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기부상 고속 운행체의 공력특성 해석 및 공기부상 시스템 성능해석

        최나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ACT Analysis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n Air Levitated High Speed Vehicle and Performance Analysis of the Levitation System Choi Na Ri Department of Aerosapce EngineeringThe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In the interest of transport system satisfies energy efficiency, the closeness to environment and stability with technology for make up for the week point of present operated high speed train in the world, the Magnetically levitated train(MAGLEV) and the Air Levitated High Speed Vehicle has been studying and developing recently. Because levitated vehicle levitates over the track and travels at high speed, an aerodynamic study has to be performed. The aerodynamic study of train can be performed by several ways; real driving test, wind tunnel experiment and numerical analysis. Even though an accurate result can be earned by the real driving test, it is not proper to apply in the elementary designing step, because the production of a prototype of the vehicle has to be preceded. Thus wind tunnel experiment and numerical analysis methods are often used to predict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in its early stage. This study analysed performance of aerodynamic system of air levitated high speed vehicle using numerical analysis method. In this study, the proper channel of a train was proposed which has stability at high speed and lifting force, power and mass flow rate of compressed air was calculated. From these implementation, this study suggests air levitation system that maximizes the lifting force and analyzed system, operation variable and aerodynamic characteristic of a vehicle at high speed and also introduced lifting shoes which is a new air cushion system.

      • 창업자 특성에 따른 사업기회 발견에 관한 연구

        최나리 慶南科學技術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ounder having knowledge on detecting firn opportunity and analyzed how the founder detects such opportunity using what process. I used people who have found and established a company on own as a surver sample. SPSS V.18.0 program was used for the computerized analysis. The result is like the following. First, It's found that most founders had business motivation before the establishment and used skills and knowhow from related area of business for their business establishment that led to the comparably safe business. Second, founders were highly motivated in advance of business establishment and it is found that their chance of establishment was not from the coincidence. Third, it is also found that people who had pre-education on business establishment was very on purpose and those who had not had any education had a high chance of coincidence in the establishment. Fourth, it is found that higher the desire for the business achievement, more likely that the founder's business establishment was on plan. Fifth, it is found that higher the awareness of business opportunity and vision, more likely that the founder's business establishment was on plan.

      • 추상미술의 구조적 특성을 응용한 금속 조형 연구 : 결합 구조를 중심으로

        최나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형태는 우리들 주변에 늘 있고, 우리는 어려서부터 그 형태를 보아오면서 자란다. 그리고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유아시절부터 조형활동을 한다. 조형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형태를 어떻게 지각하고 표현하느냐에 따라 표현 수단이 달라지게 되며, 형태는 예술가의 심상을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현대 미술에서는 장르의 와해와 함께 추상적인 형태를 취하는 경향이 강하며, 추상미술은 기하학적인 형태를 기본으로 하여 발전되어 왔다. 추상미술은 일반적으로 눈에 보이는 현실의 사물을 묘사의 대상으로 하지 않는 주관적 순수 구성을 표시하는 미술이며, 추상이라는 관념은 큐비즘에서 체계화되어 절대주의, 데 스틸을 거쳐 미니멀리즘에 이르기까지 미술뿐만 아니라 전 예술분야에 영향을 주었다. 기하학적 추상미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하학적 형태를 구성하는 조형요소의 본질과 내재적 가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조형요소를 선·면·입체의 경우로 나누어 형태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해 봄으로써 한 걸음 더 기하학적 추상으로의 접근을 시도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작품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형요소의 구성 방법을 통해 그 결합 구조를 응용하여 금속으로 형상화하였으며, 조형의 기본 요소인 선·면·입체를 이용하여 기하학적인 구조로 작업하였다. 이러한 구조를 이루기 위해 퍼즐이나 블록 쌓기와 같이 조립이 가능한 장난감을 모티브로 하여 작업을 하였으며, 작업 방법으로는 수직·수평 구조를 이용한 공간구성, 단위형태를 이용한 결합·끼우기 구조, 그리고 육면체의 분할을 통한 조합의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단위형태간의 접합 부분은 요철과 자석을 이용하여 합체와 분리가 가능하게 하여 가변성이 있는 조형 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관람자가 직접 조립해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주로 사용한 재료는 92.5%5 은(92.5% Silver)과 동(Copper), 황동(Brass), 우레탄 튜브(Urethane Tube), 아크릴수지(Acrylic Resin)이며, 주된 표현기법으로는 각(角)접기(Scoring)와 땜(Soldering), 콜드 조인트(Cold Joint)를 이용하여 기하학적인 절제된 형태를 얻을 수 있었다. 이렇듯 조형요소의 본질을 파악하여 그 요소들의 결합 방법을 이용하여 조립이 가능한 형태를 만들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관람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작품이 될 수 있었으며, 본인의 앞으로의 작업 방향에도 밑바탕이 되어 금속공예의 조형적인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 Shapes are everywhere around us. Growing up surrounded by shapes, we naturally become engaged in shaping activities from our young years - with or without consciousness. In the shaping activities, how you recognize and express certain shapes determines the method of expression, and shape is an important element for an artist to express his/her mental image in sophisticated detail. Modern art shows strong tendencies for abstractness and blurring of genres. Abstract art, which has developed on geometric shapes, is about expressing subjective and pure structures rather than describing visible and realistic objects. The concept of abstractness itself originated from cubism and influenced all sectors of art ranging from absolutism to de Stijl and to minimalism. Understanding essence and intrinsic values of shape factors that form geometric shapes is the most essential for understanding geometric abstract art. In the same sense, studying formation of shapes with elements of line, face, and body will bring us a step closer to better understanding geometric abstractness. This paper, in this regard, materialized the application of joint structures of the aforementioned formation of shapes using metal. It further focused on geometric structures, using the basic elements of shape line, face, and body. In search of such structures, assemblage toys, i.e. puzzles and block building, were used as motif, while horizontal & vertical structuring, unit combination & fixing structuring, and hexahedral division structuring were mainly used. In addition, concavo-convex blocks and magnet were used at joints of unit shapes for alterability of shape structures (enabling separation and combination), which offers visitors a chance to actually assemble the shape and better appreciate the work. Major materials used are silver (92.5%), copper, brass, urethane tube, and acrylic resin. As for expression methods, scoring, soldering, and cold joints were mainly used to express a sense of moderation of geometric shapes. This study introduce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shape elements and using their combination styles to assemble shapes, which invites visitors to directly participate in appreciation of the work. I sincerely wish that this study provides a firm basis for my future career of work, seeking possibilities for formative art in metal craft.

      • 긍정심리기반 치료적 노래중심 활동이 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최나리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긍정심리기반 치료적 노래중심 활동이 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K구와 Y구의 사회복귀시설의 정신장애인 60명이었다. 이 중 30명은 실험집단이고, 나머지 30명은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치되었다. 긍정심리기반 치료적 노래중심 활동은 회기 당 80분씩 총 10회기 동안 시행되었으며 참여자들은 사전-사후 검사를 위해 프로그램 시행 전에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척도지를 작성하였고 10회기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같은 방법으로 척도지를 작성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 for windows 21 프로그램의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p< .05).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행복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p< .05). 따라서 긍정심리기반 치료적 노래중심 활동이 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ong-focused therapeutic activity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on self-esteem and feeling of happiness of mentally disabled people. An object of this study is sixty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resided in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 of K-gu and Y-gu, Seoul. Thirty people of them wer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were control group who were random assignment. The song-focused therapeutic activity which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was implemented ten times that was eighty minutes in each sess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pretest and posttest,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as to the self-esteem and feeling of happiness before implementing the program and to complete the same questionnaire again. For analysis of data, independent T-test of SPSS for windows 21 program was used. The result showed that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therapeutic song-oriented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increased meaningfully than control group (p< .05). Furthermore feeling of happi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took part in the program grew meaningfully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p< .05). As a result, the song-focused therapeutic activity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has a positive effect to self-esteem and feeling of happiness of mentally disabled people.

      • 기업 브랜드 개성과 제품 브랜드 개성 일치성이 기업 브랜드 충성도와 제품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최나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대부분의 기업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기업 브랜드와 제품 브랜드를 소비자에게 커뮤니케이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속에서 기업 브랜드 개성과 제품 브랜드 개성이 일치할수록 소비자의 브랜드 충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위해 2회의 사전조사 후, 10~50대 남녀 476명으로부터 기업 브랜드 개성과 제품 브랜드 개성의 일치성이 기업 브랜드 충성도와 제품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 따른 실증분석 결과 첫째, 기업 브랜드 개성과 제품 브랜드 개성이 일치할수록 기업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브랜드 개성의 일치성은 기업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기업 브랜드 개성과 제품 브랜드 개성의 일치성은 제품 브랜드 충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 브랜드 충성도는 제품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기업 브랜드 충성도와 제품 브랜드 충성도를 강화함에 있어 기업 브랜드 개성과 제품 브랜드 개성이 꼭 일치할 필요는 없음을 시사한다. 이는 기업 브랜드 개성과 제품 브랜드 개성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나 요구가 상이함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기업 브랜드 충성도는 제품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므로 기업 브랜드와 제품 브랜드를 별도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보다는 기업 브랜드와 제품 브랜드의 보증관계를 적절하게 강화한 커뮤니케이션이 효과적인 마케팅 활동을 위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effect of brand personality congruence (between corporate brand and product brand) on corporate brand loyalty and product brand loyalty Choi, Nari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Corporate brand and product brand communication are widely used marketing tools for almost every company in these d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research that the congruence between corporate brand personality and product brand personality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customers’ brand loyalty. To verify the hypothesis, it was conducted that the survey about relationship between brand personality congruence and loyalty to corporate brand and product brand after two pre-studies. Total participants of the survey are 476 men and women, from the teens to the fifties.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test a series of hypothesis.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not supported that brand personality congruence between corporate brand and product brand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corporate brand loyalty. Second, it is not supported that brand personality congruence between corporate brand and product brand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duct brand loyalty. Lastly, it is supported that corporate brand loyalty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duct brand loya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rand personality congruence between corporate brand and product brand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strengthen corporate brand loyalty and product brand loyalty. It means that customers’ expectation and needs on corporate brand personality would be different from product brand personal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sider brand endorsement of corporate brand and product brand in customer communication than separate communication of corporate brand and product brand since it is identified that corporate brand loyalt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duct brand loyalty. Keyword : Brand Personality, Congruence, Corporate Brand Loyalty, Product Brand Loyalty

      • 문헌정보학 분야 지식경영의 계량서지학적 접근

        최나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erm of Knowledge Management which was first used by a European management conference with a theme of management of knowledge( perspectives of a new opportunity) in 1986 appeared to obtain the maximum effect of knowledge accumulated for business management. Then, it has become a main key word which is diversly applied for practical studies as well as business. However, a library is a field of producing and using knowledge contents based on knowledge management, and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has established its academic area and theoretical base as a science closely related to social atmospher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quantitatively analyse the current status of studies on knowledge management as a main key word of the 21st century in academic atmosphere, and based on the result, to develop a knowledge management road map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r the purposes, this research analysed research papers on knowledge management using KnowledgeMatrix, a software of Scientometrics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targeting five journals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Information Management Research,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Society, Korea Library·Journal of Information Society, Journal of KLISS, and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research on knowledge management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using KnowledgeMatrix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appeared first in the five journa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1990, which was a 'knowledge expression in a knowledge-based system' presented by Jeong, Yong-Mi, a researcher of Yonsei University in the journal of KLISS. Research on knowledge management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since 1998 and 20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in 2002. It is annually consistent until June 30, 2012, but is gradually decreasing. Second, the number of authors of research papers to be analysed were 121 regardless of main authors or co-authors, and 41 papers were published in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Society followed by 22 in Korea Library·Journal of Information Society and Journal of KLISS, 17 in Information Management Research and 14 in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ird, the networks of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er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re line-type, round-type, mesh-type and complex-type. Fourth, central researchers in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were Chang, Woo-Kwon, Kim Hyon-Hee, No, Jeong-Ran, Kim Seong-Hee, Lee, Hong-Jae and Choi, Hee-Yun who corresponded to 5% of top researchers, and their research networks were complex-type and line-type. Fifth, the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ers belonged to 62 institutes, 18 had no networks and 14 had line-type network research conducted. 30 institutes remaine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had complex-type network research conducted. Sixth, central institutes of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were Jungang University, Myongji University and KISTI which were ranked 5% of top institutes in our country based on the number of institutes whose authors were confirmed. Seventh, the number of key words to be analysed in this study were a total of 407. 23 appeared more than three times and 22 were connected in a network. Eighth, central key words of the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were ‘knowledge management,’ ‘knowledge management system,’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high concentration and density and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developed a knowledge management road map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986년 유럽경영컨퍼런스가 ‘지식경영: 새로운 기회의 전망(management of knowledge: perspectives of a new opportunity)’을 주제로 채택하면서 처음 사용되기 시작한 ‘지식경영’이라는 용어는 축적된 지식을 기업의 경영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최대의 효과를 얻고자 등장하였다. 그리고 반세기도 지나지 않아 기업에서부터 실용학문까지 다양하게 응용되는 주요 키워드로 자리하였다. 한편 도서관은 지식경영을 기반으로 한 지식콘텐츠의 생산과 활용의 장이며 이를 연구하는 사회현장과 밀접한 학문인 문헌정보학은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지속하며 독자적인 학문으로서의 연구영역과 이론을 형성해 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의 학문과 현장에서 21세기의 주요 키워드인 지식경영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계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문헌정보학 지식경영로드맵을 구축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정보학 분야 5개 학술지(정보관리연구, 정보관리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를 대상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개발한 계량정보분석 소프트웨어인 KnowledgeMatrix 를 이용하여 지식경영 관련 연구 논문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KnowledgeMatrix를 이용하여 문헌정보학 분야 지식경영 연구를 계량서지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정보학 분야 5개 학술지에 처음 지식경영 관련 연구가 등장한 것은 1990년으로 한국 정보관리학회지에 발표한 연세대학교 정영미 연구자의 ‘문헌정보학 영역 지식기반시스템에서의 지식표현’이다. 이후 1998년부터 다시 지식경영 연구가 나타나 꾸준한 연구가 지속되면서 2002년에는 20건의 가장 많은 연구가 발표되었다. 2012년 6월 30일까지의 연도별 연구 추이는 지속적이나 점차 줄어들고 있다. 둘째, 분석 대상 논문의 저자는 주저자와 공동저자를 구분하지 않고 카운트하였을 때 121명으로 집계되었으며 학회지 논문 발표는 정보관리학회지가 41편으로 가장 많았고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와 한국문헌정보학회지가 22편으로 뒤를 이었으며 정보관리연구 17편,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4편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헌정보학 분야 지식경영 연구자 네트워크는 라인형, 원형, 메시형 그리고 위 세 유형이 복합적으로 연결된 복합형 네트워크로 나타났다. 넷째, 문헌정보학 분야 지식경영 연구의 핵심 연구자는 논문 발표 수를 기준으로 상위 5%에 해당하는 장우권, 김현희, 노정란, 김성희, 이홍재, 최희윤으로 이들의 연구 네트워크는 복합형과 라인형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문헌정보학 분야 지식경영 연구의 연구자 소속기관은 62곳이었으며 네트워크가 없이 단독 소속기관으로 나타난 곳이 18곳, 라인형 네트워크 연구가 진행된 소속기관이 14곳 이었다. 나머지 30곳은 세 그룹으로 나누어져 복합형 네트워크 연구를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문헌정보학 분야 지식경영 연구의 핵심 소속기관은 저자가 확인된 기관의 수를 기준으로 상위 5%에 해당하는 중앙대학교, 명지대학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다. 일곱째, 이 연구에 나타난 분석 대상 키워드는 총 407개이다. 3회 이상 출현한 키워드는 23개였으며 그 중 22개의 키워드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있었다. 여덟째, 문헌정보학 분야 지식경영 연구의 핵심키워드는 중심도와 밀도가 높은 4개의 키워드로 ‘지식경영’, ‘지식경영시스템’, ‘지식공유’, ‘지식관리시스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문헌정보학 지식경영 로드맵을 구축하였다.

      • 욕망의 탈영토화와 ‘되기’의 여성 주체성 탐색 : - 연구작품 ‘주이상스-에로스’ 연작을 중심으로 -

        최나리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우선, 2008년에 등장한 특정 캐릭터, ‘마토’와 ‘마요’를 중심으로 진행해온 ‘주이상스-에로스’ 연작에 주목한다. 다음, 어떻게 이 연작을 통해 그동안 연구자가 지향해온 욕망의 ‘탈영토화’와 ‘여성-되기’의 주체성이 실현 가능한지를 다각도로 탐구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철학적인 문헌조사와 예술작품 그리고 다른 여러 사례를 거론한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기존의 욕망 이론이 어떻게 욕망을 이해했으며 나아가 어떻게 욕망의 여성적 주체성 발현을 제약했는지를 고찰한다. 그리고 그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서 데리다의 ‘무조건적 환대’, 라캉의 ‘주이상스’ 그리고 바타이유의 ‘에로티즘’을 거론하며 궁극적으로는 ‘욕망의 탈영토화’에 주목한다. 결국, 다양한 관점으로 욕망의 주체와 조건, 구조와 작동 방식 등을 고찰함으로써 전통적인 욕망론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새로운 욕망론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둘째, 연구자의 ‘주이상스-에로스’ 연작을 통해 앞에서 거론한 문헌조사가 어떻게 자신의 가치관에 영향을 미쳤으며 어떻게 이를 작품으로 시각화했는지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현대사회에 대한 동경과 비판, 구체적인 성별의 화합과 갈등 등, 천태만상 다양한 세상 풍경을 보여준다. 그리고 욕망을 문제적이라기보다는 생산적으로 만들거나 그동안 억눌렸던 여성적 주체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립하는 등, 기왕이면 더 나은 세상을 향한 다양한 고민을 공유한다. 더불어 ‘여성적 주이상스’의 가능성에 주목하며 남성과 여성, 동물과 사물 등 생물학적인 한계를 넘어 다양체적 배치 속에서 언제라도 무언가가 되는 잠재적 가능성이 충만한 동시대 우리들의 진정한 유토피아를 꿈꾼다. 셋째, 연구자의 ‘주이상스-에로스’ 연작에 실제적으로 활용된 대표적인 조형 방법론을 구조화한다. 이를테면 ‘은유’의 언어로 캐릭터의 형상이나 자세, 화면의 색조나 선묘, 사물의 출현이나 동작의 이유를 설명한다. 그리고 ‘알레고리’적 접근으로 여러 상징적 요소와 사건적 의미를 다양한 서사로 풀어내는 방식을 설명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어떻게 자신의 관심사가 확장, 심화 그리고 연구 가능한지를 제시함으로써 지금까지의 ‘주이상스-에로스’ 연작의 발전 가능성을 타진한다. 결국, 이 논문은 보편적인 우리들의 욕망 그리고 특히 그동안 도외시된 여성적 욕망에 주목하며 어떻게 하면 보다 나은 세상을 스스로 꿈꾸고 함께 향유할 수 있는지 나름 오랜 기간 고민해온 현재의 결과물이다. 이를 위해 여러 문헌을 조사하며 그야말로 연구자의 고민이 모종의 시대적인 요청임을 체감하였다. 그리고 ‘탈영토화’와 ‘되기’ 그리고 ‘재배치’와 ‘주이상스’ 같은 중요한 인식의 전환점을 화두로 던지고 이를 분석하며 해석하는 기회를 가졌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관점은 하나의 방편적인 도구일 뿐, 굳이 다양한 의미화가 가능한 연구자의 작품세계를 한정적으로 제한할 이유는 없다. 결국 중요한 건 우리는 더 나은 세상을 바라며 ‘주이상스-에로스’ 연작은 그 노력의 일환이다. 그리고 이 연작은 앞으로도 계속된다.

      •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조절효과

        최나리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감사성향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확인하고, 감사성향이 양육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있어서 조절적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6세 유아의 어머니 604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이경숙, 정경미, 박진아와 김혜진(2008)이 표준화한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축약형 검사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감사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권선중, 김교헌과 이홍석(2006)이 번안하고 표준화한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해 조명한과 차경호(1998)이 번안하고 표준화한 삶의 만족도 척도와 이현희, 김은정과 이민규(2003)가 번안하고 타당화한 긍정정서와 부정정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스트레스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양육스트레스를 높게 경험할수록 주관적 안녕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부모의 고통, 부모-아동 역기능적 상호작용은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삶의 만족도, 긍정정서, 부정정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까다로운 아동은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부정정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감사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감사성향이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성향은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삶의 만족도, 긍정정서, 부정정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양육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양육스트레스의 하위 요인인 부모의 고통, 부모-아동 역기능적 상호작용, 까다로운 아동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삶의 만족도와 긍정정서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부모-아동 역기능적 상호작용은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부정정서의 관계에서만 감사성향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를 완충해주는 긍정적인 조절변인인 감사성향의 역할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gra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mothers. Participates were 604 mothers who has 4-6 olds children in Seoul and Gyeonggi-do. The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in this research is as follows. In order to measure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K-PSI-SF) was used, and in order to measure the gratitude of mothers, Korean version of Gratitude Questionnaire-6(K-GQ-6) was used. And in order to measure the subjective wellness of mother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The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ale(PANAS) wer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ollows : First, the effect of parental distress and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sub factors of parenting stress, on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affect, sub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was significant. Hence, difficult child, sub factor of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affected on life satisfaction,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ub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Second, gratitude was significantly affected on parental distress,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difficult child, sub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gratitude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distress,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and difficult child, sub factors of parenting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affect, sub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was significantly moderated. Next, for the relation of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sub factor of parenting stress and negative affect, sub factor of subjective well-being, moderating effects of gratitude was significantly moderated.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ratitude that is buffering between two variables.

      • 자살관련 요인 연구에서의 시계열 분석 적용

        최나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상황이 더욱 악화되고 있어 심각한 사회현상으로 대두된 지 오래이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이 자살의 위험인자에 대하여 많은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해결방안 모색에도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수많은 연구의 진행에 있어 적절한 통계분석의 활용이 중요하다 생각된다. 본 연구는 자살관련요인 연구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분석방법을 소개하고 실제 자료에 적용하고자한다. 방법 : 본 연구는 자살관련요인 중 고도, 베르테르효과, 계절성에 대하여 분석할 경우, 적절한 통계적 분석방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고도와 자살률의 관련성에 대하여 분석할 때, 일반적으로 연령구조가 사망률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인구정보를 이용하여 직접표준화한 자살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명인의 자살효과에 대하여 분석할 경우, SARIMA모형을 이용하여 모형을 식별한 후 개입모형을 구축하여 최종모형을 얻는다. 최종모형에서 개입효과의 추정치로부터 유명인 자살의 영향을 판단한다. 자살의 계절성에 대하여 분석할 경우, AUTOREG procedure를 이용한 Yule-Walker 추정법으로 가변수로 정의된 각 달을 독립변수로 고려한 시계열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 고도와 보정된 자살률의 상관분석 결과, 우리나라 전체의 자살률과 고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광역시에서 고도와 자살률의 상관관계가 없었다. 유명인 3명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베르테르 효과의 유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모두 계절효과와 추세가 존재하였으나 각각 선택된 모형이 달랐으며 각 유명인 자살이 미치는 효과 또한 달랐다. 우리나라의 지난 19년 동안의 월별 자살률은 매년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겨울의 자살률은 낮으며 자살률이 5월까지 점차 증가하여 그 이후 다시 감소하였다. 결론 :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고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유명인의 자살이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개인별로 달랐으며, 그 효과의 강도 뿐 아니라 영향의 패턴도 다양했다.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5월에 가장 높았다. 또한 자살률이 겨울에 낮고, 늦봄과 초여름에 높았으며 이는 이전 외국의 여러 연구와 다르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