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용자 자녀를 지원하는 사회복지실천가의 경험

        최려나 ( Cui Li Na ),정익중 ( Chung Ick-joong ),김다인 ( Kim Da In ),김정윤 ( Kim Jung Yu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가족복지학 Vol.69 No.1

        본 연구는 수용자 자녀지원 현장에서 종사하는 사회복지실천가의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사회복지실천가 8인을 최종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한 자료로 주제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수용자 자녀에 대한 사회복지실천가의 인식’, ‘수용자 자녀를 지원하는 실천 현장의 상황’, ‘수용자 자녀를 지원하는 사회복지실천가로서 기대되는 역할’ 3개의 주제와, ‘가해자의 자녀이기 전에 한 아동인 수용자 자녀’, ‘수용자 자녀를 지원하며 부딪히는 현실의 벽’, ‘수용자 자녀와 함께 성장하며 얻는 보람’, ‘사회복지실천가로서 스스로에게 더 기대하는 역할’, ‘수용자 자녀가 사회복지실천가에게 기대하는 역할’ 5개의 범주, 그리고 15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수용자 자녀와 그들을 지원하는 사회복지실천가를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사회복지적 함의를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ractice targeting the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Eight participants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and thematic analysis was performed. The study found three themes, “The perception of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about the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The situation of the practice site supporting the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and “The expected role as a social welfare practitioner supporting the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The child of the perpetrator, not one child”, “The wall of reality that encounters supporting the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The reward of growing up with the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The role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expect more from self”, “The role that the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expects from the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5 categories and 15 subcategorie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pport policies were sought for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and children with incarcerated parents, and social welfar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수용자 자녀의 부모수감 이후 삶의 변화와 서비스 욕구에 관한 질적 연구

        이지선(Lee, Ji Sun),최려나(Cui, Li Na),한기명(Han, Ki Myu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22 한국아동복지학 Vol.7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교도소 수감 이후 수용자 자녀가 겪게 된 변화와 어려움을 이해하고, 수용자 자녀를 위한 서비스에 대한 만족과 욕구를 당사자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도소에 수감된 부모를 둔 15∼19세의 청소년 14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질적연구 방법 중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수감 후 변화, 도움이 되었던 지원, 서비스 지원 욕구라는 3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수용자 자녀들은 부모의 수감 후 주거환경 및 양육자 변경, 경제적 및 심리적 어려움, 가족 내에서의 역할 및 관계 변화와 주변인의 태도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움이 되었던 지원으로 경제적 지원, 접견 지원, 동아리 활동,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라고 응답하였으며, 더 바라는 지원으로 경제적 지원의 확대, 다양한 활동 기회, 심리상담 서비스, 수감자 자녀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 부모의 범죄 사실에 대한 합리적 형량, 법정대리인 부재로 발생하는 행정 절차상의 문제 해결 등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수용자 자녀 당사자들이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어려움과 욕구를 바탕으로 제도 및 서비스의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life changes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by children of incarcerated parents and identified their specific service nee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14 children of incarcerated parents aged 15 to 19. A thematic analysis of the interviews generated three major themes: “changes in life after parental incarceration”, “helpful supports and services”, and “service needs”. Participants reported experiencing changes in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and caregiver, financi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changes in roles and relationships within the family and in the attitudes of people around them. Supports and services that the participants found helpful included financial and visitation assistance, support groups, and mentoring programs. Participants expressed needs for increased financial assistance, expanded activity opportunities, counseling services, reduced stigmatization of the children of incarcerated parents, reasonable sentences for incarcerated parents, and the resolution of administrative procedure problems that often arise in the absence of a legal representativ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related to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children of incarcerated par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로부터의 학대가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또래소외의 이중매개효과

        김현진 ( Kim Hyun Jin ),최려나 ( Cui Li Na ),노충래 ( Nho Choong Rai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1 학교사회복지 Vol.- No.53

        본 연구는 부모로부터의 학대가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과 또래 소외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여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효과적인 학교사회복지 측면의 개입방안 및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초등학교 1학년 6차(2015)년도 자료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총 2,067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로부터의 학대는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의 학대가 초기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과 또래소외 모두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로부터의 학대는 청소년의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위축과 또래소외를 통한 정적인 간접효과를 미쳐 전체적인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로부터의 학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개인적인 사회적 위축뿐 아니라 또래관계에서의 소외를 통해 우울에 미치는 간접적 효과를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부모로부터 학대의 직접적 영향 및 간접적 영향도 함께 고려한 개입을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초기 청소년 시기의 효과적인 학교사회복지적 실천방안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ffective ways to intervene in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by verifying whether social withdrawal and peer alienation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by parents and depression in early adolescents. For the purpose of the the study, authors used the sixth year dataset of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KCYPS, 2015). A total of 2,067 students were inclused in the final analysis, and the authors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test direct and direct effects of child abuse on depression in early adolesc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 abuse by parents had a direct impact on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and both social withdrawal and peer alienation were partially mediated in the effects of child abuse by parents on early adolescents’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authors proposed that teachers and school social workers pay close attention to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hild abuse by parents on depression via social withdrawal and peer alienation in early adolelscents so as to promote mental health in them.

      • KCI등재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 영향요인

        노충래(Nho, Choong Rai),최려나(Cui, Li Na),김현진(Kim, Hyun Jin)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2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아동복지시설에도 장기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개인적 특성과 시설 특성이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에 따른 아동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지역아동센터, 드림스타트 종사자 336명을 임의 표집하여 전자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집단간 차이 및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여성이 남성보다 코로나19 인식 및 직무 스트레스가 높았고, 직책 중 사례관리사의 실천수준이 낮았다. 둘째, 기관 운영체계 중 유연/재택근무가 불가능한 시설이 가능한 시설보다 직무 스트레스가 높았다. 또한, 강사 대신 프로그램을 직접 진행하는 종사자 집단이 감염 예방 실천 및 직무스트레스가 높았고, 강사 대신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않는 종사자 집단은 감염관리 수준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근무 시설유형과 코로나19 인식이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이후 아동복지시설과 종사자 차원에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하였다. As the pandemic persists, it continues to have an impact on child welfare agencies. However, literature on this topic remains scarc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raw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Korean child welfare by examining how various characteristics of both child welfare workers and agencies affect COVID-19 prevention practice among child welfare workers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recruited 336 child welfare workers (from residential care facilities, group homes,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nd Dream Start centers)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analyses were conducte4d in two ways. First, we tested group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COVID-19 recognition, job stress, and COVID-19 prevention practice by the child welfare work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for COVID-19 prevention practi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workers reported higher levels of COVID-19 recognition and job stres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Second, workers at agencies that provide neither flexible work schedules nor home-based work reported higher levels of job stress than their counterparts. However, workers with a substitute worker to run programs reported higher levels of COVID-19 prevention practice and job stress, and those without a substituted worker reported higher levels of COVID-19 management than their counterparts. Lastly, type of agency (residential vs non-residential facility) and COVID-19 recogni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for COVID-19 prevention practice. In other words, workers at a residential facility with higher COVID-19 recognition reported higher COVID-19 prevention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we present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child welfare includ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care for child welfare workers.

      • KCI등재

        사회적 농업에서 종사하는 발달장애인의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푸르메 여주팜을 중심으로

        이지선(Lee, Ji Sun),한기명(Han, Ki Myung),최려나(Cui, Li Na) 한국직업재활학회 2022 職業再活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사회적 농업에 종사하는 발달장애인의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사회적 농업이 갖는 일자리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농업 형태의 장애인표준사업장에 취업한 발달장애인 근로자 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설문지는 장애인고 용패널조사 문항에서 취업 선택 이유, 근무 시 어려움, 가족의 지지, 일자리 만족 등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현 직장 의 취업 선택 이유로 정규직으로서 직업 유지의 안정성, 최저임금 이상의 보수, 추천한 주변인의 역할이 크게 작용했다고 응답하였고, 연구참여자의 일자리 만족도 수준은 전체 장애인의 일자리 만족 수준 보다 월등히 높았다. 발달장애인 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가족 의 취업 지지와 근로자의 대인관계능력,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여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발달장애인의 일자리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가족이 장애인 당사자의 취업 및 직장생활에 대해 지지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직장 내에서 동료와 상호작용하는 기술을 배우고, 대인관계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셋째, 발달장애인 근로자에게 정규직으로서 최저임금 이상의 보수를 제공할 수 있는 사회적 농업 일자리 모델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지원 및 연구를 다각도로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employment and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31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were employed as permanent employees at a social farm. Survey questions consisted of questions such as reasons for employment choices, difficulties in working, and job satisfaction and were extracted from Survey of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tability of job maintenance as permanent employees, remuneration above the minimum wage, and close persons’ recommendations played a major role as reasons for choosing the current employmen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study participa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ll people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the family s support for employment, the workers’ interpersonal skills, and the receipt of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significantly associated to the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is important that the family’s support for employment and work life. Second, there is a need for a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that allows workers to learn interpersonal skills to interact with colleagues in the workplace. Third, active support and further research should b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cial farming that can guarantee permanent employment.

      • KCI등재

        화상 경험 아동 · 청소년과 가족의 서비스 욕구 탐색

        이지선(Ji Sun Lee),김시아(Si Ah Kim),최려나(Li Na Cui),이예진(Ye Jin Lee),황세희(Se Hee Hwa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硏究 Vol.37 No.2

        본 연구는 화상 경험 아동·청소년과 그들의 가족이 화상 경험 이후 화상치료, 회복 및 재활 과정에서 겪게 되는 전반적인 어려움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필요한 지원방안을 살펴본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아동 · 청소년기에 화상을 경험한 11명과 이들의 부모 4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진행하였다.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을 한 결과, 심리지원, 가족지원, 치료비 지원, 치료에 대한 정보제공, 대인관계 및 사회기술 지원, 학교 적응 및 진로 지원, 자조모임 지원, 사회 인식개선 8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화상을 경험한 아동 · 청소년과 가족을 위한 차별화된 심리서비스 지원, 타인의 시선에 관한 대처기술 교육, 화상 경험자 멘토링 프로그램 활용, 사회적 인식개선을 위한 활동을 제안하였다.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on psychosocial difficulties and support measures for childhood burn survivors and their families. For this study, eleve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four parents of burn survivors were interviewed in focus groups and a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8 categories were derived such as the need for psychological support, the need for family member support, the need for medical expense support, the need for information on treatment, the need for interpersonal skills support, the need for school and occupation support, the need for self-help group support, and the need for improvement of social attitudes toward burn surviv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pecific support measures were proposed for childhood burn survivors and their families, such as specialized psychological counseling support, social skill training on dealing with other’s negative attitudes on burns, volunteer mentorship for burn survivors, and improvements in social awareness and advo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