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학사 활용을 통한 일화 중심 수업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 고등학교 수학 부등식 단원을 중심으로

        최문주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나라 학생들은 수학 과목에 대한 성취도에 있어서 세계 수준의 경쟁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의적 성취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봤을 때 국가 경쟁력 약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연구자는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학사를 활용한 이야기 전개 형태를 수업에 도입함으로써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사 학습 자료를 활용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후 학업성취도를 독립표본 t-검정을 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수학사를 활용한 일화 중심 수업이 상위집단, 중위집단, 하위집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학업성취도 결과를 독립표본 t-검정을 한 결과 상위집단을 제외한 중위집단과 하위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수학사를 활용한 일화 중심 수업에서 실험 처치 전과 후의 실험집단의 수학 학습 태도 변화를 보면 수학 교과에 대한 수학 학습 습관 영역을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수학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매 차시 수업을 진행한 후 학생들과 면담을 하고 형성평가에 대한 첨삭지도를 통하여 수학 학습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1명의 학생을 인터뷰 하였는데 자율적인 분위기에서 인터뷰에 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연구자와의 의사소통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였다. 이 과정으로 학생들의 문제풀이과정에 몇 가지 오류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수학사를 활용한 일화 중심 수업이 전통적인 설명식 수업 에 거부감을 느끼는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이 정의적인 면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궁극적으로 인지적인 영역 즉, 수학적 지식과 기능을 활용하여 문제해결력 또한 향상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와 교수 자료가 개발되어야 한다. This study verified establishment and adaptation of hypothesis how teaching-learning method could effect on the achievement of students , field of student by using history of Mathematics. To solve the hypothesis , Academic achievement tests were conducted on the research subject in advance, whereby one class was selected for a study group and another for a comparative group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he examination of cognitive aspects shown by students with similar grades, the study group to which math history was taught displayed a more positive result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at was not taught math history. It motivated the interest and mathematical interest from the students, and by showing positive response in expanding th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 the degree of study achievement was shown to be effective in the research group Second, in above result is that when the grades were subdivided into high, medium, and low groups and were compared according to each group. Particularly, it is clear that medium group and low groups in research group display greater improvement than the that in the comparison. Third, a study of the research report of the study group demonstrated that they experienced a remarkable improvement in psychological aspects self concept, attitude such as than the comparative group.

      • 영유아기 자녀에 초점을 둔 취업모 관련 변인 연구 분석 및 동향

        최문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05년 이후 국내 학위 및 학술지에 발표된 영‧유아기 자녀와 관련한 취업모 연구를 분석하여,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성과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6년까지 학위 및 학술지 논문 검색을 통해 선정된 98편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구 연도 및 연구유형에 따른 동향은 2014년에 14편(13.3%) 2015년에 22편(22%)로 최근 들어 더욱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 분야별로는 교육 분야가 55편(52.4%)로 가장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고, 사회분야17편(16.2%), 복지 분야14편(13.3%) 그 뒤를 이었다. 셋째, 연구 방법별로는 조사연구가 98편 중 90편이(중복논문 제외)조사연구로 연구되었고, 그 외에 문헌연구, 질적 연구, 내용분석 등의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조사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처리 방식으로는 T검증과 회귀분석, 상관분석, 분산분석 순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넷째, 연구 주제별로는 미시체계 관련 변인연구는 41편, 외체계 관련 변인연구 29편, 중간체계 관련 변인 20편, 거시체계 관련 변인연구 15편의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의 마지막으로는 취업모의 관련 변인이 영‧유아기 자녀에게 영향을 미친 변인에 대한 내용을 생태체계별 구조에 맞추어 분석했다. 분석결과 영‧유아기 아동의 발달과 양육에 대한 구체적인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조사하는 연구가 아동 중심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 Design and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3'-Aminoadenosine Derivatives as Potential A3 Adenosine Receptor Antagonists

        최문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On the basis of bioisosteric rationale, the 3'-hydroxyl group of the truncated carbocyclic nucleosides, 4'-thionucleosides and 4'-oxonucleosides acting as potent and selective A3 adenosine receptor (AR) antagonists was substituted with the 3'-amino group which may act as a hydrogen bonding donor. The 3'-amino group was stereoselectively introduced using the regioselective synthesis of the acetoxy bromide as a key step. In the case of carbocyclic nucleoside, NaN3 was used to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azide. Treatment with 2-acetoxyisobutyryl bromide gave the bromoacetate which was then treated with NaN3 to give the azido derivatives and its regioisomer. On the other hand, LiN3 was used to give the azido derivatives instead of NaN3 in 4'-thionucleosides series. In the case of 4'-oxonucleosides, the bromo derivative was treated with ammonia solution in t-butanol to give the desired 3'-amino derivative directly. These analogues are expected to bind similarly to the 3'-hydroxyl derivatives in the binding site of A3 AR. A3 아데노신 수용체에 높은 선택성을 지닌 효능제인 IB-MECA와 Cl-IB-MECA의 4' 위치를 황으로 치환한 Thio-Cl-IB-MECA, Northern C3′-endo 입체배치로 제한되어있는 탄소뉴클레오사이드의 5'-uronamide 위치에 메칠기를 붙임으로써 효과적으로 A3 아데노신 길항제로 치환할 수 있었다. 또한 5' 위치의 치환기를 제거하고 N6 위치를 아민기로 치환한 물질의 경우 기존 어떤 길항제보다 A3 아데노신 수용체에 높은 친화성을 보였으며, 다른 아류형의 아데노신 수용체에 비해 A3 아데노신 수용체에 높은 선택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 5' 위치의 치환기를 제거하고 N6 위치를 아민기로 치환한 물질의 3' 위치 알코올 기를 같은 수소결합에 참여할 있는 아민기로 치환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타겟 물질은 acetoxy bromide를 key step으로 하여 입체선택적으로 합성되었다. 이렇게 합성된 3'-아미노뉴클레오사이드들은 CHO 세포들을 이용하여 활성연구가 진행 되었으나, 안타깝게도 모든 탄소뉴클레오사이드의 최종 물질들은 A3 아데노신 수용체에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 韓國 纖維工藝 文化商品에 관한 硏究 : 텍스타일 디자인 開發사례를 중심으로

        최문주 弘益大學校 産業美術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섬유산업은 1970년에서 1980년도에 섬유수출이 1위를 차지하여 한국 경제의 수출 주도 개발전략의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모든 산업이 외국과 경쟁을 나누는 시대에 섬유산업은 1988년 한국의 고임금과 투자비용의 상승, 독자적 기술개발의 부재, 외국 디자인의 모방 등으로 난경에 처해왔다. l990년도 이후 우리 문화 정체성의 확립으로 우리의 전통 문양과 소재를 응용한 스카프, 넥타이, 현대의상, 개량한복 등 문화, 관광 상품이 개발되었다. 종래의 전통적인 수공예품에서 점차 이미지, 디자인 등의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게 되었다. 이런 현상은 문화의 '잉여가치'(Surplus value)의 개념에서 문화를 통해 이윤을 추구하는 '생산가치'(Productive value)의 개념으로 확대된 것이다. 이것은 '문화산업'(Cultural Industry)이란 용어로 대신할 수 있으며 모든 나라들은 문화산업을 고부가가치의 중요산업으로 인식하고 문화와 관계된 산업과 예술을 성장시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문화산업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이다. 1994년 문화관광부는 문화산업국을 설치했고 1998년에 발표된 「국민의 정부 새문화 정책」에서는 「문화산업의 획기적 발전체제」구축을 10대 중점 추진과제로 선정하였다. 1990년에는 「문화산업 육성 기본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을 제정하였고 1,000억원에 달하는 문화산업 진흥기금을 조성하였다. 지방정부는 각 지역의 문화산업을 산업화시키는데 노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통공예품이 각 지역의 "가장 특성있는 지역 상품"으로 문화 상품을 내놓고 있다. 지역의 문화산업을 발전시킨 전통공예품은 각 지역의 문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어 세계에 우리나라를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고, 섬유산업도 문화산업으로서의 섬유공예 문화상품을 개발하는데 전통공예품과 현대공예품, 전통과 현대를 접목시킨 디자인을 생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섬유공예상품이 문화적, 산업적 가치를 가지고 개발되는 데에 어느 특정인만의 노력이 아닌 지역적, 기업적, 개인적인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섬유공예상품이 전통 수공예를 벗어난 현대 문화상품으로 생산되어진 자료는 1990년대 중반부터 보존되어진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섬유공예 문화상품의 현황과 마케팅에 관하여 연구하고 1990년대 중반부터 생산되어진 넥타이, 스카프 등의 개발 사례를 참고하며, 섬유공예 문화상품의 문제점을 분석, 평가하여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The Korean textile industry had taken the first place in export of textiles from 1970 until 1980. The item had played a role of locomotive for the development strategy of Korean export. In the age of competition with foreign countries in every industry, the Korean textile industry had faced difficulties due to high wage, rise of material expenses, the lack of independent technical development and imitation of foreign design. Since 1990, the identity of our culture has been established. As the result, cultural tourist products, using our traditional patterns and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scarves, neckties, modern costumes, modified Korean costumes have been commercialized. The ratio of the elements such as image and design has become larger than the existing traditional handicraft products gradually. Such phenomenon includes the development of surplus value of culture into the concept of productive value pursuing profit through culture. This may be represented by the term of cultural industry. Recognizing the cultural industry as one of high value-added industries, every country is developing the industry related to culture. It is not until 1990s that Korea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cultural industr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launched the Cultural Industry Bureau in 1994, and selected the establishment of the epoch-making development system of the cultural industry as the 10 main tasks in the new culture policy of the peoples government announced in 1998. In 1990, the Cultural Industry Fostering Basic Law, the Enforcement Decree and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same law were promulgated, and the cultural industry promotion fund of 100 billion won was made. The local government tries to industrialize the cultural industry of each district, and in Korean traditional crafts cultural products are becoming the most characteristic local goods. The traditional crafts, that have developed the cultural industry of each district, plays a great role in letting others know Korea by means of traditional crafts produced based on the local culture. The Korean textile industry also produces the designs where traditional crafts, modern crafts and traditions are grafted together.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there should be orchestrated efforts of districts, enterprises and individuals in developing textile handicraft goods retaining industrial value. However, the data of textile craft goods developed into modern cultural products escaping from the traditional handicraft began to be stored in the mid-1990s. Consequently, this study places emphasis on studying the status and marketing of the textile craft culture goods, referring to development examples of necktie and scarf produced since the mid-1990s, and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problems of textile craft cultural products and presenting the alternatives.

      • 국제이해교육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사회과 교육을 중심으로

        최문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정보통신과 교통의 발달로 국제화·세계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국제사회의 상호의존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상호 협력하는 가운데서도 경쟁과 갈등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이러한 국제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개별 국가의 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인류 공동의 문제 해결에 참여하고, 다른 나라의 문화를 이해·존중하는 국제이해교육이 요구된다. 그리고 미래의 한국을 짊어질 중학생들이 세계 무대에서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국제이해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회과의 역할과 책임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화·세계화 시대에 대응해 나가기 위해 중학교 사회과 국제이해교육 내용의 구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제이해교육의 개념, 우리 나라의 국제이해교육 발전 양상, 중학교 사회과와 국제이해교육의 관계에 대해 문헌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행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국제이해교육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국제이해교육의 내용이 양적으로도 부족하고, 질적으로도 통합적·체계적 구성에 미흡한 점이 나타났다. 이와 함께 중학교 사회과 수업 시간에 국제이해교육이 어느 정도 실행되고 있고, 그 중요도와 문제점에 대해 교사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보고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중학교 1, 2, 3학년 사회과를 모두 지도해 본 서울 지역 사회과 교사 7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SPSS/WIN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교사들은 본 논문에서 선정한 국제이해교육의 내용이 모두 중요하다고 생각하면서도 실제 수업 시간에는 제대로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제문제 이해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실제 수업도 많이 이루어지는 반면, 세계시민의 기능·태도는 그 중요성에 비해 실제 수업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국제이해교육의 내용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만큼 실제 수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국제이해교육의 문제점으로서 교과서 내용이 빈약하고 교수·학습자료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았는데 이는 교과서 분석 결과와 일치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사들이 국제이해교육 관련 내용의 확충과 전반적인 내용 변화를 원하였는데 이는 현행 국제이해교육이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중학교 사회과의 국제이해교육 내용을 구성할 때에는 주제나 문제 중심으로 통합적·체계적으로 내용을 구성해야 하고, 다양하고 풍부한 교수·학습자료를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내용과 실생활에 적용 및 응용이 가능한 구체적인 내용들로 구성하여야 한다. 국제이해교육의 중요성은 앞으로도 더욱 강조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학생들이 지구촌 사회의 바람직한 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 국제이해교육 내용 구성에 관한 많은 연구와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oday, international society is getting more interdependent with the internationalizaton and the globalization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al communication and transportation, while the competitions and the conflicts between nations are inevitable. In order to be a member of this international society, it is required to participate in solving the international problem which could not be worked out by any individual nation, and to understand and respect the culture of other nations. In this respect, social studies should play a key role to make the students act with confidence on the international stage. This study is to show how to make up the contents of global education focused on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in order to make the students cope with the trend of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With this goal, the concept of global education, the developing aspects of national global educa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global education were stud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in use revealed that the contents is not only small in quantity but also insufficient both systematically and synthetically in quality. A surve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how often the teachers deal with the global matter, what they think important and what they think problematic. It was administered to 73 social studies teachers who had the experience to teach all the school years in middle schools in Seoul, and was analyzed by means of SPSS/WI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tend to think the contents of global education which was chosen by this study is important, but they are not likely to deal with it fully in class. Global problem understanding is thought to be very important and so, it tends to be treated so often. On the other hand, the duty and the attitude as a world citizen are not likely to be handled enough in comparison with the importance. Therefore, there should be proper steps to deal with them. Second, it was noted as a problem that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is insufficient in quantity and that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re in short supply. This i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the textbook analysis. Third, most teachers tend to think it's important to increase the amount of the content related to global education and to modify the present content itself. This shows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existing global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the textbook should include the synthetic, systematic, theme/subject-oriented contents of global education as well as the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tips. Besides, it should deal with such concrete things that touch off the curiosity and the interest of the students and could be applied to real life. As the importance of global education is getting greater, it is also proposed that there should be much more studies and researches on the organization of the contents for global education to help the students to be the desirable members of global society.

      • 영어 조기 몰입교육의 교육과정 비교 : 미국, 영국, 캐나다식 교육기관 중심으로

        최문주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영국,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영어 조기 몰입교육과정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 내용은 첫째, 미국, 영국,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성격 및 목표를 알아보았다. 둘째, 미국, 영국,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구성을 비교하였다. 셋째, 미국, 영국,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의 교수학습방법을 비교하였다. 넷째, 미국, 영국,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의 교수학습환경과 하루일과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비교하였다. 본 연구 내용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영국, 캐나다식 교육기관의 성격과 목표는 모두 자연스러운 환경을 통한 언어습득과 각 나라의 문화를 경험하는데 있으며 미국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의 언어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고 영국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유아의 다양한 경험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전인적인 아동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둘째,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 있어 미국, 영국, 캐나다식 교육기관 모두 언어교육과 다양한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미국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일상생활에 관련 있는 소재로 언어습득이 이루어지며 영국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주제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과목 중심으로 수업의 내용이 이루어졌다. 셋째, 교수학습방법과 교재에 있어 미국, 영국, 캐나다식 교육기관 모두 많은 차이를 보였다. 미국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내용중심 접근 방법과 데일리 루틴 교수법을 바탕으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교재를 사용하고 있었다. 영국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데일리 루틴 교수법과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을 중심으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며 개인별 교재를 이용하지 않고 활동지를 사용하였다.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내용중심 교수법과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을 이용하여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며 교재는 사용하지 않고 교사가 제작한 활동지를 대신 이용하였다. 넷째, 교수학습환경과 하루일과를 살펴보면 미국, 영국, 캐나다식 교육기관 모두 하루에 6시간씩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원어민 교사와 한국인 교사가 함께 지도하였다. 하루일과 시간표 분석 결과, 미국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언어습득에 중점을 두어 계획되어 있고 영국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미술, 게임, 음악, 체육활동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창의성과 상상력 개발을 위해 수학과 과학, 미술활동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렇게 미국, 영국, 캐나다식 교육기관은 각기 다른 교육과정을 가지고 있었다. 이 세 가지 형태의 교육과정 중 어떤 교육과정이 좋다고 단정 지을 수 없지만 분명 각 교육과정 마다 우리 영어 조기 몰입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영어 조기 몰입교육과정을 따로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어떤 하나의 교육과정을 가져와 적용하기 보다는 미국, 영국,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에 맞는 영어 조기 몰입교육과정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substantial resources for the improvement and activation of English Early Immersion Programs by comparing and analysing the curriculums of three countries: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Canada. For those purposes, this research includes four different target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English early immers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Canada? Second, how are the contents illustrated in the three curriculums? Third, what ar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three curriculums? Fourth, how do the differences in the three curriculum affect teaching environments and daily rout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the three curriculums are focused o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and cultural experiences through school life. For instance, English early immers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are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English abilities; and, British early English immersion programs are based on many different kinds of experiences. Also, the Canadian early English immersion programs emphasize the entire development of children. Secondly, all curriculums not only focus on language study but also have many different activities. English early immers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are taught based on subjects in daily life, and early immersion programs in Britain are taught using theme-based English. English early immersion programs in Canada are taught based on contents-based English. Thirdly, there are diverse teaching methods and textbooks. Teachers use a content-based teaching method, a daily routine method, and various textbooks which are used in English early immers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The British immersion schools do not use any textbooks; they use a daily routine method, a communicative approach. A contents-based, learning-centered teaching method is used in the early immersion programs of Canada; and, these Canadian programs do not have any textbooks like the British immersion schools. It means that all of the materials are made by the teachers. Finally, all of the three immersion schools stay and do some activities for six hours every day. In this case, two teachers cover one class; one is an English native speaker and another is a Korean who is able to speak English. Early English immers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focus on the improvement of English abilities, and British early immersion programs include art, games,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For developing children's imagination and creativity, English early immersion programs in Canada provide math, science, and art activities. As a result, three countries have dissimilar curriculums; however, educators should carefully select and develop a new curriculum, ideally one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United States, British, and Canadian curriculums.

      • 삶의 의미 탐구와 정서 경험의 관계에 대한 철학상담적 연구 : 퇴계의 사단칠정론을 중심으로

        최문주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각종 사회문제의 기저에 사람들의 삶의 의미 상실이 자리하고 있다고 보고, 현대 한국인들이 삶의 의미 탐구를 통해 불확실성을 내포한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삶의 의미는 사람들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삶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에 대한 내적 토대가 된다. 이 때문에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삶을 살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삶의 의미 탐구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근본적인 기준을 마련해주는 덕(德)윤리적 지평위에서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람들이 자신의 삶의 의미와 관계하는 내적인 경험을 자각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로써 정서 경험을 활용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정서는 대상을 보는 방식뿐만 아니라 대상에 대한 믿음을 구현하여 각자가 가치 있게 여기는 것을 향해 움직이도록 만드는 어떤 정서적 경험도 긍정적인 것으로 경험하고, 가치 있는 것으로부터 멀어지게 만드는 어떤 정서도 부정적인 것으로 경험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지나쳐 버리기 쉬운 각자의 일상적 정서 경험들을 반성적으로 탐색하면서 각 개인이 자기의 삶의 의미를 명료하게 자각하고 새롭게 찾아가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한 사상적 자원을 개인 및 사회 공동체의 도덕적 성장을 목적으로 사람의 내면 탐구에 집중한 유학사상에서 찾았다. 현대의 한국인들은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유교문화와 서양 문화의 다양한 측면들이 혼재하는 독특한 문화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 가운데에서도 유교문화는 현대인들의 삶의 양식과 충돌하는 면이 있고 사람들의 자유를 억압하는 부정적 요소가 있다는 인식이 만연하면서, 극복되어야 할 과거의 전통으로만 치부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유교문화는 공동체가 번영할 수 있는 기초를 개인의 도덕적 성장과 인격적 확립에서 찾았으며, 이를 위한 이론적 토대가 되는 인간의 내면 탐구에 집중한 사상들을 발전시켜 왔다. 이 사상적 자원들을 비판적 관점에서 변용하여 현대 사회에 적용한다면, 유교는 현대인들에게 성장하는 주체로서의 살아갈 동력을 제공해줄 수도 있다. 특히, 삶의 궁극적 목적을 정서에 대한 관심과 연결해서 사유한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격동의 시대인 16세기 조선에 살았던 퇴계의 사유는 격렬하게 변동해가는 사회에 살고 있는 현대의 한국인들에게 구체적인 일상에서 자신과 타인을 향한 두 방향의 삶이 조화롭게 공존하면서 각 개인의 삶의 의미를 생생하게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될 실마리들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이러한 논의들을 토대로 철학상담에서 삶의 의미를 탐구하고 추구하는 방안을 타진해보고자 하였다. 철학상담은 내담자가 자신의 삶에 문제를 제기하는 지점에서 시작하여 사유의 과정을 통해 자신의 삶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철학적 대화라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철학상담에서는 비판적 성찰로서 내담자의 삶 저변에 깔려 있는 가정들을 검토하고 내담자의 삶에 기초가 되는 근거들을 탐색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사회적 관계에서 경험하는 일상의 정서 경험을 윤리적 관점에서 접근한 퇴계의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이 가진 철학상담적 요소를 추출하여 철학상담에서의 접근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반성적 성찰을 통한 자기 수양으로 자신의 주체를 확립하고 사회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위기지학(爲己之學)’으로부터 출발하여 타인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경험하는 정서를 삶의 지표가 되는 삶의 의미와 관련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각 개인의 독특하고 고유하며 독립적인 삶들이 조화를 이룬 공동체 사회를 구성하기 위한 덕윤리적 삶을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조선시대 武經七書 도입과 활용에 관한 硏究

        최문주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Wujingqishu(Seven Military Classics) was a collection of seven kinds of books on military science published in ancient China under a single title. Since its first inclusive publication, it had been published under the leadership of central government and solidified its status as a criterion for the selection of military nobility talents. It was since th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that a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became a regular institution to select the military nobility in the history of Korean Peninsula. Its regulations were stipulated in the Book of Military Laws of Gyeonggukdaejeon, which mentioned two major categories of exam subjects, namely ‘martial arts’ and ‘exposition of ancient writings.’ Of the books designated to be used in the category of exposition of ancient writings, especially the Wujingqishu Zhijie(literalistic version of Seven Military Classics), by Liu Yin published in early Ming Dynasty and introduced into Joseon at the end of 15th century, held huge importance throughout Joseon.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er researches on the bibliographical study of Wujingqishu in spite of its significance, which was why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its effects on the history of publication culture throughout Joseon through records and woodblock-printed book materials. The study first reviewed roughly each book on military science that comprised the Wujingqishu and looked into the periodic backgrounds of Song Dynasty, when the books on military science were first put together under the title Wujingqishu, and Ming Dynasty, when its literalistic version was published. The investigator examined such content before full-blown discussions because the periodic backgrounds of the times must have influenced the collection of seven books on military science that had been fragmented into the Wujingqishu. The study then discussed the connections between its introduction into Joseon and the enforcement of all kinds of institutions including the state examination and the Mugyeongseupdokgwan system, its changing status according to the changing times since then, the forms of its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by the periods, and changes to each of woodblock-printed books in relation to them. The patterns of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went through large changes overall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Even though the percentage of exposition of ancient writings decreased, the status of Wujingqishu, which was used as a criterion to assess the officials of military nobility appointed since, did not change much from the early days. Its importance, as a matter of fact, was still valid with its publication more active than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in some cases. Since the scope of the present study was restricted to Joseon, the study had limitations with analyzing the overall influences of Wujingqishu on three nations in East Asia. Those limitations can be overcome by broad convergence and in-depth analysis of publication culture of military science book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in future researches. 『무경칠서』는 고대 중국에서 저술된 일곱 종류의 병서를 하나의 표제 아래에 합쳐 간행한 것으로, 송대에 처음으로 포괄된 이후 사실상 중앙 조정에서 간행을 주도하며 무반 인재의 선발 기준의 하나로 그 위상을 공고히 하였다. 한반도 역사에서 무반을 발탁하는 武科가 상설 제도화한 것은 조선 건국 이후부터이며 그 규정은 『경국대전』 兵典에 명시되었다. 여기서 언급된 실시 과목은 크게 ‘무예’와 ‘강서’의 두 가지로 나뉘었다. 이 중 강서에서 사용하도록 지정된 서적 중에서 『무경칠서』, 특히 명나라 초기에 편찬되어 15세기 말에 조선에 유입된 유인의 ‘직해본’은 조선시대를 통틀어 꾸준히 높은 중요성을 점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중요도에 비하여 『무경칠서』에 대한 서지학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조명되지 않은 편으로,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무경칠서』가 조선시대 전 기간에 걸쳐 출판문화사에 미친 영향을 기록과 실물 판본 자료를 통하여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장에서는 우선 『무경칠서』와 이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병서에 대한 개괄적으로 살펴본 후, 처음으로 『무경칠서』란 범주로 통합된 시기인 송과 직해본이 편찬되는 명대의 시대적 배경에 대하여 조명하였다.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가기 전에 이러한 내용을 언급하는 것은 당시의 시대적 배경이 파편화되어 있던 일곱 가지 병서가 『무경칠서』로 수렴하는 데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3장에서는 이 『무경칠서』의 조선 유입과 당시 과거제와 무경습독관제 등의 각종 제도의 시행과 어느 정도 연관성을 맺고 있는지, 이후 시대의 변화상과 함께 그 위상은 어떻게 변동하였는지, 그리고 시대별로 간행과 유통은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졌는지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조선 후기의 무과시 양상은 전체적으로 큰 변화를 수반하였고 강서의 비중 또한 줄어 들었지만, 그럼에도 이후 임용된 무반 관료들의 평가 척도로써 사용된 무경칠서의 위상은 초기와 비교하더라도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으며, 일부 경우에서는 오히려 조선 전기보다 더 활발한 간행이 이루어질 만큼 그 중요성은 여전히 유효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가 조선에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동아시아 3국에서 『무경칠서』가 가졌던 전반적인 영향력을 모두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벗어나기 위하여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한, 중, 일 3국의 병서 출판문화에 대한 폭넓은 통섭과 심도있는 분석이 요구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