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관형화 구성에서의 ‘-오-’의 실현

        최대희(Choi. Dae-He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4

        본 연구는 15세기 국어의 관형화 구성에 실현되는 ‘-오-’의 분포 환경을 확인하고, 실현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관형화 구성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였다. 관형화 구성은 명사구내포문의 하위 유형으로 하위문과 내포문 명사가 함께 명사구를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기저에서 하위문 안의 어떤 명사구와 내포문 명사사이에 동일 지시가 이루어지면 관계화 구성이고, 동일지시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보문화 구성이다. 다음으로 ‘-오-’의 실현 환경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검증을 위해 몇 가지 예외처럼 보이는 구문을 설명하였다. 먼저 ‘-오-’가 실현되지 않을 것 같은 환경인데 ‘-오-’가 실현되는 환경이다. 여기에서는 주어(주체)가 표면상 나타나지 않는 예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오-’가 실현되는 환경인 ‘절’을 이루는 것처럼 보이지만 ‘절’을 이루지 못해 ‘-오-’가 실현되지 않는 환경이다. 여기에서는 격 조사가 생략된 경우, 이중 주어를 가진 경우, 협주문인 경우 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관형화 구성을 관계화 구성과 보문화 구성으로 나눈 후, 일반명사 구문과 의존명사 구문에서 ‘-오-’의 실현을 양상을 살펴보았다. 관계화 구성과 보문화 구성에서 주어-서술어 관계의 관형절을 형성하는 자립명사 구문과 의존명사 구문에서는 ‘-오-’가 거의 예외 없이 실현되지만, 주어-서술어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여 관형구를 이루게 되거나, 보문화 구성에서 명사적 특성이 약한 의존명사 구문에서도 ‘-오-’의 실현이 불규칙적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a distribution environment and appearance aspect of ‘-o-’ in the adnominal composition shown in the 15th century. The discus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firmed the concept of adnominal composition. The adnominal composition is a subtype of NP-embedding sentence. and it means to construct a sub-sentence combine with embedding noun. The adnominal composition can be divided into relativisation composition and complementation composition. Second, verified the appearance environment of ‘-o-’. In this part, verified the necessary case in connection with appearance of ‘-o-’. It was as follows, a case of subject missing, a case of subject case particle missing, a case of double subject, a case of inserted notes, and a case of apposition composition. As a result, the ‘-o-’ appeared only in case of forming a clause and not appeared in case of forming a phrase. third, confirmed a appearance aspect of ‘-o-’. If the subject-predicate is established, the ‘-o-’ appeared in the free noun construction and dependent noun construction. But If the subject-predicate is not established, the ‘-o-’ not appered.

      • KCI등재후보

        의존명사 `듯`의 변천과 어미화 과정

        최대희 ( Choi Dae Hee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5 No.-

        이 연구는 의존명사 `듯`을 대상으로 형태·통사론적 변천 양상을 파악하고, `듯`의 어미화 과정을 추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듯`의 형태론적 변천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듯`은 후행하는 요소로서 영형태소나 파생접사 `-이`가 주로 결합하였고, 18세기 후반에 이르러 보조사 `-도`가 결합하고 있는 양상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듯`의 통사론적 변천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선행어 제약은 15세기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듯`에 선행하는 요소의 통합 제약은 큰 변화가 없었다. 수식어로는 관형절만이 선행하였고, 서술어는 동사, 형용사, 체언+이다가 모두 선행하였으며, 관형사형 어미는 `-ㄴ/-ㄹ`이 모두 선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듯`을 구성하는 전체의 의미는 선행요소나 후행요소보다는 `듯` 자체가 의미를 결정하는 핵이라는 것도 살펴보았다. 후행 서술어의 제약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듯`과 `듯도`는 서술어로 `하다`만 후행하는데, `듯(이)`는 다양한 서술어가 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의존명사 `듯`의 어미화 과정을 `듯`의 선·후행요소와의 긴밀성과 `듯` 구성에 실현된 의미를 통해 살펴보았다. 긴밀성의 관점으로는 `듯`이 후행하는 요소보다 선행하는 요소와 긴밀성이 높을 때 어미화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실현된 의미의 관점에서는 [추측]의 의미에서 [비유], [가식] 등의 의미로 확장되었을 때 어미화가 더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 trnasition of morpholog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ending process of dependent noun `Deut`. The resul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confirmed a morphologic transition of `Deut`. The `Deut` combined with derivational suffixcase `-i` and back element ellipsis. And combined `-do` in the 18th century, `ha-da`, etc. Secondly a syntactic transition confirmed a difference of preceding predicate, adnominal ending, following predicate. A preceding element constraints did not change much from the 15th century to modern. A preceding predicate are integrated verbs, adjectives, copula. A adnominal ending are integrated`-n` and `-l`. A following predicate integrated verbs and adjectives, `ha-da`, `sip-da`. But the constraints of the trailing predicate are different. `Deut` and `Deut-do` are only followed `ha-da` but `Deut(i)` is followed various predicates. Finally confirmed a ending process of dependent noun `Deut`. This process has been verified through the compactness of the leading and trailing elements and the meaning realized in the `Deut` composition. The ending process proceeded when dependence nouns wer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preceding elements than to the trailing elements, and proceeded when expanded to the meaning of [analogy], [affectation].

      • KCI등재

        국어의 이름마디 변천 연구

        최대희 ( Dae Hee Choi ) 한말연구학회 2014 한말연구 Vol.- No.3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firm a transition of noun clause, focused on noun clause, from the 15th century to the modern korean. For this purpose, confirmed a frequency of component through the centuries, then confirmed a morpholog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ㅁ noun clause’ had functioned stably in the 15th century. But, since the 16th century, A gradual extinction of ‘-o-’ has caused the instability of ‘ㅁ noun clause’ and it led to both a activation of ‘기 noun clause’ and a frequent appearance of ‘ㄴ 것 noun clause’. Second, a ‘ㅁ noun clause’ had appeared a tense and honorific. A tense had appeared ‘present’ and ‘past’ from the 15th century to modern. A honorific had appeared ‘subject honorific’ and ‘object honorific’ in the 15-16th century. But, since the 17th century, had only appeared ‘subject honorific’. A ‘기 noun clause’ also had appeared a tense and honorific. A tense had appeared ‘present’ and ‘past’, ‘undecided’ and A honorific had appeared ‘subject honorific’ and ‘object honorific’ third, since the 15th century to modern, a ‘ㅁ noun clause’ had functioned stably as subject, object, adverb and predicates without significant change. A ‘기 noun clause’ had also functioned stably as subject, object, adverb, predicates without significant change.

      • KCI등재

        매인이름씨 `것, 줄, 바`의 형태·통어·의미적 특성 연구

        최대희 ( Choi Dae-hee ) 국제어문학회 2014 국제어문 Vol.60 No.-

        이 연구는 16세기 국어의 매인이름씨 `것, 줄, 바`의 형태·통어·의미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형태론적 특성은 `것, 줄, 바`에 선·후행하는 결합 요소들을 확인하였는데, `것, 줄`이 `바`보다 결합제약이 좀 더 자유로워 많은 선·후행 요소들과 결합하였다. 통어론적 특성은 `것, 줄, 바`의 선행어 제약, 후행하는 상위문 풀이씨의 분포, `것, 줄, 바`를 포함하는 구성의 문장에서의 기능을 확인하였다. `것`은 여러 선행어들과 통합하였으며, 임자말, 부림말, 방편말, 견줌말, 풀이말 등으로 기능하였다. `줄, 바`는 선행어로 매김마디만 통합하였고, 임자말, 부림말, 방편말, 위치말로 기능하였다. 의미론적 특성은 매인이름씨의 고유의미를 설정한 후, 선·후행요소와의 형태·통어론적 환경을 고려하여 살펴보았다. `것`은 `사물의 대용, 사실, 확신, 단정, 추측`의 의미로, `줄`은 `사실, 능력, 방법`, `바`는 `일이나 사실, 그리된 형편`의 의미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rphologic and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dependent noun(것, 줄, 바) focused on the 16th century korean. It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contents. A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dependent noun confirmed the constraints of the front and back element. `것, 줄` was combined with some elements of case marker, auxiliary marker, copula, suffix etc. However, `줄` was combound case marker, auxiliary marker, copula because `줄` is less free than the `것, 바`. A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dependent noun confirmed the predicate distribution and preceding elements constraints of `것, 줄, 바` and confirmed the sentence function of `것, 줄, 바` structure. because `것` is no restriction of the preceding element, It is possible to come `substantives, substantives+marker, substantives+ㅅ, unconjugation adjective, adnominal clause` and functioned as subject, object, adverb, predicate in sentense. A `줄, 바` is possible to come `-ㄴ, ㄹ`, but, only precedes adnomianl clause. and only seen a functioned example as subject, object. A semantic characteristics of dependent noun were grasped by considering the constraints relationship between a front elements and back elements. `것` was analyzed `possession, fact, things, conviction, correctness, conjecture`, and `줄` was analyzed `things, ability, method`, and `바` was analyzed `incident or thing`.

      • KCI등재후보

        러시아 부르주아지와 1917년 러시아혁명

        최대희(Choi Dae-Hee) 부산경남사학회 2005 역사와 경계 Vol.55 No.-

        The serf-entrepreneurs are one of Russia's most interesting phenomena. From their ranks rose the leading industrial dynasties of the textile sector in the Moscow area. Bad were their relations with those entrepreneurs whose main base of operations was in St. Petersburg. The latter ones were active in heavy industry and in banking, and their members were recruited mainly from the civil service or from banking. This had political consequences as well: the heavy industry received state subsidies while the textile industry was much less favored. The owners of textile mills therefore clamored for changes in the national economic policy. They insisted that consumer demand be encouraged and the regime be liberalized. The greater part of these owners did not see themselves as an anti-autocratic opposition. <br/> The developments in the Russian bourgeoisie after the 1905 Revolution indicate that the individual sections and lobbies came into closer contact, despite these continuing conflicts. The “Moscow” entrepreneurs gradually infiltrated the traditional provinces of the “Petersburg” entrepreneurs. The tendency toward economic homogeneity can be noticed from the World War I. But an economic homogeneity did not necessarily mean a political homogeneity. The “Moscow” bourgeoisie still belonged to the hard core of liberal opposition and formed the Progressive Bloc in 1915. As the tsarist government showed in 1915 the greatest weakness since 1905, the “Moscow” and “Petersburg” bourgeoisie could not be reconciled and agree on a common concept. Especially opinions on the Worker-Group in the War-Industries Committees remained to differ. Petersburg bourgeoisie was afraid particularly that a weakening of the government might cause a revolution from below and that it would destroy not only the autocratic state but also himself. As a result, the Russian bourgeoisie could not prove itself an alternative power for the collapsing state.

      • KCI등재

        중세국어 어찌말 매인이름씨 연구

        최대희 ( Choi Dae-hee ) 한말연구학회 2017 한말연구 Vol.- No.4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rpholog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adverbial dependent noun in Middle Korean. The resul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set up the list of adverbial dependent noun in Middle Korean. The list setting is listed in the existing study which first classified dependent nouns by function. And then, were verified a dependent nouns functioning mainly as adjectives in this list. Secondly, consider that the morpholog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adverbial dependent nouns are related to the changes, and examine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adverbial dependent nouns. The adverbial dependent nouns showed that the more the morphologic and syntactic constraints, the higher the degree of change. From the middle to modern times, the adverbial dependent noun had many changes, such as binding constraints, integration constraints, extinction and creation of forms, as compared to the two types of dependent noun. In order to discuss the pattern of this change, have examined morpholog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adverbial dependent noun. However, the debate on the cause of the transition has not been made in depth. Future discussions will go in the direction of complementing this point.

      • KCI등재

        빠져나간 매김마디의 형태·통어론적 특성 연구

        최대희(Choi, Dae-He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5

        이 글은 빠져나간 매김마디의 형태·통어론적 특성을 17세기 문헌을 대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매김마디의 풀이말’과 ‘머리어(head noun)’의 관계를 바탕으로 매김마디를 분류하였고, 매김마디의 형태론적 특성과 기능을 논의하였으며, 빠져나간 매김마디를 대상으로 매김마디(안긴마디)의 통어적 제약 관계를 살펴보았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매김마디의 풀이말’과 ‘머리어(head noun)’의 관계를 바탕으로 빠져나간 매김마디와 완전한 매김마디로 분류하였다. 빠져나간 매김마디는 매김마디의 한 월성분이 머리어(head noun)로 빠져나가는 매김마디인데, 임자말, 부림말, 위치말, 방편말, 견줌말이 빠져나간다. 완전한 매김마디는 매김마디의 월성분이 머리어(head noun)로 빠져나가지 않고, 완전한 월을 구성하는 매김마디이다. 다음으로, 매김마디의 형태론적 특성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ㄴ 매김마디’ 풀이말에는 ‘확정법, 현실법, 회상법, 완결법’의 때매김법과 ‘주체높임법, 객체높임법’의 높임법 문법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ㄹ 매김마디’ 풀이말에는 ‘미정법, 완결미정법’의 때매김법과 ‘주체높임법’의 높임법 문법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ㄴ/ㄹ 매김마디’ 모두 머리어를 꾸며주는 매김말의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빠져나간 매김마디를 대상으로 매김마디(안긴마디)의 통어적 제약 관계를 살펴보았다. ‘ㄴ 매김마디’와 ‘ㄹ 매김마디’의 빠져나간 월성분에 따른, 매김마디의 풀이말의 씨범주는 대체로 같거나,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두 매김마디가 차이를 보이는 부분은 임자말이 빠져나가는 경우의 매김마디의 씨범주 제약이었고, 두 매김마디 모두 견줌말이 빠져나가는 경우는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 morphological and syntatactic characteristic of relative Adnominal Clauses. Summary of the contents is as follow. First,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nominal"s predicate and head noun, were classified relative adnominal clauses and supplement adnominal clauses. Next, the grammatical information constraints in ‘-n adnominl clauses’ include a tense(present, recollection, perfect, decision) and a honorific(subject, object), ‘-l adnominl clauses’ have a tense (undecided, perfect-undecided) and a honorific(subject, objict). Finally, focus on a relative adnominal clauses, examined a syntactic constraints of adnominal clauses. In accordance with missing sentence constituents in the adnominal clauses, a predicate’ speech of the adnominal were appear similar or equal.

      • KCI등재

        독일 무슬림 이주여성에 대한 폭력 논의

        최대희(Choi Dae hee)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9 No.-

        독일의 이주여성 폭력을 둘러싼 논의에서 ‘서구 대 이슬람’, ‘민주주의 대 전(前)민주주의’, ‘인권 대 폭력’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담론적 할당이 수행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방적 할당이 허용될 수 없으며 독일에 거주하는 토착 독일여성과 이주배경을 가진 여성의 현실에 적합한 묘사가 아니라는 점에서 출발한다. 독일 이주여성 폭력 관련 데이터의 경험적 분석은 “터키 출신 여성의 다수는 극단적 전통적인 및 폭력적인 파트너관계에서 살고 있지도 않고, 독일 출신 여성의 다수가 폭력으로부터 벗어난, 동등한 역할분담의 근대적 파트너관계에서 살고 있지도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주여성들이 고강도의 폭력에 노출되는 것은 그녀들이 무슬림이기 때문이 아니라, 언어능력 부족, 교육 결핍과 같은 그들의 사회적 상황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적 요소들을 도외시 하고 폭력과 양성평등 문제를 일방적으로 ‘이슬람’ 문화에게 할당하는 이른바 폭력의 ‘문화화’는 독일 다수사회에서의 가정폭력과 양성평등 결손의 문제를 비가시화 하는 결과를 낳는다. 사회적 차이를 종교적 차이로 치환하는 이슬람비판가들의 ‘문화화’ 논지는 정치적 차이를 종교적 차이로 설명하는 급진적 이슬람주의자의 논지를 닮아 있다. In recent discussions on violence against migrant women, the prevailing discourse focused on the axis of “the West vs. Islam,” “democracy vs. pre-democracy,” “human rights vs. violence.” This paper starts from the premise that such polarization and generalizations do not describe adequately the reality of women with migration background in Germany.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data on violence against migrant women clearly demonstrates that the majority of women of Turkish origin do not live in traditional and extremely violent partner relationships. Migrant women are exposed to violence not primarily because they are Muslims, rather because their social circumstances such as lack of language ability or education. If such social factors would be disregarded and the problem of violence and gender inequality would be attributed to only “Islamic” culture, then the problem of domestic violence and lack of gender inequality in German majority society could be made invisible. This “culturalization” arguments replacing the social difference by the religious one closely resemble the arguments of the Muslim-fundamentalists explaining the political difference by the religious on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