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응급과 긴급 자궁경부 원형결찰술을 시행한 임신부에서 조기분만 예측 인자로서 수술 후 측정한 자궁경부 길이의 유용성

        박수예 ( Soo Ye Park ),최수란 ( Soo Ran Choi ),이혜란 ( Hea Ran Lee ),양성천 ( Sung Cheon Yang ),이용우 ( Yong Woo Lee ),송지은 ( Ji Eun Song ),문종수 ( Jong Soo Moon ),김성주 ( Seong Joo Kim ),이근영 ( Keun Young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9

        목적: 응급과 긴급 자궁경부 원형결찰술을 시행 받는 임신부에서 임신 30주 이전 조기분만을 예측할 수 있는 예측인자로서 수술 후 질식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한 자궁경부 길이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자궁경부가 개대 되고 양막이 질쪽으로 탈출되어 응급 자궁경부 원형결찰술을 시행한 51명과 초음파상 자궁경부 내구의 깔대기모양 변화와 더불어 자궁경부 길이가 25 mm 미만으로 짧아져 긴급 자궁경부 원형결찰술을 시행한 4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분석, Pearson`s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통계학 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입원당시 평균 임신 주수는 응급 자궁경부 원형결찰술을 시행한 군은 21.2 ± 2.3주 긴급 자궁경부 원형결찰술을 시행한 군은 21.8 ± 3.2 주이었다. 수술 후 측정한 자궁경부 길이는 응급 자궁경부 원형결찰술군은 17.6 ± 8.6 mm, 긴급 원형결찰술 군은 21.8 ± 8.7 mm로 증가하였다. ROC curve 분석에서 응급 자궁경부 원형결찰술군은 자궁경부 길이를 16.5 mm로 기준할 때, 민감도 85%, 특이도 50%, 양성예측도 17%, 음성예측도 16%, 긴급 자궁경부 원형결찰술군은 수술 후 자궁경부의 길이를 23.2 mm로 기준할 때, 민감도 65%, 특이도 45%, 양성예측도 17%, 음성예측도 8%이었다.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수술 후 측정한 자궁경부 길이는 교란인자 보정 후 임신 30주 이전 조기분만과 독립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응급 원형결찰술군 P = 0.65, 긴급 원형결찰술군 P = 0.77). 결론: 응급과 긴급 자궁경부 원형결찰술 후 질식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한 자궁경부의 길이는 증가하였으나, 임신 30주 이전 조기분만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인자는 아니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lue of the ultrasonographic cervical length after emergent and urgent cervical cerclage to prediction of preterm delivery in patients with incompetence of cervix. Methods: Fifty-one women who underwent emergent cervical cerclage and forty women who underwent urgent cervical cerclage were studied respectively.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 Pearson`s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mean gestational age at admission was 21.2 ± 2.3 weeks in emergent cerclage group and 21.8 ± 3.2 weeks in urgent cerclage group. Postoperative mean cervical length was 17.6 ± 8.6 mm in emergent group and 21.8 ± 8.7 mm in urgent group. The diagnostic indices of postoperative cervical length (cut-off value 16.5 mm in emergent cerclage, 23.2 mm in urgency cerclage) by ROC curve were sensitivity of 65%, specifi city of 45%,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17%,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8% in emergent cerclage group and in urgent cerclage group, sensitivity of 85%, specifi city of 50%,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17%,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16%.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postoperative cervical length was not an independent predictor of preterm delivery after adjustment of confounding factors in emergent group (P=0.65) in urgent groups (P=0.77). Conclusion: In the both groups, the postoperative cervical length was longer than preoperative. However the postoperative cervical length is not a useful predictor of preterm delivery in patients with emergent and urgent cervical cerclage.

      • KCI등재

        난포호르몬이 임신 자궁동맥 평활근세포에서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이용우 ( Yong Woo Lee ),김호연 ( Ho Yeon Kim ),박상민 ( Sang Min Park ),최수란 ( Soo Ran Choi ),정지윤 ( Ji Youn Chung ),문종수 ( Chong Soo Mo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9

        목적: 내피세포를 제거한 자궁동맥 평활근세포에 난포호르몬을 투여하여 자궁동맥 평활근세포가 난포호르몬의 직접적인 표적조직인지와 난포 호르몬이 자궁동맥 평활근세포에서 직접적으로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ERK2/1) 활성화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난포호르몬의 자궁동맥 혈관확장 중에서 내피세포-비의존성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만삭임신의 양에서 절제된 자궁동맥을 대상으로 콜라겐 분해효소로 내피세포를 제거하였다. 내피세포가 제거된 자궁동맥 평활근 분절은 소화효소처리 후에 평활근세포를 수집하여 성장배지에서 계대배양하였다. 혈관 내피세포와 평활근 상태의 평가는 항평활근 알파-액틴 단 일클론 항체, 항내피세포 산화질소 합성효소 단일클론 항체, 항caveolin-1 다클론 항체를 처리하여 중복 면역형광 염색과 흐름세포측정으로 판정하였다. 자궁동맥 평활근세포에 난포호르몬을 농도를 달리하여(10-14 M에서 10-6 M까지) 투여하여 전체 세포 추출물에 대하여 항인산 특이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다클론 항체로 ERK2/1 인산화의 western blot 분석을 하였다. 난포호르몬 수용체 길항제인 ICI 182,780으로 전처치한 후에 다시 난포호르몬을 낮은 농도(10-10 M)와 높은 농도(10-7 M)로 투여하여 인산화 ERK2/1의 western blot 분석을 하여 전처치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였다. 결과: 평활근세포의 전형적인 hill and valley 양상과 세포 내에 평활근 알파-액틴과 caveolin-1이 뚜렷하게 염색되었다. 흐름세포측정 분석에서 평활근 알파-액틴과 caveolin-1은 각각 99.96%와 99.98%가 발현되었지만 내피세포 산화질소 합성효소 단백질은 26.12%에서만 발현되었다. 난포호르몬의 농도의 증가에 따라 인산화 ERK2/1의 발현은 이상성 증가반응을 보였다. 난포호르몬이 저농도(10-14-10-10 M)에서는 ERK2/1의 인산화는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하였지만, 고농도(10-9-10-8 M)에서는 ERK2/1의 인산화는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약물농도인 초고농도(10-7-10-5 M)에서는 ERK2/1의 인산화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난포호르몬 수용체 길항제인 ICI 182,780으로 전처치하면 난포호르몬을 저농도(10-10 M) 혹은 고농도(10-7 M)로 투여하더라도 ERK2/1 인산화는 소멸되었다.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분석에서 난포호르몬 알파-수용체와 베타-수용체는 자궁동맥 평활근과 자궁동맥 평활근세포에서 모두 발현되었다. 결론: 자궁동맥 평활근은 난포호르몬 수용체를 지니고 있는 난포호르몬의 표적조직이며, 난포호르몬의 혈관확장 작용에는 자궁동맥 평활근세포에서 직접적인 ERK2/1 활성화를 통한 혈관내피 비의존성 기전도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Objective: To explore the endothelium-independent mechanisms of estrogen induced uterine vasodilat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uterine artery smooth muscle (UASM) cells are direct targets of estrogen, and estradiol (E2) stimulates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ERK2/1) in endothelium denuded UASMs. Methods: The uterine arteries were obtained from late gestation pregnant sheep and the endothelium was denuded with collagenase digestion. The uterine artery smooth muscle segments were digested, collected and cultured. Endothelial integrity and smooth muscle status were assessed by Double immunofluorescence staining and flow cytometry. The UASM cells were treat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E2 (10-14 to 10-6 M), and pretreated with ICI 182,780 followed by different concentrations (10-10 and 10-7 M) of E2. Western blot analysis of ERK2/1 phosphorylation with a phospho-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ntibody were carried out to total cell extracts. Results: The loss of endothelial function and adequacy of smooth muscle integrity were confirmed. When challeng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E2, a bi-phase ERK2/1 phosphorylation was observed. Treatment with low doses (10-14 to 10-10 M) of E2, ERK2/1 phosphorylation was dose-dependently increased, whereas high doses (10-9 to 10-8 M) did not phosphorylate ERK2/1. However, treatment with pharmacological doses (10-7 to 10-6 M) drastically phosphorylated ERK2/1. In the presence of ICI 182,780, E2 induced ERK2/1 phosphorylation were abolished in both. Conclusion: It suggests that UASM is the target tissue of estrogen during uterine vasodilatation, and estrogen stimulation of ERK2/1 activation is mediated by an estrogen receptor-dependent mechanism. It also is presumed that endothelium independent mechanism exists in estrogen induced vasodilatation.

      • SCOPUSKCI등재
      • Asymmetric Dimethylarginine의 다형핵 백혈구에 대한 효과

        최수란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연구소 2004 中央醫大誌 Vol.29 No.3·4

        Asymmetric dimethylarginine (ADMA), an endogenous nitric oxide synthase (NOS) inhibitor, has been suggested to be a contributory factor in vascular disease of atheroclerosis.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lucidate the effects of ADMA on the vasorelaxation of isolated thoracic aorta, PMNs adherence to superior mesenteric artery, the generation of su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in PMNs, and the intracellular calcium mobilization in PMNs. The endothelium dependent vasorelaxation of isolated thoracic aorta was inhibited by ADMA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 the endothelium independent vasorelaxation was not inhibited by ADMA. The PMNs adherence to superior mesenteric artery was increased by ADMA. Superoxide anion and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in 1 μM formylmethionylleucylpheylalanine (fMLP)-activated PMNs was increased by ADMA in a dose-dependent fashion. The fMLP-induced elevation of intracelluar calcium in PMNs was inhibited by ADMA. L-arginine reversed the effects of ADMA on the vasorelaxation of isolated thoracic aorta, PMNs adherence to superior mesenteric artery, the su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generation, and the elev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in PMNs. The results suggest that ADMA may be harmful to vascular endothelium by stimulating inflammatory cells, but L-arginine may protect vascular endothelium from the ADMA-induced da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