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척전(崔陟傳)」 의 탈국가적(脫國家的) 면모와 그 의미

        최빛나라(Choi, Bitnara)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7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6 No.2

        본고에서는 「최척전(崔陟傳)」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행적을 통해 작품이 지닌 ‘탈국가적(脫國家的)’ 면모를 살피고, 그 의미를 도출해보고자 했다. 작자 조위한은 전쟁으로 얽혀 있던 16-17세기를 배경으로, 신변의 안위를 획득하고 이산한 가족을 봉합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인물들을 형상화했다. 이로써 탄생한 「최척전」은 당대 조선인이 체험한 전란의 현실과, 그 속에서 파생된 탈국가적 면모를 여실히 드러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최척과 옥영, 그리고 이들이 이방인으로 떠돌며 만난 동아시아 곳곳의 인물들은, 결코 전쟁이라는 국가 위기 앞에 목숨을 내걸고 투쟁하는 영웅호걸이 아니다. 오히려 자신의 목숨을 보존하고 가정을 존속하기 위해서라면, ‘조선인’이라는 국가정체성(國民正體性)을 버리는 데에 주저함이 없는 소인물(小人物)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인물들의 탈국가적 면모는 ‘국가 위기에 대한 무관심’, ‘생존 방편으로서의 국적 변경’, ‘다문화가정의 성립’ 등, 여러 방식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최척전」의 동아시아 연대 역시, 국가의 안위보다 개인과 가정의 생존을 우선하는 이들 소인물들이 그 주축을 담당한다. 「최척전」은 ‘전쟁’이라는 혼란기에 생성되고 자각되는 새로운 가치질서의 일면을 내보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최척전」의 탈국가적 면모는 당대인이 전란 시기를 살아낸 한 방식이자 현실의 삶, 그 자체였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onfirm the postnational aspect of the characters appearing in "Choicheokjeon". Author Cho Wihan created the novel in the background of the 16th and 17th century wars. So the characters in the novel struggle to survive and meet with their families. But the struggle is not for the sake of the nation, but for individuals and their families. This proves that "Choicheokjeon" is a novel with a postnational characteristic. "Choicheokjeon" is a novel that shows new values created during the chaotic era of war. That is, the postnational aspect of "Choicheokjeon" is a way of life, a way of surviving, and the actual appearance of life.

      • KCI등재

        전형적 인물의 비전형적 목소리 -<홍련(紅蓮)>과 < 티 머우(Thị Mầu, 氏牟) >를 중심으로-

        최빛나라 ( Choi Bitnara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人文科學硏究 Vol.49 No.-

        이 연구는 한국과 베트남의 대중가요 두 곡, <홍련>과 <티 머우>를 중심으로 고전문학의 등장인물이 현대에 와서 새롭게 해석되는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전형성을 띠고 있다고 인식되어 온 고전 속 인물들이 시대와 매체의 변화 속에서 ‘새 목소리’를 부여받은 양상을 확인하고 그 의미를 궁구해보고자 한 것이다. 이는 현대 문화콘텐츠가 고전을 활용하는 한 방식을 탐구함으로써 고전이 지닌 충만한 생명력을 되새기는 작업이다. 2023년에 발매된 <홍련(紅蓮)>과 < 티 머우(Thị Mầu, 氏牟) >는 「장화홍련전(薔花紅蓮傳)」과 「꽌 엄 티 낑(Quan Âm Thị Kính, 觀音氏敬)」속 선악의 전형으로 대표되는 인물을 화자로 삼아 그들이 새로운 목소리로 현대의 향유자들에게 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악인의 모함으로 억울하게 죽은 선인은 처절하지만 기대가 가득한 목소리로 ‘복수’를 외칠 수 있게 되었고, 선인을 유혹하여 결국 죽음에 이르게 만든 악인은 ‘자기 욕망’을 발랄한 목소리로 긍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듯 현대 가요 <홍련>과 <티 머우>는 선악의 스테레오 타입에서 벗어난 화자의 목소리를 통하여 고전 인물의 전형성을 전복시킨다. 나아가 그 새로운 목소리를 ‘-들’의 소리로 확장시킴으로써 현대향유자들이 홍련‘들’과 티 머우‘들’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전형적 인물의 비전형적 목소리가 새로운 시대, 새로운 요구에 부응하는 신성(新聲)으로 표출되었기에 가능한 결과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wo Korean and Vietnamese popular songs, Hongryeon and Thi Mau,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characters from classical literature are newly interpreted in modern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ways in which characters in classical literature, which have been perceived as typical, have been given a 'new voice' through changes in time and media, and to explore their meaning. This is a work that reminds us of the full vitality of the classics by examining the ways in which contemporary cultural contents utilize them. Released in 2023, Hongryeon and Thi Mau use characters representing the epitome of good and evil in Quan Am Thi Kinh Ting and Janghwa Hongryeon-jeon as narrators, allowing them to meet modern audiences with new voices. As a result, the good man who was unjustly killed by the evil man can now shout 'revenge' in a voice full of despair and expectation. In addition, the wicked man who seduced the good man and eventually led him to his death can actively affirm his desire with a lively voice. In the modern era, the newly created Hongryeon and Thi Mau break away from the stereotype of good and evil and subvert that archetype through the narrator's voice. Furthermore, the new voice extends to the '-s', allowing modern audiences to recognize the Hongryeon and Thi Mau in a new way. This can be seen as a proliferation of non-stereotypical voices in response to new times and new needs.

      • KCI등재

        베트남 조왕(竈王) 신앙의 특징 연구

        최빛나라 ( Bitnara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고는 조왕 설화와 조왕 의례를 통해 베트남 조왕 신앙이 어떠한 특징을 지니는지 파악했다. 조왕을 신앙하는 여러 방식을 확인해 베트남 문화의 한 측면 살피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첫째, 베트남 조왕 신앙은 설화와 의례의 조응이 긴밀하다. 둘째, 베트남 조왕 신격은 여신을 중심으로 일처이부의 삼조왕으로 구성된다. 셋째, 베트남 조왕 신앙은 무속과 분리되어 가정 신앙으로서의 성격이 확고하다. 넷째, 베트남 조왕 신앙은 부엌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로 영역이 확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잉어 방생이나 예능극의 방영은 의례나 콘텐츠를 넘어 세시풍속의 일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국, 중국과 구분되는 이러한 특징은 그 설화와 의례가 베트남 현지의 독특한 사회적 맥락에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장차 동아시아 조왕 신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조망하는 데에 기여하는 바가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faith in Vietnamese kitchen gods through myth and rituals. It was intended to identify an aspect of Vietnamese culture by identifying various ways of worshiping the kitchen gods. As a result, the faith in kitchen gods has a close coordination between related tales and rituals. Second, the kitchen gods consist of three gods and forms a polyandrous relationship centered on the female god. Third, the faith in the kitchen gods is separated from shamanism and has a strong character as a household worship. Fourth, the faith of the kitchen gods extends beyond the realm of kitchen. As a result, the act of releasing carp or the airing of TV entertainment programs has become a part of seasonal customs beyond ceremonies and contents. This characteristic of the faith of kitchen gods of Vietnam shows that the tales and rituals were formed in the unique social context of local society. I hope that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analysis of the East Asian kitchen god.

      • KCI등재

        『이십사효연음(二十四孝演音, Nhị thập tứ hiếu Diễn âm)』의 이십사효(二十四孝) 개작 양상과 특징

        최빛나라(Choi, Bitnara)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3 No.-

        본고에서는 ‘이십사효(二十四孝)’ 고사(故事)가 베트남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개작되었는지를 『이십사효연음』(二十四孝演音, Nhị thập tứ hiếu Diễn âm)』의 내용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중국 이십사효와 달리 베트남 『이십사효 연음』에서는 ‘아버지’의 비중이 내용 전반에서 확대되었다. 또한 화자의 감정이입을 통하여 효성 인물에 대한 찬사와 위로를 적극적으로 표현하였으며 효행의 장면과 그 주체의 감정 묘사를 생생하게 하였다. 이는 중국 원본 『이십사효』에서 다소 소홀하게 다루어진 ‘아버지’ 역시 인륜(人倫)의 질서를 지켜나가는 데에 중요한 축임을 강조하는 한편 고인(古人)의 심정에 공감하고 그 일화를 선명하게 전달하여 독자의 감흥을 불러일으키고자 한 것이다. 중국의 이십사효 고사가 공간과 시간을 초월하여 베트남 당대의 모범으로 효과를 발휘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how China"s Twenty-four Stories of Filial Piety, which was created in China and passed down throughout East Asia, was adapted in Vietnam through the content of the work. Unlike China’s Twenty-four Stories of Filial Piety, Vietnam’s Nhi Thap Tu Hieu Dien Am expanded the proportion of fathers in the overall content and expressed their praise and consolation for the characters in the works through the empathy of poetic speakers. In addition, the characters’ emotions and anecdotes are depicted more vividly. This shows that the “Father,” who was somewhat neglected in China’s original works, is also an important pillar in maintaining the order of morality. It also allowed Vietnamese people to empathize with the feelings of people of the old times. Based on this, the study was intended to show that stories related to filial piety were not insufficient to set an example of the “Present.”

      • KCI등재

        베트남 남부(南部) 여신의 이질성과 혼재성 ― 바 응우 하잉(Bà Ngũ Hành, 婆五行)의 존재 양상을 중심으로 ―

        최빛나라 ( Choi Bitnara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3 동양문화연구 Vol.38 No.-

        본 연구는 바 응우 하잉(Bà Ngũ Hành, 婆五行)을 중심으로 베트남 남부 지역의 신앙 문화에 나타나는 특이성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베트남은 비엣족과 북부 지역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다채로운 역사와 문화를 지닌 장소이다. ‘비엣족·주류·일반’의 북부와 달리 남부는 ‘非비엣족·非주류·특수’의 문화가 혼합하여 다양성이 보다 두드러지게 된 지역이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주목한 ‘바 응우 하잉’이 그러한 성격을 띠고 있다. 바 응우 하잉은 베트남 남부 지역의 특수한 역사와 민족 정체성을 보여주는 신격이자 문화 산물이다. 바 응우 하잉 안에는 중국·베트남·크메르·참파의 여러 신격과 그 내력담이 각각으로 존재하면서도 혼합되어 있다. 이질적 존재들이 ‘응우 하잉’이라는 이름의 ‘변종’이 되어 ‘비엣화’, ‘일반화’, ‘보편화’에서 벗어난 것이다. 베트남 남부의 여러 신앙이 융합한 양상은 일반(一般) 즉 전체에 두루 미치는, 마찬가지의 상태가 아니라 온갖 것을 전부 합한 만반(萬般)의 방식으로 이룬 생존과 성취이다. 이는 非비엣적으로 ‘비엣화’하는 방식을 취한 남부 지역의 독특한 문화현상이자 북거남진(北據南進)의 역사를 지닌 베트남의 문화적 특이성이라 할 수 있다. 非비엣족은 장소를 잃음으로써 또한 새롭게 설 자리를 성취하였다. 이는 문화의 훼손이나 망실이라고 폄하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베트남의 문화를 다채롭게 하는 남부 베트남 특유의 가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非비엣, 非북부를 통해 베트남을 바라본 이번 연구는 장차 동아시아 문화 속 ‘소수’를 새로운 방식으로 조명하는 데에도 기여할 바가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specificity of religious culture in the southern region of Vietnam, focusing on Ba Ngu Hanh(婆五行). Vietnam is a place with a colorful history and culture that cannot be explained solely by the Vietnamese people and the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because unlike the Vietnamese people, mainstream, and general north, the south is a region where diversity is more pronounced due to the mix of non-Vietnamese people, non-mainstream, and special cultures. This is the case with Ba Ngu Hanh, which is the focus of this article. In Ba Ngu Hanh, several Chinese, Vietnamese, Khmer, and Champa deities and their histories are present and intermingled. These heterogeneous beings have become variants of the name Ngu Hanh and have escaped Vietification, Generalization, and Universalization. This can be said to be a survival and achievement achieved in a way that combines all kinds of things. This study, which looks at Vietnam through the non-Vietnamese people, non-mainstream,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shedding new light on 'Atopos' in East Asian culture.

      • KCI등재

        ‘상천성모(上天聖母, Thuong Thien Thanh Mau)’의 신격 공고화 양상과 의미 -< 유행공주(柳杏公主, Lieu Hanh Cong Chua) >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최빛나라 ( Choi Bitnara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6 No.-

        본고에서는 베트남 무가를 통해 ‘상천성모(上天聖母, Thuong Thien Thanh Mau)’가 ‘유행공주(柳杏公主, Lieu Hanh Cong Chua)’와 동일한 신격으로 합일되는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통해 사회적 맥락의 변화에 따라 베트남인이 성모 신앙을 견고화하는 방식을 확인하였다. 애초 상천성모는 삼부의 다른 영역을 관장하는 임궁성모(林宮聖母, Lam Cung Thanh Mau)ㆍ수궁성모(水宮聖母, Thuy Cung Thanh Mau)와 달리 신으로 좌정하기까지의 내력담이 부재하였다. 이러한 사정에 더하여 인신(人神)으로서 풍부한 내력담을 지닌 쩐 흥 다오(Tran Hung Đao, 陳興道) 장군이 아버지신으로서의 지위를 점하였으므로, 상천성모는 이에 대응할 필요가 있었다. 임궁성모와 수궁성모의 내력을 뛰어넘으면서도 인신의 내력에 비교해도 손색없는 서사가 요구되었던 것이다. 이에 상천성모는 도안 티 디엠(Đoan Thi Điem, 段氏點)의 <운갈신녀전(雲葛神女傳)>에 형상화된 ‘유행공주’의 다종다양한 내력담을 적극 수용하기에 이르렀다. 그 결과 천상과 인간을 넘나들며 딸에서 아내ㆍ어머니로, 나아가 신에 자리에 까지 오르는 유행공주는 상천성모로 그 자체로 전화하여 신격을 공고화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In this paper, we looked at the aspect of the greatest mother god and princess Lieu Hanh being united by the same god through Vietnamese shaman song. It also confirmed the way in which the Vietnamese reinforce the deity of the greatest mother go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social context. Originally, the greatest mother god had lacked a history to justify her status. Mother God had to surpass the other two goddesses and had to respond to the Father God. So she was equipped with a rich narrative that complemented her fortress. At this time, the chosen narrative was the story of princess Lieu Hanh. Mother God was able to consolidate her divinity by accepting the story of the princess Lieu Hanh as her own story.

      • KCI등재

        『또 떰(To Tam, 소심(素心))』의 연애와 작자 의식

        최빛나라 ( Choi Bitnara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18 東南亞硏究 Vol.28 No.2

        This article sought to identify the romance and the writer’s consciousness in Vietnam's first modern novel, To Tam. The creative background of To Tam is a special period called the colonial period and the early modern era. For this reason, the romance shown in the novel was also greatly influenced by the period. Hoang Ngoc Phach said in several articles and novels, “Traditional values are important, but the bad points need to be fixed.” In particular, the author greatly criticized the traditional culture of suppressing young people and women in the new era. Therefore, the novel contains characters who give up romance and suffer because of their traditional values. The author reveals Vietnam's contemporary problems through romance in The To Tam. To Tam is a novel that reflects the writer's worries and confusion of a new era.

      • KCI등재

        음악교수법연구 : 효율적 암보에 있어서의 음악맵핑을 통한지도방법과 실제 지도 평가

        최빛나 ( Vitna Choi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3 음악교수법연구 Vol.11 No.-

        본 연구에서는 음악적 지식 및 이해를 바탕으로 음악적 구조와 음악적 패턴을 인지하고 도법화하여 청각적 이미지를 시각적 이미지로 인지하는 암보방법인 ‘음악 매핑’을 통해 효과적인 피아노 암보 학습 및 지도 방법 개발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음악매핑 학습의 적용에 적합한 악곡 선정 방법으로는 제인 머그라 (Jane Magrath, 1995)저자의 “The Pianist’s Guide to Standard Teaching and Performance Literature”을 참고하여 다양한 시대별 스타일과 형식 그리고 악곡의 난이도를 고려해 총 4개의 악곡을 선정하였다. 한편, 음악맵핑도법 개발을 위해 바디맵핑(“Mapping Music”, Schockley, 2002)을 참고하여 위의 선정된 4개의 악곡으로 학생 암보지도를 위한 교재 자료를 개발 하였다. 위 개발된 음악맵핑 자료의 타당성을 검증 받기위하여 전문가 3인에게 암보지도를 위한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와 같은조언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실제 지도하여 평가하였으며 이에 적용된 가이드 라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매핑 학습 정보의 기준점’으로 ‘도법 예시 기준표’를 제시한다. 둘째, ‘교사의 매핑 지도 방법의 기준점’으로는 실시한 음악매핑 초안을 ‘한 장의 도면에’ 1단계 맵핑과 2단계 매핑으로 나누어 학습차시 총 4차시 동안 각 차시별로 음악적 이해를 추가해 덧그려 나아가는 방법으로, 마지막 4차시 암보를 제시할 때, 최종 음악맵핑 개발 방법이 완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음악맵핑 학습을 통해 음악적 패턴화 인지능력이 향상되었고, 전반적인 음악적 이해 및 초견 능력 발달에 도움을 주어 곡을 바라보는 시야가넓어졌다. 따라서 이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학생의 음악적 수준 및 성향을 고려하여 암보에 대한 다양한 지도방법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effective piano teaching and memorizing methods through “Mapping Music,” which involves a diagramming of the structure and patterns of music and conversion of the audio image into a visual one. Four pieces of instrumental music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o select appropriate musical examples for learning through Mapping Music, music of various styles by the time periods, structures, and level of difficulty were considered, using “The Pianist’s Guide to Standard Teaching and Performance Literature” by Jany Magrath (1995) as a reference. To develop the text for teaching students to play from memory, training texts of the four music pieces were developed with reference to “Mapping Music” by Rebbeca Pyne Schockly (2002.) In order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text,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experts. The guidelines defined and applied in this study, after the interviews, are as follows. First, a “Table of Graphic Examples” should be offered as a “Benchmark for Students Learning Mapping Music.” This is a simple graphical table that, using the structure and pattern of the music, helps students memorize music by converting audio images into visual ones. Second, a “Benchmark for Teachers Teaching Mapping Music” is the method of including additional musical information gained in four classes in the initial draft of Mapping Music, after each of the four lessons. After the four lessons, playing from memory is attempted, and the mapping is complete.In conclusion, Mapping Music has enhanced students’ general understanding of music and has widened their musical perspectives by cultivating their sight playing capabilities. Specifically, first,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pattern of music improved because, by fully appreciating the phrases, their playing became more melodic. Second, the diagrams that represented the notes in differing lengths and thickness helped improve their rhythmic sense. The students also began to play articulately. Third, because they could see the “shape” of chord progression, the students did not have to memorize each chord and were thus able to play without the fear of forgetting the chords. Fourth, they were able to express the music more dynamically because they could focus on the appropriate theme and gentle tone that matched the background in which they played. The author sincerely hopes that further teaching methods on playing from memory that take each student’s musical level and disposition into consideration will be developed.

      • KCI등재
      • KCI등재

        변수 개념 학습을 위한 의사소통학적 접근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상호(Choi, Sang-Ho),이주희(Lee, Ju-Hui),정혜경(Jung, Hye-Kyung),최빛나(Choi, Bit-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변수 개념 학습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류를 진단하고 해결하는데 아이디어를 주기 위해, 담론에서 단어의 사용과 시각적 매개체를 바탕으로 소통 하는 과정에 초점을 두는 의사소통학적 접근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변수 개념을 표현하는 단어와 시각적 매개체를 중심으로 검사 지를 개발하여 초등학생 4명과 중학생 2명에게 인터뷰를 하고 변수와 미지수에 대한 단어 사용 과정의 특징, 시각적 매개체에 따른 루틴의 특징과 루틴 형성 과정을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은 변수 개념에 대해 수동적인 단어 사용의 특징을 보이고, 다양한 시각적 매개체에 따라 기호와 문자의 역할을 동일하게 인식하는 루틴의 특징이 있었으며 변수 개념 이해 과정에서 루틴 형성을 위한 담론 참여자들의 승인이나 동의가 중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변수 개념의 다양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교사의 담론 개발이 필요하고, 기호와 문자를 통합하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을 제안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communicational approach of thinking based on the use of words and visual mediators in discourse in order to give an idea to diagnose and solve error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variable concept learn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focusing on the words and the visual mediators that express the concept of variables. We interviewed fou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w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he questionnaire that we developed. Then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 of word usage process about the variables and unknowns, and the characteristic of routine and the process of routine formation depending on visual mediators. As a result, all students who participated this research used words about variable concept passively, and perceived the rule of symbols and characters equally. During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variable concept we should form a conclusion that the approval or agreement of the participants in discourse on forming the routine is important. Based on the result of study, the development of teachers’ discourse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recognize the diversity of the variable concept. Also, we suggest that people who make the educational policy need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that integrate symbols and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