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NDI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방송 시스템

        최상길(Sang-gil Choi),황성우(Seong-woo Hwang),전호진(Ho-jin Jeon),김우혁(Woo-hyeok Kim),정도현(Do-hyeon Jeong),이다연(Da-yeon Lee),이상운(Sang-un Lee)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방송장비가 네트워크 기술을 만나 진화하고 있다. 네트워크 케이블로 초고해상도 영상과 다채널 음향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다수의 방송장비 제어를 가능케 하는 NDI(Network Device Interface)의 등장으로 방송장비와 네트워크 기술이 융합되고 있다. 최근 국내외 여러 기업이 네트워크 기반의 방송 솔루션을 출시하고 있어, 관련 산업계는 향후 방송장비 시장이 네트워크 기반으로 개편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NDI는 뉴텍(NewTek)에서 개발한 IP 전송 프로토콜의 일종으로 무(無)손실, 압축, 제로(Zero) 딜레이, 멀티캐스트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기존 비디오 전송 프로토콜이었던 SDI(Serial Device Interface)와는 다르게 네트워크에서 방송장비를 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프로토콜이다. 본 논문에서는 NDI를 기반으로 앞으로 다가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할 효율적인 방송 환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採油方法이 참기름의 分劃別脂質 및 脂肪酸 組成에 미치는 影響

        최상도(Sang-Do Choi),양민석(Min-Suk Yang),조무제(Moo-Je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3 No.3

        1) 分劃別 脂質中 triglyceride가 73.4~77.2%로 가장 높았고 採油方法別로는 RWE의 triglyceride가 RTP와 RTE보다 높았다.<br/> 2) glycolipid(GL)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 tryglyceride(TG)의 linoleic acid, free fatty acid(FFA)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 phospholipid(PL)의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는 RTP와 RTE가 RWE보다 높았으나 TG의 oleic acid, FFA의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PL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그 反對로 RTP와 RTP가 RWE보다 낮았다.<br/> 3) glycolipid 및 phospholipid의 C_(18)/C_(16) 脂肪酸比와 不飽和度比는 RTP와 RTE가 RWE보다 높았으나 tr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의 그것은 反對로 RTP와 RTE가 RWE 보다 낮다.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oil extraction methods on the charateristics of sesame oil, the fractionation pattern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each fraction of the oil were compared in the oil extracted by the three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that is, pressure extraction of roasted seed (RTP), acetone extraction of roasted seed (RTE) and acetone extraction of raw seed (RWE). The amount of triglyceride in RWE oil was slightly higher as 77.2% of the total lipid than that in RTP and RTE oil of 73.4%.<br/> The content of oleic and linoleic acid in glycolipld and fatty acid fractions, linoleic acid in triglyceride, and palmitic and stearic acid in phospholipid fractions from RTP and RTE oil were higher than those from RWE oil, but the oleic acid in triglyceride. Palmitic and stearic acid in free fatty acid, and oleic and linoleic acid in phospholipid from RTP and RTE oil were lower than those from RWE oil.<br/> The ratio of C_(18) to C_(16) fatty acids and unsaturated to saturated fatty acids in glycolipid and phospholipid fractions from RTP and RTE oil were higher than those from RWE oil, but the ratios in triglyceride and free fatty acid fractions from RTP and RTE oil were lower than those from RWE oil.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SCIEKCI등재

        저장중 참깨의 당지질 및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변화

        최상도(Sang Do Choi),양민석(Min Suk Yang),조무제(Moo Je Cho)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84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27 No.3

        The change in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glycolipid and phospholipid of sesame seed was analyzed during the storage for 4, 9, and 15 months at fou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that is, storage under light with linen bag(LA), storage under light with polyethylene bag(LS), storage in dark with linen bag(DA), and storage in dark with polyethylene bag(D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glycolipid, palmitic and stearic acid decreased during the storage but the linoleic acid increased significantly, particularly, between 4 to 9 months of storage. The content of palmitic and stearic acid in phospholipid decreased until 9 months, then increased until 15 months of storage, but reverse tendency was, observed in the content of oleic and linoleic acid. The ratio of unsaturated to saturated fatty acids in glycolipid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of 15 months in all the storage conditions. The ratio of unsaturated to saturated fatty acids of phospholipid in DA and LA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in DS and LS conditions during the storage for 15 months.

      • KCI등재

        5·18민주화운동과 한국교회: 광주지역 교회의 활동, 연구동향, 향후 연구과제를 중심으로

        최상도(Choi Sang-D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20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0 No.53

        이 글은 (1)1980년 5월 18-27일 10일간의 5·18민주화운동기간 동안 광주지역 개신교회의 주요 활동에 대한 개신교의 자료수집과 연구동향을 살피고 (2)새롭게 수집되고 발견된 자료를 통해 교회의 활동을 실증한 후, (3)마지막으로 향후 개신교의 5․18민주화운동에 관한 연구과제와 방향을 제시한다. 개신교회의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자료와 연구는 40년이 지났지만 거의 공백에 가깝다 하지만 실제로 광주지역 교회는 5·18민주화운동 기간 동안 공적 예배를 통해 계엄군의 폭력을 비판하고, 성서에 기초하여 민주시민으로써의 교인들의 행동을 요청했고 항쟁하는 학생 시민들의 피신처로, 시민학생 조직의 활동의 공간으로도 일부 제공되었다. 특히 조직적으로 교파를 초월하여 수습과 구호 조직을 결성하여 광주 시민들을 적극 도왔다. 또한 교회의 전국 조직 및 연합기관들을 통해 에큐메니컬 관계를 통해 군부에 의해 고립된 광주의 실상을 전국에 그리고 해외에 알렸다. 이같이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교회의 실제 활동과 기록 간에 불균형이 드러났다. 그러기에 일차로 한국교회는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자료의 축적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기록을 남길 수 없었던 당시의 상황을 고려하여 구술사연구를 통한 증언 채록을 시급하게 진행해야 한다. 이를 통하여 한국교회는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기독교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향후 연구에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 This study (1)investigates the Korean Protestant Church’s trends of data collection and researches on the main activities of Protestant churches in Gwangju during the ten days of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18-27 May 1980, (2)demonstrates activities of the Church through newly collected and discovered materials, and lastly (3)presents research tasks and directions on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for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The data collection and research works from the Protestant Church in Korea on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have been around for 40 years, but are close to a vacuum. In fact, however, during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churches in Gwangju criticized the violence of martial law forces through public Sunday services and called an action of the church members as democratic citizens based on the Bible, and were partly provided as a shelter for the protesting students and citizens, and as a space for civic student organizations’ activities. In particular, churches actively helped the citizens of Gwangju by forming an pan-denominational coordinating and relief committee. Through the church’s nationwide institutional system, allied Christian bodies, and the ecumenical relationship with churches in the world, the reality of Gwangju isolated by the military was also known throughout the country and abroad. As such, the imbalance between the church’s real activities in May 1980 and the Church’s records and researches on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has been revealed. Therefore, the first priority of Protestant Church in Korea is to collect and accumulate data on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also it is urgent to collect testimony of christians deeply involved in the Movement through oral history methodology,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which it was not possible to save the written records about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at that time. Through this, the Protestant Church in Korea should establish a Christian Archive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to lay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순교담론의 패러다임

        최상도(Choi Sang-D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4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0

        누군가를 순교자로 지칭하는 행위는 특정한 죽음에 대한 호명(呼名, naming) 혹은 표지(標識, labelling)이다. 죽은 자는 말이 없기 때문에 ‘순교자’ 칭호는 필연적으로 사후(事後)에 산 자에 의해 주어진다. 따라서 순교자 추서(追敍, making)는 호명자의 현재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죽음 가운데서 특정한 죽음을 선택하는 행위이며, 나아가 그 죽음을 합법화하고 기념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행위이다. 특정 죽음에 대한 이런 호명과 표지의 행위는 죽음의 선택 그리고 해석과 관련된 힘을 수반한다. 정확히 말해서, 특정 죽음을 합법적 순교로 호명하는 사회적 행위로서의 순교는 산 자의 특정 공동체가 그들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의도된 목적을 가지고 만든 담론의 일부분이다. 순교자 추서의 이와 같은 담론적 특성을 염두에 두고, 본 연구는 죽음사건, 기억, 해석, 힘 등 ‘추서’의 구조(mechanism)와 관련된 주제들을 면밀히 검토한다. 순교자 추서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이 주제들의 상호작용을 본 소고에서는 ‘순교자 추서의 패러다임’으로 제시한다. 순교자 추서의 패러다임은 세 요소(죽음사건, 기억, 해석)로 구성된 두 행위의 결합을 나타낸다. 이 두 행위는 담론의 분석을 위해서는 구분되어야 하지만, 실제로 추서의 과정에서는 불가분의 관계이며 상호의존적이다. 첫 번째 행위는 개인의 신앙 고백 혹은 선포로 인한 죽음의 선택의 행위이며, 두 번째 행위는 그 죽음을 순교로 지정하는 사회적 행위이다. 전자를 개인의 과거 신앙고백 행위로 인한 죽음사건으로 본다면, 후자는 현재 공동체의 정황에 따른 사회-정치적 죽음해석의 행위가 된다. 첫 번째 행위(죽음사건)는 특정 이데올로기적 입장의 반영과 강화로 형성되고 과거 죽음사건의 기본적 이미지를 담고 있는 기억에 의해 두 번째 행위(죽음에 대한 해석)로 전이 된다. 또한 순교자 추서의 구조에서 각각의 행위는 죽음사건 자체와 그 사건의 선택, 그에 대한 기억의 수집, 그리고 순교자 추서, 재(再)추서, 반(反)추서의 해석학적 행위와 관련된 본질적 힘의 대결을 수반한다. 순교자가 기념하는 해석 행위에 의해 최종적 지칭이 이루어진다 할지라도 우리는 이 패러다임에서 순교자 추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두 가지 이론을 제시한다. 하나는 역사적 사건으로서, 이론적으로 그것은 과거의 사건으로부터 시작되나 실제적으로는 내러티브에 더 가깝다고 보는 입장이다. 다른 하나는 순교자 추서과정은 추서자의 이데올로기적 의도나 목적으로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그 순서가 해석-사건의 역순으로 진행된다는 입장이다. 본 소고에서 순교자 추서의 패러다임에 나타나는 이 두 이론을 상보적 관계로 볼 때 우리는 순교자 추서 과정의 첫 단계로서 죽음사건의 실체를 재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비록 죽음사건의 실체를 완벽하게 재현할 수 없다 할지라도 순교구조의 핵심에 위치하는 사건의 실체에 대한 조사와 재구성을 통해, 순교담론이 담론에 불가피하게 작동하고 있는 지배적 힘에 의해 오용 혹은 남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본다. 실제로 순교자 추서에 수반되는 두 행위 중 개인의 죽음사건이 없이는 거짓 순교가 될 뿐이고, 동시에 한 사회가 특정 죽음을 의미 있게 기억하는 의도된 해석의 사회적 행위가 없이는 순교자가 추서될 수 없다는 사실은 명백하다. To call someone a martyr is an act of ‘naming’ or ‘labelling’ a death. As the dead no longer speak, the title of martyr for the dead must be given posthumously by the living. To designate a death as martyrdom therefore entails selecting a specific death among various types of death and then attributing that meaning to the death through legitimating and commemorating the death in accordance with the namers’ present purpose. This act of naming or labelling a death inevitably involves power, that of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Precisely, martyrdom as a social act of calling a specific death as a legitimated martyrdom is part of making the discourse by the living groups’ predetermined purpose to construct and sustain their ruling ideologies through accepted means. Having set out the discursive figures of martyr-making, this paper has closely examined the ‘making’ mechanism of martyrdom focusing on the relevant issues: death-event, memory, interpretation, and power. The interaction of these issues in the process of making martyrs has been termed as a ‘Paradigm of Martyr-Making’ in this paper. The paradigm of martyr-making requires two basic acts made of three elements (death-event, memory, and interpretation) which are inseparable and interdependent in practice but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for analysis. One is a person’s act of confessing or proclaiming faith by choosing death rather than evading it. The other is the social act of designating the death as martyrdom. While the former act can be conceived as a death-event caused by an individual’s belief-profession behaviour in the past, the latter can be regarded as a socio-political act of interpreting the death in the present community’s context. The first act (Death-event) transits to the second act (Interpretation of the death) through memory in which the basic image of a past death-event is established by articulating and reinforcing a particular ideological stance. In the mechanism of martyr-making, each act inherently involves power contests over the death-event, the selection of that event and not others, the collection of relevant memories, and the hermeneutical activity of making, remaking or unmaking martyrs. Though a martyr is designated finally by the commemorative interpretational act, we have evoked two theories in the paradigm to comprehend martyr-making. Theoretically with a historical event, one starts from the past event but in practice it is more a narrative, while the other begins from the ideological intentions or aims of the makers and works backwards. The former claims the final interpretation should be come from the past event itself, however, the latter argues that the past event is only shaped or reshaped by intended interpretations in the particular context. This paper has argued that when we place two theories of the martyr-making process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 we can draw a picture of the reality of death-event as the primary step of the martyr-making process, which takes the central position in the structure of martyrdom, though we never gain its perfect figure. By doing so, we may prevent the discourse of martyrdom from being abused or misused by the dominant power inevitably involved in the discourse. There may have been a pseudo-martyrdom without the individual’s death-event, yet at the same time it is impossible to be a martyr without the intended interpretation of the death by a society remembering the death meaningful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