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군위(軍威) 인각사(麟角寺) 탑지출토(塔址出土) 중국청자(中國靑磁)의 성격(性格)

        최명지 ( Choi Myeong-ji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21 No.-

        본 논문은 국내에서 월요청자가 출토되는 여러 지역 가운데 특별히 인각사 탑지의 경우에 주목하여, 양질의 금속유물과 같은 시기에 매납된 월주요 청자완 7점을 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인각사에서 출토된 청자는 碗으로 문양이 없고 器形은 외측선이 저부에서 구연까지 곧게 뻗은 敞口碗으로 비교적 단순하다. 그러나 중국에서 玉璧底와 玉環底라 부르는 굽형태를 가진 완이 함께 출토되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월주요 청자완에서 굽의 형태는 옥벽저에서 옥환저로 변화하면서 그 제작시기를 달리하는데 당시 가장 선호하던 것들을 수용하여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연구를 통해 제작시기에 이견이 있어왔던 동반출토 금속유물의 시기폭을 좁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 중국 월주청자는 경주지역 출토 유물에서 확인되듯이 유입 초기의 주요 수요층은 골품귀족들이었으나, 9세기 후반경부터 승려계층이 또 다른 주요 수요층으로 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청자완의 제작시기와 유입경로 탐색을 통해 수요층을 살펴보면 유적의 연대 및 성격에 진전된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agoda site at Ingak-sa(麟角寺) is one of the various locations in Korea where Yue Kiln(越窯) celadon have been excavated. This paper examined in particular seven Yue Kiln celadon bowls excavated at the Ingak-sa pagoda site which had been buried at the time period of the high-quality metal relics. The celadon wares excavated at Ingak-sa are bowls without patterns and having relatively simple shapes, with the outer surface line rising in a straight line and the rim protruding uncurled. What is noteworthy, however, is that celadon bowls with the doughnut shaped foot(玉璧底) and those with the jade bracelet shaped foot(玉環底), produced at different times in China, were unearthed together. This finding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shape popular at each particular time was embraced and used for the Yue Kiln celadon bowl, and later the different types were buried together. Also, there have been different views on estimating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metal relics excavated together with the bowls,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is will help in narrowing the range of that production period.

      • KCI등재

        행정소송법 제12조 2문의 의미와 협의의 소의 이익 : 대법원 2020. 12. 24. 선고 2020두30450 판결에 대한 평석

        최명지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22 法學論集 Vol.26 No.3

        행정소송법 제12조 2문의 의미가 무엇인지, 협의의 소의 이익을 어떤 경우에 예외적으로 인정할 수 있을 것인지 아직도 논의는 현재진행형이다. 법률 규정만으로는 그 의미를 명확히 알 수 없고 판례와 학설의 보완을 통해 비로소 그 윤곽을 짐작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행정소송법 제12조 2문은 협의의 소의 이익에 관한 실정법상 명문규정으로, 2문의 법률상 이익은 취소소송의 효과와 기능을 고려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이미 효력이 소멸된 처분에 대한 취소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한 경우, 그 효과는 무엇인가? 처분은 이미 실효되었으므로 실질적으로 원고는 당해 처분이 위법하였다는 점을 확인받는 것에 그치게 되므로, 효력이 소멸된 처분에 대한 협의의 소의 이익은 위법확인의 이익이 된다. 즉 행정소송법 제12조 2문에서 상정한 취소소송의 효과를 고려할 때, 2문의 법률상 이익은 ‘위법성을 확인할 이익’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항고소송은 행정청의 위법성을 통제하고 객관적 법질서의 적정성 확보에 기여하므로 객관소송의 성격을 함께 지니고 있다. 따라서 원고 개인의 주관적 권리구제에 도움이 되지 않더라도 예외적으로 침해행위가 앞으로도 반복될 위험이 있고, 이에 대한 피고 행정청의 해명이 향후 위법한 행정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대한 의미를 지니는 경우라면 위법확인을 위한 협의의 소의 이익을 인정할 수 있다. 관련하여 대법원은 기간의 도과로 처분의 효력이 상실된 경우에도 예외적으로 법률상 이익의 침해가 있다고 볼만한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소의 이익을 인정하면서, 특별한 사정의 범위를 꾸준히 확대하여 왔다. 다만 과거 대법원은 행정처분의 위법성 확인 내지 불분명한 법률문제에 대한 해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소의 이익이 있다고 보면서도, 그 예시로 ‘동일한 소송 당사자 사이에서 동일한 사유로 위법한 처분이 반복될 위험성’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해석에 혼란을 초래하였다. 대상판결은 동일한 소송 당사자 사이에 반복될 위험성은 없지만 행정처분의 위법성 확인 내지 불분명한 법률문제에 대한 해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소의 이익이 인정된다고 보아 위와 같은 혼란을 정리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Discussions on the meaning of the latter sentence of article 12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and in what cases the interests of the litigation can be exceptionally recognized are still ongoing. This is because the meaning cannot be clearly understood only by legal regulations, and the outline can only be guessed through supplementation of cases and theories. The latter sentence of Article 12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is a provision regulating the benefit of lawsuit, and the legal interests of the latter sentence need to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iveness and function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Considering the effect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proposed in the latter sentence of article 12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the legal interest of the two sentences can be interpreted as ‘profit to confirm illegality’. In particular, administrative litigation in Korea controls the illegality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and contributes to securing the appropriateness of objective legal order, so they have the nature of objective litigation. Therefore, even if it does not help the plaintiff’s individual subjective rights relief, if there is an exceptionally risk of repeated infringement, and if the government’s explanation has a significant meaning to prevent illegal administration in the future, the benefit of a lawsuit can be recognized. In this regard, the Supreme Court has steadily expanded the scope of special circumstances, recognizing the benefit of a lawsuit if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that may be considered to be an exception to the effect of the disposition due to the lapse of the period. However, in the past, the Supreme Court confused the interpretation by using the expression “the risk of repeated illegal disposition for the same reason among the same litigants” even though it was deemed necessary to confirm the illegality of administrative disposition or explain unclear legal issues. The target judgment is meaningful in that the above confusion was cleared up as the benefit of the lawsuit is recognized even if there is no risk of repeating between the same litigants, but it is deemed necessary to confirm the illegality of administrative disposition or explain unclear legal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