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쇄기계의 건조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최규출(Kyu-Chool Choi),이재효(Jai-Hyo Lee) 대한설비공학회 2006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6 No.11

        The heat flow supplied to Drier of Printing Machine have great effect on the Drying Factor. A great deal of heat flow needs to be supplied to raise the Drying factor, but this would drop economic effect by spending much energy. To minimize the energy consumption, Slotting of supply nozzle shape is recommended. This could increase heat transfer and improve 20 % of drying factor.

      • 텔레스코픽 하향식 비상탈출장치 개발

        최규출(Kyu Chool Choi),나판주(Pan Ju Ra)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도시 고층건축물 증가로 높은 시설물에서 재난 발생 시 수직 방향 피난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소방관련법은 11층 이상 높이에서는 피난 기구 설치를 제외하고 있어 더욱 피난에 어려움이 생긴다. 우리나라 건축물의 경우 중앙에 코어부가 설치되는 사례가 많아 양 끝단에 있는 거실에서 중앙 코어부까지의 거리가 멀어 지면서 데드 앤드(dead end) 거리도 길어져 복도에 연기가 차는 경우 양방향 피난을 기대할 수 없다. 이처럼 양방향 피난이 어려운 경우 필수적으로 필요한 피난 기구가 화재 층 아래로 바로 피난이 가능한 승강식 피난 기구나 하향구 내림식사다리이다. 승강식피난기는 장애인 등 안전취약계층까지도 피난이 가능한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피난 기구로 효용성이 더욱 뛰어나다. 이러한 승강식피난기는 추나 태엽과 같은 탄성에너지를 이용하여 복귀에너지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기존 승강식피난기에 사용되는 고정된 기둥 대신 텔레스코픽 왕복운동 장치를 사용하여 승강판을 지지하는 방식의 기술로 설치공간을 차지하는 기둥을 제거하여 공간적 편리함을 극대화한 피난 기구를 개발하는 연구이다. 피난 기구의 구성은 텔레스코픽, 승강대피부, 원심브레이크, 비상제어장치 등을 갖추어 최고 사용 하중 150킬로그램 까지 사용 가능토록 개발한다. 개발과정은 기본 설계 후 부품가공과 시작품 조립과정을 거처, 성능시험으로 마무리하게 된다. 성능 기준은 소방청 승강식피난기 기술기준에 따라 시험을 시행하여 합격하는 조건으로 개발된다.

      • KCI등재후보

        위험물질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재난관리 개선방안

        최규출(Kyu Chool Choi) 한국위험물학회 2014 한국위험물학회지 Vol.2 No.1

        Spills of hazardous material accrued recently cause serious social problems by killing people and damaging the place where people live. In addition, it is hard to notice that a factory in the local area is using certain hazardous material. Thus, this paper describes the improvement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the development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 information network, and information sharing between governments to minimize the damage.

      • 산림화재 진화의 효율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최규출(Choi, Kyu-Chool),윤순만(Youn, Soon-Man)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추계

        우리나라에서는 산림화재가 발생하면 산림청이 주관하여 지방자치단체와 산림청 지방기관의 직원들을 동원하여 통합진압대를 구성하여 산불진화활동에 나선다. 이 때 산림청은 산불진화에 있어 통합지휘권을 갖고 산불현장에 출동한 지자체 소속 공무원이나 산불감시요원 및 각종 진압요원, 출동한 소방공무원 등을 현장 지휘하는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경기도 양평군에서 최근 5년 동안 발생했던 산불을 추적하여 산불의 발생에서 진압까지전 과정을 분석하였다. 일선에서 산불이 발생하면 주민들은 일상적으로 소방관서에 신고하고 있으며, 신고를 접한 소방관서는 즉각 출동하여 진화하고 마지막 잔불정리까지를 소방관서가 담당하고 있다. 소방관서에는 산불진화를 위한 예산지원이나 인력지원은 전무한 상태의 구조로 되어 있는 현재의 산불진화체계는 여러 문제점으로 인하여 산불의 효율적인 진화가 어렵고, 산불 발생 시 산불확대로 피해를 키우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러한 산불진화체계의 제도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여 산불진화의 최적화를 위한 개선책을 제시한다.

      • 옥내소화전의 방수압 실측에 의한 실태조사 연구

        최규출(Choi, Kyu-Chool),정상(Jeong, Sa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춘계

        건축물 실내에서의 화재발생 시 초기 소화설비로 시설하고 있는 옥내소화전은 초기화재 진압용으로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시설되어 있는 옥내소화전 시설이 국가화재안전기준(NFSC)에서 규정하고 있는 일정 방수압을 유지하여야 화재발생 시 소화설비로서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대부분의 건축물에 설치되어 있는 옥내소화전의 방수압을 실측하여 본 결과 건물내에 설치된 소화전의 방수압이 국가화재안전기준에서 제시하는 기준치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매우 바람직한 현상으로 정기적인 소방검사에 따른 소방시설 유지관리의 결과로 보여진다. 앞으로도 소방시설물에 대한 TAB를 통하여 화재진압시설의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안전관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A indoor hydrant proportioner that is installed as fire extinction equipment when a fire breaks out in a building plays a vital role for a fire extinction at an early stage. The indoor waterproof hydrant proportioner installed currently can function in case of fire as fire extinction equipment only when it can maintain proper waterproof pressure meeting the standards stipulated in NFSC.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waterproof pressure of the indoor hydrant proportioner installed in most buildings showed that the waterproof pressure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s was higher than the agreed level suggested by NFSC, which is very desirable state and is regarded as the results of fire facilities being maintained and managed by regular fire inspections. It is thought that the safety management of fire extinction facilities should be kept up both regularly and steadily through TAB.

      • KCI등재후보

        휠체어 동반 무동력 비상탈출장치 개발

        최규출(Kyu Chool Choi),나판주(Pan Ju Ra),배한얼(Han Eol Bae) 한국위험물학회 2021 한국위험물학회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ertical evacuation mechanism that enables disabled persons using wheelchairs to escape from the disaster site while in a wheelchair when they need emergency evacuation. Since the elevator cannot be used at the disaster site due to a power outage, a non-motorized vertical evacuation mechanism is required. This research and development product is a vertical evacuation mechanism in which a user in an electric wheelchair with a weight of 150 kg or more descends one floor at a time by connecting an elevator carrier to two pillars. Since the weight of wheelchair users is different, it was developed to operate at the speed of ascent and descent in the range of 40~130 cm/sec depending on the user"s weight. It is a non-motorized evacuation device that minimizes the evacuation time by taking less than 10 seconds to evacuate one floor.

      • 사회복지시설 화재안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최규출(Choi, Kyu-Chool),이기배(Lee, Ki-Bae)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추계

        사회복지시설 화재사례 분석과 국내외 화재시 피난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현행 소방관련법으로 설치된 소방시설은 충분하다고 판단되었으며, 향후 개선되거나 보완하여야 할 조치로는 복지시설 이용자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피난시설과 경보시설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별 특성에 맞는 경보시설의 설치를 제안하였고, 사회시설 건축시 내연재료 사용과 방염처리를 통한 원천적인 화재안전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 비상탈출용 대피트랩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최규출(Choi, Kyu-Chool),나판주(Ra, Pan-Ju)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춘계

        초고층 건축물의 급속한 증가는 건축물 화재 시 고층에서 보다 빨리 피난할 수 있는 구조적 피난설비를 요구한다. 기존의 구조용 완강기나 구조대는 고층에서는 피난자의 공포감을 충분히 해소하기에 역 부족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한 성능을 갖추어 동시에 다수의 피난자를 대피시킬 수 있는 새로운 피난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고층에서도 동시에 여러 사람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층까지 무사히 대피가 가능한 유압식 피난기구를 고안하고, 개략 설계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기초로 향후 상세설계를 마친 후 고층 건축물에 적용되어 안전한 피난기구가 되었으면 한다.

      • 소방방재분야의 안전도시 평가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최규출(Choi, Kyu-Chool)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춘계

        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이나 소방관련법에서는 재난으로 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책임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임무라 규정하고 있다. 복지선진국들은 안전도시 만들기를 최대목표로 여러가지 안전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실시되지 않고 있지만 지방자치단체가 국민들을 위해 어떠한 안전정책을 시행하고 있는지 평가하여 국민들에게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전도시를 평가할 수 있도록 건축물이나 시설물 부분을 중심으로 평가기준과 평가방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The basic law about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and the fire fighting law state that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s are responsible for protecting the life and assets of the people. The well-fare developed nations have developed and are implementing diverse safety programs with making safe cities as their prime objective. Our nation has not yet practiced such actions. However, it is in demand to evaluate what safety policies are practiced by local governments for the people and to inform the people of those. Therefore, this research developed and suggests the assessment criteria and the assessment method to evaluate the safety level of a city by assessing the safety of buildings and facilities.

      • 링크형 무동력 비상탈출장치 개발

        최규출(Kyu Chool Choi),나판주(Pan Ju Ra)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추계

        소방 관련법은 11층 이상에서는 피난 기구 설치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규정을 두고 있다, 최근 고층화 주거시설 증가로 11층 이상의 공동주택과 다중시설 등이 많아지고 있어 화재와 같은 재난으로부터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11층 이상에서도 사용 가능한 유용한 피난 기구가 필요하다. 건축 관련법은 공동주택에 대피공간을 설치하여 임시 피난처로 사용토록 하고 있으나 다중이용시설이나 오피스텔 같은 고층건축물에서는 피난대책이 없다. 화재 등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피난을 위해서 필요한 고층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피난 기구 개발이 다양한 각도 시도되고 있다, 숭강식 피난기도 그중 하나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개의 링크를 연결하여 하강 후 복귀에너지로 작용하는 승강식 피난 기구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로 개발하고자 하는 링크형 승강식 피난기는 피난 사용자가 승강판에 올라서면 사용자 하중으로 하강한 후 복귀에너지로 무게 추가 작동하여 링크에 힘을 가해 적은 중량의 추 무게로 승강판을 끌어 올리는 기술이다.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기구에 있어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에너지 선택이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가 추진하는 링크형 비상탈출장치는 짧은 스트로크를 갖는 링크의 기구적 운동력을 이용하여 하강한 승강판을 복귀시키는 기술로 다양한 리프팅 기구 개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설계의 기본 원칙으로 링크 이동 거리를 짧게 설계하고, 사용 개수를 많게 하여 적은 힘으로 긴 이동 거리를 움직이도록 설계하였다. 피난기구 구성은 승강판대피부, 승강판 가이드 레일, 속도조절장치, 비상제어장치 등으로 구성하였다. 국내에서 링크 관련 시제품이 없어 개발 기술 구현에 어려움이 있지만, 기술 연구가 성공하면 더욱 다양한 기구 개발을 기대할 수 있는 연구 분야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