이철로,정승부,김종웅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19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26 No.3

        Stretchable electronic systems have recently been gaining more and more attention because of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in various implements such as electronic skins and wearable/shape-deformable electronics. An essential factor of the stable stretchable device implementation is that all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system must have sufficient elasticity and exhibit stable performances even under repetitive stretching conditions. In this paper, we review the latest research results to secure the stable stretchability of electrodes among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system.

      • KCI등재

        ADHD아동의 화용능력: 사회적 갈등상황 해결 능력을 중심으로

        최수빈,최경순,황민아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9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5 No.2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agmatic ability of children with ADHD in conflicting situation stories. Specifically, We examined children with ADHD how differ with normal children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causes of conflict, understanding other people's emotions, and suggesting solutions to conflict in social conflict situations. The participants were 10 children with ADHD between the ages of 7 and 10, and 10 normal children. All participants had normal range intelligence and normal range language ability in standardized language test. All participants listened to Fifteen conflict stories, they had to choosed causes of conflicts among 3-multiple choice item, main character' feeling among 4-multiple choice item and said problem solving plan about conflicting situation. The result showed that children with ADHD were significantly inferior to found causes of conflicts, understanding of others' feeling and presentation of solving plan than normal childre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hildren with ADHD have poor pragmatic ability in conflict situation despite their normal IQ and linguistic ability.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화용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적 갈등상황 이해능력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일상생활에서 흔히 일어나는 갈등 상황에 대한 원인 이해, 타인 감정 이해 및 갈등 해결방안의 제시에 있어서 ADHD아동이 또래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지능과 언어능력에서 정상범주에 위치한 만 7-9세 ADHD 아동 10명과 또래 일반아동 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도구로 15개의 갈등상황 이야기를 만들어 각 이야기와 관련된 갈등원인, 타인감정이해 및 해결방안용 질문을 제작하였다. 아동들은 갈등 상황 이야기를 들은 후, 갈등 원인 및 타인 감정 이해 질문에 대한 정답을 보기에서 찾았고, 갈등 해결방안은 구어로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 ADHD 아동은 갈등 원인 파악, 타인 감정 이해 및 해결방안 제시에 있어서 또래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하여 ADHD 아동이 정상수준의 지능과 언어 능력을 지니고 있다 하더라도 갈등 상황에 대한 적절한 이해능력에 있어서 어려움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