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폭력의 기원: 르네 지라르의 희생양과 조르조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최성희(Choi Sunghee) 새한영어영문학회 2010 새한영어영문학 Vol.52 No.3

        The question of what is the origin of violence can be replaced by that of why violence takes place. The concept of violence has a broad range of meanings, but ironically through asking the origin of violence, I think, we could access the most precious characteristics of violence. The difference of perspectives between Hobbes and Girard about the origin of violence could be said as big as that between the modern and the contemporary. For Girard, violence makes function of establishing foundation of a community through sacrificing one, while for Hobbes, the establishing power is necessary to prevent violence in the state of nature. Contrary to Hobbes who emphasizes violence that originally exists in individual relation itself, Girard moves the focus of the origin of violence into the relation between a group and an individual, which he considers the most serious violence. Although Girard provides us a useful concept to re-view our civilization, his concept, ‘scapegoat,’ seems a little teleological in that the violence for the scapegoat is a substitutive violence in order to eliminate other violences occurred inside the community. Such a characteristics is also the limit of this concept for applying to violent conditions or phenomena these days. For these days we can see many violences not to sacrifice one for the benefit of a society, but just to expose a life to the danger of violence. The concept of Agamben, Homo sacer, provides more convincing idea about the origin of violence: sacratio that is not consecration but is exposure to violence in the most profane and banal ways. Homo sacer is a bare life of double exception that may be killed but not sacrificed, not in the humane world nor in the divine world. The origin of violence that we can understand through Agamben’s concept, Homo Sacer, belongs not anymore only to the order of temporality, but to virtuality that might be realized in the juridical world, at any moment.

      • KCI등재
      • KCI등재

        침묵의 기념물: 〈유럽 전몰 유대인을 위한 기념물〉

        최성희(Choi Sunghee)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0 美術史學 Vol.- No.24

        1988년에 한 시민 단체가 국가 차원의 홀로코스트(Holocaust, 대학살) 기념물을 조성할 것을 제안한 이후, 이 프로젝트는 독일에서 가장 뜨거운 쟁점이 되었다. 독일 연방 정부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국립 홀로코스트 기념물은 다소 설득력 있는 취지들을 지니고 있었다. 공식적인 홀로코스트 기념물을 만듦으로써 자신들의 부끄러운 역사로부터 벗어난 긍정적인 국가 정체성을 계발하여 이를 고양하고 세계에 드러내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연방 정부의 인식에 대해, 완성된 기념물이 기억을 끝낼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반대하는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실현 불가능한 것처럼 보였던 유럽 전몰 유태인을 위한 기념물은 완공되어 2005년 5월 12일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만 구천 평방미터의 대지에 2,711개의 콘크리트 석판이 격자무늬로 배열되고 바닥은 콘크리트 포장용 벽돌로 덮인 기념물은 현대 기념 미술의 미학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기념물 조성 제안에서부터 디자인 결정까지, 논쟁은 10년 이상 지속되었고, 홀로코스트 및 기념 미술과 관련하여 중요한 쟁점들에 대해 많은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이미 독일에 조성된 많은 홀로코스트 기념물들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국가 차원의 기념물이 필요한가, 또 기념물을 새로 조성한다면 어떤 메시지를 담아야 하는가 등이 논의의 초점이 되었다. 대량 살인이라는 죄악의 기억을 재현하는 적절한 형태를 찾을 수 있는지에 회의적인 사람들은 홀로코스트 재현의 문제에 관해 여러 의문들을 제기했다. 1980년대 이후 독일사회에 점증하는 제노포비아(Xenophobia) 현상은 후대를 위한 기념물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이에 논의자들은 과거를 떠올리게 하는 역사적 건조물(landmark)보다는 후대를 위한 훈계의 표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또 홀로코스트 이미지 과잉의 시대에, 정형화된 재현 이미지를 통해 공통의 기억을 만들어 고착시키고 나아가 속죄물로서의 기념물을 만드는 대신, 홀로코스트를 경험하지 않은 세대에게 개별적인 기억을 형성하도록 돕고 잊히기를 거부하는 반-기념물을 만들어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완공된 기념물은 직사각형 기둥들의 반복이라는 미니멀리즘 추상의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기념미술 작업에 참여하는 예술가와 전문가들은 추상이 새롭게 정의된 기념물에 가장 적당한 형식임을 발견했다. 미니멀리즘 추상은 시간의 흐름을 견뎌내며 기억을 지속시키는 데 과거의 재현이나 기록보다 더 성공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기념물의 유연함이란 달리 말해서 다양한 해석에 열려있음을 의미한다. 기념 미술의 이러한 최근의 논의들은 유럽 전몰 유태인을 위한 기념물에 반영되어 있다. 인간의 역사 이해의 복잡함과 극도의 악행은 말로 표현하기 어렵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아이젠만은 대담하게 추상을 사용하였다. 방문자들에게 거대한 돌기둥의 들판 속에서 방향감각 상실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거대한 역사적 현실 속에 방향을 잃고 길을 찾는 현대인의 모습을 담으려 하였다. 그는 이 기념물을 “소리 없는 기념물”이라고 정의했다. 난해하고 의도적으로 주장을 담지 않은 디자인의 기념물의 소리 없음은, 추상적인 기념물의 위험을 강조하는 정보센터의 ‘교훈적이고 무미건조한’ 홀로코스트 전시물들에서 나오는 목소리들에 의해 중단된다. 방문객들은 기념물의 맥락 속에서 길을 잃고 정보센터의 전시에서 길을 찾게 된다. 비슷한 미니멀리즘 전략을 활용한 기념물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확인되는 것은, 베를린의 홀로코스트 기념물이 기억을 상기시키는 기념물(denkmal)이 아니라 경고하는 기념물(mahnmal)이라는 점과 방문자 개인이 잊혀서는 안 되는 기억에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유럽 전몰 유태인을 위한 기념물에서 확인되는 것은 연결되지 않은 기억과의 단절 속에 울리는 침묵이다. 유럽 전몰 유태인을 위한 기념물을 둘러싼 논쟁은 독일인들이 자신들의 수치와 범죄를 고백하고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길을 찾으려는 노력을 보여주었다. 독일의 홀로코스트 기념물의 전례 없는 추상적 디자인과 개념적 탁월함은 높이 평가되었다. 그러 The Holocaust by National Socialism patty in Germany during World War Ⅱ has been memorialized in many countries in various forms with different significances. The commemoration of the Holocaust victims in Germany, is unique in its nature; it is the confession laden with guilt about the crimes that they committed. In 1988, a citizen group proposed to construct a national Holocaust memorial, and the federal government, who wanted to promote a positive national identity of a united country (the Berlin Wall fell down in 1989), supported the idea of the new memorial. Despite of a shared concern that the finished monument could finish the memory itself, the Berlin Holocaust memorial, called the Memorial for the Murdered Jews of Europe, now has been completed and it was open to the public on 12 May 2005. The controversy of the Berlin Holocaust memorial involved national politics, competing theories of memorial art, and the artistic visions of artists who participated in the two competitions held in 1995 and in 1997. The discussions were mainly focused on the questions of the necessity of another Holocaust memorial and, if necessaty, the message of the memorial, and the problem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Holocaust. When they admitted the necessity of the memorial to remind xenophobic younger and future generations of the deplorable deeds done in the name of the country, they recognized that it should be an admonishment rather than a landmark to remind the past, and that the memorial should be anti-redemptory. Artists and experts in memorial art found that abstraction best serves for the newly defined memorial. Because of the changing nature of memory, the realistic representation of the Holocaust imageries, creating a common memory, does not seem to be viable in a postmodern age. Minimalist abstraction and its pliancy is considered as more successful than representation or record of the past to keep memory enduring the pass of time. The pliancy of a memorial is, in other words, the openness to multiple interpretations. Ambiguity or opaqueness gains a positive meaning in the discourse of memorial. The subtle and intentionally mute design of the Holocaust Memorial was the outcome of the theoretical and artistic efforts to find an appropriate way of commemorating the Holocaust in a postmodern age. Designer Eisenman calls it a "silent memorial." Instead of presenting visual reference of the Holocaust, he chose to create an experience of disorientation in the repetition of the stone pillars, which stands for the sensibilities of the post-war generations in Germany regarding their past. The visitor, however, fails to connect himself to the past memory. It was acclaimed for its conceptual brilliance as well as the unprecedented abstract design, but also criticized for its "silence" to what the memorial is about. The silence of the memorial was a response to the ineffability of the Holocaust, but was read as "the total anonymity." Erased individuality and blank face of memory resulted in the failure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The memorial shows the limit of pure abstraction in memorial.

      • SCOPUSKCI등재

        한국인의 식이를 통한 보존료의 일일추정섭취량과 안전성평가

        최성희(Sunghee Choi),이지연(Jeeyeon Lee),박은영(Eunyoung Park),원준(Jun Won),홍기형(Kihyoung Hong),문귀임(Guiim Moon),김민식(Minsik Kim),홍진환(Jinhwan Hong) 한국식품과학회 200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0 No.5

        국내 사용빈도가 높은 소르빈산류, 안식향산류, 파라옥시안식 향산에스터류의 일일추정섭취량을 평가하였다. 식품별 보존료 농도와 국민건강ㆍ영양조사의 성별, 연령별 식품섭취자료와 체중을 이용하여 일일추정섭취량을 산출하였고, 이를 JECFA에서 제시한 ADI와 비교ㆍ검토하여 안전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분석된 보존료의 일일추정섭취량은 소르빈산류 495.85 ㎍/㎏ㆍbw/day, 안식향산류 215.34 ㎍/㎏ㆍbw/day,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터류 5.01 ㎍/㎏ㆍbw/day로 산출되었으며, ADI 대비 각각 2, 4.3, 0.1%로 섭취수준은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위섭취자(90th)의 일일추정 섭취량은 소르빈산류 1,012.06 ㎍/㎏ㆍbw/day, 안식향산류 229.56 ㎍/㎏ㆍbw/day,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터류 11.58 ㎍/㎏ㆍbw/day로 산출되었으며 ADI 대비 4.1, 4.6, 0.1%로 안전한 섭취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안식향산류의 경우 남자가 여자보다 많이 섭취하였으나 소르빈산류와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터류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소르빈산류, 안식향산류, 파라옥시안식향산류의 일일추정섭취량은 모든 연령에서 안전한 섭취수준으로 평가되었다. In this study, the daily intake of preservatives in the Korean population was estimated, using data from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tudies regarding the concentration of preservatives in each type of food, food intake by sex, age group, and weight. The level of safety of these preservatives was evaluated via comparisons with the acceptable daily intake (ADI) data establish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The Estimated daily intake (EDI) of sorbic acid is 495.85 ㎍/㎏ㆍbw, benzoic acid is 215.34 ㎍/㎏ㆍbw and parahydroxybenzoate is 5.01 ㎍/㎏ㆍbw per day each. Their percentages in relation to ADI are 2, 4.3, and 0.1%, respectively. The comparatively highconsuming groups were taking sorbic acid 1,012.06 ㎍/㎏ㆍbw, benzoic acid 229.56 ㎍/㎏ㆍbw, and parahydroxybenzoate 11.58 ㎍/㎏ㆍbw per day, and their intake levels as a percentage of ADI were 4.1, 4.6, 0.1%, all within safe levels. Males were found to have taken more benzoic acid than women, whereas we detected no sigh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akes of sorbic acid and parahydroxybenzoate between males and females. The EDI of sorbic acid, benzoic acid, and parahydroxybenzoate were lower than the ADI in all age groups studied.

      • KCI등재

        What is Ophelia? ― 생태비평으로서의 <오필리아>

        최성희(Sunghee Choi) 한국비평이론학회 2022 비평과이론 Vol.27 No.1

        이 논문은 클레어 매카시의 영화 <오필리아>가 어떻게 셰익스피어의 <햄릿>에 나타난 오필리아의 이미지와 위치를 급격하게 변형시키는지, 그리고 이것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리사 클라인의 동명 소설에 기반하고 있으나 몇 가지 주요 변화를 부여한 이 영화는 셰익스피어의 원작과 이후 계속적으로 재생산되어 오던 오필리아의 이미지와 의미에 대한 수많은 비평들과 메타비평들이 축적된 결과물이자 페미니즘적 관점과 생태적 관점이 결합된 것으로 보인다. 이 영화는 주요하게 셰익스피어 시대의 여성관에 대한 비판, 오필리아에 대한 관음증적인 문화적 재현과 소비의 역사, 남성화된 근대 과학, 정치중심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이 담겨있다. 그런 비판들은 생태친화적 모습과 태도를 지닌 오필리아라는 인물을 중심에 두고 그녀를 매개로 하여 전방위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진행된다. 이 글에서 나는 이 영화에서 드러나는 생태친화적 면모가 유기적으로 결합되면서 그 자체로 하나의 ‘생태비평’의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말하는 ‘생태비평’이란 에코포비아에 반대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자연에 대한 두려움이나 증오가 동식물과 여성, 그리고 다른 자연물들에 투사되어 행사되는 것에 저항하며 다른 이해와 태도를 제시하는 비판적 경향을 두루 의미한다. 이 글에서는 <오필리아>가 이런 넓은 의미의 생태비평으로서 기능하며, 숲과 식물, 동물과 여성, 지식과 권력 등 자연과 문화를 아울러 세계를 생태적 관점에서 다시보기할 것을 제안한다고 주장한다. In this essay, I will examine the transformation of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Ophelia in Hamlet through Ophelia, a film adaptation by Claire McCarthy of Lisa Klein’s novel of the same title. The context that necessitated the change in both the novel and the film is also a major topic of this stud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ransformations of Ophelia in both image and sense are due to unavoidable flow and sociocultural action in our time. The film Ophelia seems to result from the criticisms of Ophelia accumulated since Shakespeare’s Hamlet was created and to present a meta-criticism of them from a combination of feminist perspective and ecological one. This includes all of criticisms of the view of women in the Shakespearian era, the history of voyeuristic cultural consumption of Ophelia, masculinized modern science, and the political-centered world. Referring to all of these, I apply the word ‘ecocriticism’ to the film. Ecocriticism in a narrow sense opposes ecophobia, but in a broad sense, it refers to a critical approach towards and interpretation of a fear or hatred of nature projected and exercised on plants, animals, women, or other objects, involving new understanding and attitudes from the past. I will argue that the film Ophelia attempts to rewatch/rewrite both nature and culture, including forests, plants, animals, women, knowledge, and power, broadly from an ecocritical perspective.

      • 외바퀴 로봇의 자세 및 방향제어

        최성희(Sunghee Choi),황종명(Jongmyung Hwang),이호원(Howon Lee),이장명(Jangmyung Lee)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0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0 No.1

        A biped humanoid robot is issued recently. Similarly, if a unicycle robot can balancing near the equilibrium point and rotating freely, it is enough to be concentrated by a1l over the world. The most majority conventional research of unicycle robot is focusing on the roll and pitch direction control, which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ith posture balance but cannot control the rotational direction. This paper proposed a new design of a disk, yaw-direction rotational controller. By this algorithm, a proposed unicycle robot can rotate left or right under the posture balanc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has been verified through the real experiments and the results are shown.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의 연계성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일본, 핀란드, 호주, 캐나다의 유치원 및 초등학교 1-2학년 미술과 교육과정 탐구

        최성희 ( Choi Sunghee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1-2학년에 편성·운영되는 통합교과인‘즐거운 생활’의 교육과정 연계성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일본, 핀란드, 호주, 캐나다 B. C 주의 1~2학년 미술관련 교육과정을 유치원과 3~4학년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즐거운 생활’교과는 놀이와 표현활동을 중심으로 신체적, 음악적, 조형적 활동을 서로 연계시켜 구성한 통합 교과로서, 3학년 이상의 학년군의 체육, 음악, 미술 교과를 모교과로 한다. 체육, 음악, 미술교과를 모교과로 하지만, 모교과의 내용체계를 1~2학년 학습자에게 맞추어서 교수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교과로서 모교과와는 다른 통합교과의 정체성과 교과체계가 있기에, 통합교과 교육과정에서 유치원 교육과정과 3-4학년부터 시작되는 교과 교육과의 연계성 확보는 중요한 이슈이지만, 아직 본격적으로 논의 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논의의 시작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일본, 핀란드, 호주, 캐나나 B. C. 주의 유치원 및 초등학교 미술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분석 대상 국가의 교육과정에서 미술 교과를 1, 2학년에서 독립 교과로 다루고 있다는 점, 일본과 핀란드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이 분리되어 있지만 일본의 경우 목표와 내용에서 유치원 교육과정과 미술 1, 2학년 교육과정이 연계를 이루고 있으며, 핀란드의 경우 전 학교급과 교과에 적용되는 일반 역량을 중심으로 유치원과 미술 1, 2학년 교육과정이 연계되어 있다는 점, 호주와 캐나다 B. C 주는 유치원에서 10학년까지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묶여 있어 유치원과 미술과 교육과정이 자연스럽게 연계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른 시사점으로는 첫째, 교육과정의 독립성과 연계성을 고려할 때,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일관성 있는 연계가 중요하며, 둘째,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1학년으로의 전이, 초등학교 1-2학년에서 3-4학년으로의 전이 등, 학교 급 및 학년 군이 달라지는 단계에서는 전이 과정에서 학습이 내용이 체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섬세한 설계가 필요하다는 점, 셋째, 학교 생활에 적응이 필요한 1-2학년 군의 특수성에 대한 고려가 요청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e school subject of Pleasant Life is developed as integrated curriculum, targeted for 1st and 2nd grade students in Korea. It is basically related to school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Music, Art as original source. Among three original sources, this study focuses on the subject of art.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core contents of Pleasant Life is articulately connected with K curriculum as well as 3rd and 4th curriculum. This is a preliminary study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for curriculum development of Japan, Finland, Australia, and Canada.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wo findings as following. First, art subject is taught as individual subject, not integrated curriculum in four cases, even though it is taught 1st and 2nd grade students. Second, the transition stages from K to the 1st grade, and from the 2nd grade to the 3rd grade are designed fully through developmentally proper strategies and cont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art subject needs to be developed as individual subject even for 1st and 2nd grade students but special care should be considered to adjust the 1st grade students into school life.

      • 밸러스트 탱크를 이용한 수중운동체의 저전력 자세제어에 관한 연구

        최성희(Sunghee Choi),유한동(handong Yoo),이장명(Jangmyung Lee)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3 제어로봇시스템학회 각 지부별 자료집 Vol.2013 No.8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on attitude control of an underwater vehicle by using five ABTs (Attitude Ballast Tank). A pipe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ABTs and transfers water by a pump, while another pipe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ABT transfer air. The buoyancy center of the underwater vehicle can be changed by means of the water transfer. The changes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buoyancy central are estimated by a Lagrangian function which is similar to that for an inverted pendulum. The controller in this paper is designed by modeling of the underwater robot and selecting suitable gains of PD controller which has fast response characteristics. This paper shows the possibility of the attitude control of an underwater vehicle by changing the center gravity and the buoyancy center of the vehicle using very low power consumption.

      • KCI등재

        다양성영화의 수요 및 흥행의 특징: 디지털 온라인 상영시장을 중심으로

        최성희(Choi, Sungh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21 문화산업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점차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디지털 온라인 상영시장에서 다양성영화의 수요와 흥행이 가지는 특징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4년~2019년 기간 동안 온라인 상영 플랫폼 중 IPTV 및 디지털케이블TV가 제공하는 다양성영화 TV VOD 이용건수 자료를 사용한 통계 분석 및 Probit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다양성영화의 수요와 공급이 꾸준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전체 영화 대비 다양성영화의 관객 점유율의 경우 극장에 비해 TV VOD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흥행 상위 5% 영화의 흥행 점유율이 50~60% 수준으로 낮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전체 다양성영화의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적 기준으로 한국 다양성영화의 경우, TV VOD 연간 흥행 영화 중 한국영화 편수와 연간 한국영화 총 이용건수 하락 추세가 두드러진다. 넷째, 개별 다양성영화의 극장과 TV VOD 흥행 간에 정(+)의 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성영화의 극장 대비 TV VOD의 상대적 흥행을 분석한 Probit 모형 추정 결과, 극장 대비 TV VOD 흥행성과가 좋은 다양성영화의 경우 관람객의 평점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르의 경우 ‘액션’ 장르의 다양성영화일수록 TV VOD 흥행이 더 좋으며, 등급의 경우 ‘전체관람가’일수록 TV VOD 흥행이 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점차 시장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온라인 상영시장에 초점을 두고 다양성영화 수요 및 흥행의 특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amines the features of demand and success of diversity movies for the digital online movie market, which is gradually expanding. From the empirical analysis including Probit analysis on the TV VOD diversity movie viewing data in IPTV and digital cable TV for the period 2014~2019, the following results are induced. First, the demand and supply of diversity movies has been steadily growing. Second, the audience(viewing) share of diversity movies of the total movies is higher for TV VOD than that of cinemas. The audience(viewing) share of the upper 5 percent popular diversity movies is 50~60 percent for TV VOD, which is rather higher than expected. Third, in terms of nationality, local diversity movies are experiencing a decline in demand both in number of successful movies and total viewing. Fourth, in the success of individual diversity movies, there exists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success in cinemas and TV VOD. Lastly, the Probit analysis shows that diversity movies that are more successful in TV VOD compared to cinemas have relatively low ratings and review by audience. In addition, ‘action’ movies show higher performance and ‘All-rating(general audience)’ movies show lower performance in TV VOD. This paper might contribute to relative studies in that it shows the features of demand and success of diversity movies empirically focusing on the digital online movie market, of which the importance and share is growing in the movie market.

      • KCI등재

        관람자 조사를 통한 전시평가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미술 속 도시, 도시 속 미술>을 중심으로

        최성희(Sunghee CHOI)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80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미술 속 도시, 도시 속 미술>을 대상으로 진행한 관람자 조사를 통하여 전시평가의 방법과 의미를 탐구하는 연구이다. 지금까지 대개 전시평가는 전문가 비평의 방법을 제외하고는, 설문지를 사용한 출구 조사의 형태로 관람자 전시 만족도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구체적인 관람자의 생각을 알기 어렵 고, 대략적인 관람자의 만족도만을 파악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론을 통해, 연구 참여자인 관람자의 경험을 드러내는 관람자 조사 방법을 시도해봄으로써, 전시평가의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시평가의 결과를 분석하고, 그 의의를 탐구한 결과 1)관람자의 반응으로 전시를 평가한다는 것의 의미 2)전시평가를 통해 박물관 관계자들이 ‘실존하는 관람자’와 만난다는 것의 의미, 3)‘관람자 내러티브’로 살펴볼 수 있는 관람자 경험의 속성을 논하였고, 이를 바탕 으로 상호주관적이며, 성찰적인 전시평가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eriment the method of ‘exhibition evaluation’ incorporat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hich would magnify visitors’ voices. For this, I collected visitors’ responses to special exhibition <The City in Art, Art in the City> hel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2016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behaviors mapping. So far, the exhibition evaluation has been reported to be mainly conduced in the form of an exit interview, using a questionnaire requiring rating scale from 1 to 5 or a structured interview requiring simple answers, which could show the tendency how visitors were satisfied but could not show how visitors thought and felt specifically toward an exhibi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substance of visitors experience when they visit the museum and the exhibition, thereby suggesting the alternative method of exhibition evaluation through which visitors’ voices resonated into the museum. As a result,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 of three findings as such: 1) the possibility of intersubjective, reflective and collaborative method of exhibition evaluation 2) the encounter of museum professionals with substantial visitors voices and 3) the implication of visitors’ narratives toward museum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