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혈연중심의 유교 윤리와 진화심리학적 이타성

        채석용 ( Chae Seok Yong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0 초등도덕교육 Vol.0 No.67

        이 글은 다음 여섯 가지 내용을 담고 있다. 첫째, 혈연 선택론은 이타성의 근원을 혈연적 친밀도에서 구한다. 혈연 사이의 친밀도는 유전적 근연도라는 개념으로 계량화된다. 둘째, 집단 선택론은 이타성의 근원을 집단 단위의 선택에서 찾는다. 셋째, 혈연 선택론과 집단 선택론은 지금까지 치열하게 대립해오고 있지만, 이들의 화해와 종합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넷째, 유교 윤리는 혈연적 이타성을 근본으로 삼고 집단 이타성은 혈연적 이타성이 확대된 것이라 이해한다. 다섯째, 혈연적 이타성과 집단 이타성의 위계적 연속성을 주장하는 유교 윤리는 혈연 선택과 집단 선택의 상호 번역가능성 및 양립 가능성에 의해 효과적으로 설명될 여지가 있다. 여섯째, 유교 윤리에 의하면 혈연적 이타성과 집단 이타성이 충돌할 때 혈연적 이타성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혈연적 이타성보다 집단 이타성이 우선되어야 할 때도 있다. 그럴 때라 하더라도 혈연적 이타성의 본질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 This paper contains six topics: First, kin selection theory derives the origin of altruism from kinship intimacy. The intimacy between kin is quantified in terms of genetic relatedness. Second, group selection theory finds the origin of altruism in the selection of group units. Third, kin selection and group selection have been fiercely opposed, but their reconciliation and synthesis are not impossible. Fourth, Confucian ethics is based on kinetic altruism and understands that group altruism is an extension of kinetic altruism. Fifth, Confucian ethics insisting on the hierarchical continuity of kinetic altruism and group altruism can be effectively explained by the translatability and compatibility of kin selection and group selection. Sixth, according to Confucian ethics, when there is a conflict between kinetic altruism and group altruism, kinetic altruism should be considered first. However, sometimes group altruism should be given priority over kinetic altruism. Even then, the nature of kinetic altruism should not be undermined.

      • KCI등재

        유교의 공부론과 교양 철학수업의 방법

        채석용(Seok-yong Cha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1

        공자는 배움을 즐거운 과정이라 여겼다. 이러한 입장은 모든 유교의 공부론에 일관되게 적용된다. 이에 더해 주희는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왕수인은 실천을 강조했으며 최한기는 경험과 소통을 강조했다. 일련의 유교적 공부론은 소통과 협력, 창의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중시하는 현대의 공부론과 맥을 같이 한다. 토론 중심의 교양철학수업은 지식 중심의 철학수업과 달리 현대 교육에서 요구하는 이들 능력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과정이라고 평가된다. 활발한 토론을 통해 생동감 넘치는 교양철학수업을 이끌기 위해서는 구체적 전략이 필요하다. 총론에서는 다음의 아홉 가지 항목을 제시한다. 첫째, 학생에게 존대어를 사용하라. 둘째, 학생을 가르치려 하지 말라. 셋째, 교수자 스스로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 넷째, 플립 러닝 방식을 활용하라. 다섯째, 학생들의 모든 발언에 의미를 부여하라. 여섯째, 자신과 반대되는 입장을 옹호하도록 유도하라. 일곱째, 학생들로 하여금 편견을 부수도록 유도하라. 여덟째, 학생 스스로 생각하도록 이끌라. 아홉째, 지식의 가치를 무시하지 말도록 이끌라. 평가와 관련해서는 다음의 다섯 가지 항목을 제시한다. 첫째, 계량적 평가를 활용하라. 둘째, 협력활동을 증진시켜라. 셋째, 지식을 테스트하는 시험을 보지 말라. 넷째, 질문을 의무화해라. 다섯째, 에세이 형식으로 평가하라. 이러한 요소들을 반영한 교양철학수업은 유교적 공부의 현대적 형태라 할 수 있다. Confucius considered learning to be a pleasant process. This position is consistently applied to all Confucian theories of Learning. In addition, Zhu X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ading, Wang Shou-jen emphasized the practice, and Choi Han-ki emphasized the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A series of Confucian theories of Learning coincides with the theory of modernity that emphasize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Discussion-oriented liberal arts philosophy class is evaluated as a useful process to improve these skills required in modern education, unlike knowledge-based philosophy major class. Concrete strategies are needed to lead a lively liberal arts philosophy class through discussions. In general, the following nine items are presented. First, speak in the honorific forms in the class. Second, do not try to teach students. Third, the instructor must have confidence in himself. Fourth, use the flipped-learning method. Fifth, evaluate all the students comments as meaningful. Sixth, Lead students to defend their positions against themselves. Seventh, encourage students to break the prejudice. Eighth, lead students to think for themselves. Ninth, lead to not ignore the value of knowledge. The following five items are presented for evaluation. First, evaluate quantitative aspects. Second, promote cooperation. Third, do not try to test knowledge. Fourth, make a question mandatory. Fifth, evaluate in essay form. Liberal arts philosophy class reflecting these factors is a modern form of Confucian learning.

      • KCI등재

        맹자의 사단과 도덕 모듈성 가설

        채석용(Chae Seok-y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2

        이 글은 맹자가 제시한 사단/사덕의 조합을 도덕 모듈성(MMM)의 하나로 간주하고 이를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듈성(SIM)과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비교를 정당화하기 위해 몇 가지 주장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1) 도덕철학은 신경과학과 진화심리학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도덕심리학적 연구성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야 한다. (2) 도덕심리학 연구의 중요한 쟁점 가운데 하나인 도덕의 모듈성에 대한 논의는 도덕철학적으로 의의가 있다. (3) 도덕의 모듈성을 논하기 위해 모듈성 자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모듈성에 대한 일치된 합의는 없지만, 모듈성을 인정하는 측의 주장이 점차 더 많은 증거를 제시하는 추세이다. 검토 결과 가장 강력한 모듈성을 주장하는 SIM과 MMM을 비교함으로써 몇 가지 사실들이 드러났다. (1) 인/측은지심 모듈은 피해/배려 모듈에 대응된다. (2) 의/수오지심 모듈은 공정/상호성 및 순수/고귀 모듈에 대응된다. (3) 예/사양지심 모듈은 권위/존경 모듈에 대응된다. (4) SIM의 내집단/충성 모듈은 MMM 가운데 대응되는 모듈이 없다. 동중서가 맹자의 사덕 목록에 추가한 신(信)이 여기에 대응해 보인다. (5) 지/시비지심 모듈은 SIM 가운데 대응되는 모듈이 없다. SIM은 도덕적 판단과 행위 과정에서 직관이 주도적 역할을 하고 추론은 부수적 역할만 할 따름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SIM은 도덕적 추론을 모듈의 목록에서 제외한다. MMM은 이와 달리 도덕적 추론을 의미하는 지/시비지심을 목록에 포함한다. 이로 인해 MMM은 세 개의 도덕 정서 모듈과 하나의 도덕이성 모듈로 구성된다. 정서와 이성을 하나의 모듈성에 포함시킴으로써 MMM의 모듈성으로서의 타당성은 의심받는다. 그러나 인간의 도덕적 행위와 판단이 정서만으로 형성되지 않고, 정서만으로 형성되어서도 안 된다는 측면에서 보면 이러한 결함은 오히려 MMM의 실질적 가치를 드러내는 것일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consider the combination of four sprouts/four virtues presented by Mencius as one of the moral modularity (Mencian Moral Modularity: MMM) and compare it with Social Intuitionist Modularity (SIM). In order to justify this comparison, several arguments need to be reviewed first: (1) Moral philosophy should actively reflect the results of moral psychological research based on neuroscience and evolutionary psychology; (2) the discussion of moral modularity, one of the major issues of moral psychology research, is of moral philosophical significance; and (3) to discuss the modularity of moralit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modularity itself. Research indicates that there is no consensus on modularity but claims of modularity tend to provide more and more evidence. The review arrives at the following findings by comparing MMM with the strongest modularity, SIM: (1) The benevolence/heart of compassion module corresponds to the harm/care module; (2) the righteousness/heart of the shame/disgust module corresponds to the fairness/reciprocity module and the purity/sanctity module; (3) the proprietary/heart of deference module corresponds to the authority/respect module; (4) the ingroup/loyalty module of SIM doesn t have a corresponding module in MMM; and (5) the wisdom/heart of approval and disapproval module doesn t have a corresponding module in SIM. SIM argues that intuition plays a leading role in moral judgment and action, while reason plays only a minor role. Accordingly, SIM excludes moral reason from the list of modules. MMM, on the other hand, contains the wisdom/heart of approval and disapproval module, which implies moral reasoning. As a result, MMM consists of three moral emotion modules and one moral reason module. By including emotion and reason in one modularity, the validity of MMM as a modularity is questioned. However, considering human moral behavior and judgment are not formed only by emotions and they should not be formed by emotions alone, this deficiency may reveal the real value of MMM.

      • KCI등재

        유교의 근대성 및 탈근대성과 관련된 기존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동양철학연구』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채석용 ( Seok Yong Chae )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7 No.-

        유교를 근대성 및 탈근대성과 관련된 맥락에서 연구한 성과들은 네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유교의 근대성을 긍정하고 우리의 근대화 과정에 유교가 적극적 역할을 했다고 보는 입장이 있다. 이러한 입장은 유교와 근대성모두를 긍정하면서 그 둘을 연결 지어 설명한다. 둘째, 우리의 근대화 과정을 비판하는 입장이 있다. 이러한 입장은 유교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이러한 입장은 유교가 우리의 불행했던 근대화 과정과 무관한 영역에서 탈근대적 전망을 위해 잠시 몸을 숨기고 있었던 것이라고 암시한다. 반면 유교의 근대성 자체를 부정하는 입장은 적극적으로 그 탈근대적 성격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것이 유교에 대한 세 번째 입장이다. 유교의 탈근대적 성격은 현재 가장 빈번하게 제기되고 있다. 근래 이르러 탈근대 담론이 사상계 전반에 주된 흐름을 형성하게 되는 분위기와 보조를 맞추고 있는 셈이다. 마지막으로 유교의 탈근대적 전망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입장이다. 이러한 입장에 의하면 유교는 탈근대적 측면에서 도가 및 불가보다 그 연관성이 약하다. 이러한 입장은 유교에 내포된 강력한 인간주의적인 특징 때문에 유교의 탈근대적 전망을 긍정하기 힘들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다양한 주장들이 제기되어 왔다는 점에서 일단 사태는 긍정적이다. 근대와 탈근대 및 과학과 민주주의 등 이들 논의를 진행하면서 우리가 끌어들이고 있는 다양한 서구사상의 개념들에 대한 메타적 성찰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그 한계 또한 뚜렷하다. 이러한 한계는 서로 다른 주장을 제기하는 연구자들을 치열한 토론으로 이끌지 못하게 하는 주요한 이유가 된다. 서로 다른 메타적 근거에 기반을 두고 입장을 전개하고 있기에 이들 논의를 공통된 토론의 마당으로 이끄는 것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 또한 이처럼 메타적 반성과 토론이 부족하게 된 밑바탕에는 유교를 긍정적으로 보아야 한다는 일종의 정서적 책무가 도사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The existing study referring to modernity or post-modernity of confucianism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different standpoints. First, modernity of confucianism can be affirmed. By this point of view, confucianism is regarded as having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Confucianism and modernity are answered "yes" at the same time. An antipathy against theory of modernization-as-a-colony and a will to recover our tradition underlie this point of view. Second, The modernization of Korea can be criticized. This point of view doesn`t negate confucianism itself. It rather suggests confucianism has hided itself prospecting post-modern new era. On the contrary a standpoint which denies confucianism itself exhibits its post-modern characteristic. This is third point of view. Post-modern characteristic of confucianism is at issue. Fourth, post-modern prospect can be regarded as negative. This point of view asserts that confucianism is less related to the post-modernism than taoism and buddhism. Confucianistic humanism defies its post-modern prospect. Diverse standpoints are themselves favorable. But the current situation is not always positive. Our standpoints lack meta-study about modernity and post-modernity, science and democracy. This limitation obstructs vigorous debates. Emotional obligation that we should affirm confucianism as positive underlies lack of meta-study and debates.

      • KCI등재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에 의한 공맹 예론의 해석

        채석용(Chae Seok Yo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9 인간연구 Vol.0 No.38

        하이트(J. Haidt)의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Social Intuitionist Model)에 의하면 인간의 도덕적 판단과정에서 전략적 추론은 직관보다 뒤늦게 작용한다. 우리는 먼저 직관적으로 도덕 판단을 내린 이후 전략적 추론작업을 수행한다. 서구 윤리학에 의하면 인간의 내면적 도덕성은 사회적 규범과 구분되는 것이다. 도덕은 보편적이지만 규범은 상대적이다. 도덕적 보편성은 합리적 이성에 의해 도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하이트의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에 의하면 이러한 구분은 착각이다. 인간의 도덕감과 사회적 규범은 서구 사회에서조차 결코 구분되는 것이 아니었다. 인간은 직관에 의해 도덕적 판단을 내리고 이러한 판단은 사회적 규범으로 확대된다. 공자와 맹자는 사회적 규범으로서의 예가 타인에 대한 배려와 존중의 마음을 의미하는 사양지심과 공경지심을 바탕으로 형성된다고 믿었다. 예에 관한 그들의 입장은 정서주의적이라 규정된다. 이들의 정서주의적 입장은 직관, 판단, 추론 사이의 연결망에서 추론을 늘 직관보다 뒤늦게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한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의 기본구도와 일치한다.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의 기본 구상에 따라 공맹의 정서주의적 예론은 재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재구성에 따르면 사양지심과 공경지심을 통해 사회규범으로서의 예에 관한 구체적 판단이 수행된다. 그렇게 수행된 판단의 결과에 대해 시비지심이 작동하여 이론적 정당화를 시도한다. 이러한 합리적 과정은 타인의 사양지심과 공경지심을 우러나오도록 작용함으로써 사회적 규범으로서의 예가 확산된다. 그러나 사회적 규범으로서의 예를 확산시키는 좀 더 근본적인 방법은 직관에 의해 도출된 판단이 시비지심의 도움을 받지 않은 채 곧바로 타인의 사양지심에 작용하는 것이다.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과 공맹 예론 사이엔 중대한 차이점이 있다.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은 직관에서 판단, 판단에서 추론에 이르는 과정의 정당성을 평가하지 않는다. 직관과 추론 모두 사회적 직관주의자 모델에서는 관찰 대상일 뿐 평가대상이 아니다. 반면 공맹 예론은 직관으로서의 존중심을 도덕의 근원으로 긍정한다. 또한, 맹자는 공자와 달리 추론능력으로서의 시비지심까지 긍정한다. According to J. Haidt’s Social Intuitionist Model, strategic reasoning comes after intuition in the human moral judgment-making process. Human beings intuitively make moral judgments first and then perform strategic reasoning. According to Western ethics, human internal morality is distinguished from social norms; morality is universal, but social norms are relative. In addition, moral universality should be derived through rational reasoning. However, according to Haidt’s Social Intuitionist Model, this distinction is illusory: human moral sense and social norms were never distinguished, even in Western societies. According to Haidt, human beings make moral judgments through intuition and then these judgments are extended to form social norms. Confucius and Mencius believed that propriety - as a social system of norms - is formed on the basis of consideration and respect for others. Their theory of propriety is defined as emotional. This emotional theory is consistent with the basic framework of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which perceives that, in the network between intuition, judgment, and reasoning, reasoning always acts behind intuition. Their emotional theory of propriety can b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basic concept of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According to this reconstruction, one’s sense of modesty and deference makes concrete judgments about propriety as a system of social norms. As a result of this judgment, the theoretical justification is achieved through the operation of one’s sense of approval and disapproval of right and wrong. This rational process serves to promote one’s sense of modesty and deference toward others, thereby spreading propriety as a social system of norms. However, a more fundamental means of spreading propriety as a social system of norms is that the intuition-derived judgment is directly related to one’s sense of modesty and deference toward others without help from one’s sense of approval or disapproval toward right and wrong.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and Confucius and Mencius’s theory of propriety.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does not assess the justification of the process from intuition to judgment and from judgment to reasoning. According to the Social Intuitionist Model, intuition and reasoning are both observable and distinct from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he theory of propriety affirms one’s sense of modesty and deference as a source of morality. Furthermore, unlike Confucius, Mencius affirms belief in one’s sense of approval and disapproval of right and wrong as a reasoning ability.

      • KCI등재

        율곡의 의(意)와 다마지오의 느낌(feeling)

        채석용(Chae, Seok-yong) 대한철학회 2019 哲學硏究 Vol.152 No.-

        이 글은 다마지오가 신경과학적으로 해명한 느낌(feeling) 개념을 율곡의의(意) 개념과 비교함으로써 율곡 인성론의 인지적 특징을 좀 더 명확히 드러내고자 한다. 다마지오의 느낌(feeling) 개념은 여러 측면에서 율곡의 의와 비교될 수 있다. 첫째, 율곡에 의하면 정(情)은 비자각적 반응이지만 의(意)는 자각적 반응이다. 다마지오가 말하는 정서(emotion) 역시 비자각적 반응이지만, 느낌은 자각적 반응이다. 둘째, 의는 무의식적인 정(情)이 발현된 이후에 정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의식적 활동이다. 느낌 역시 정서가 발현된 이후에 정서를 대상으로 수행되는 의식적 활동이다. 셋째, 율곡에 의하면 의를 올바로 수행함으로써, 즉 성의(誠意)를 실천함으로써 인간은 도덕적 선을 구현한다. 다마지오의 느낌 역시 인간을 사회적, 도덕적 선으로 이끄는 역할을 맡는다. 넷째, 의는 합리적 도덕추론을 의미하는 시비지심(是非之心)과 정서(情)를 매개하는 중간 단계로서 정서적 특성과 인지적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느낌 역시 합리적 추론과 정서의 중간 단계 반응으로서 합리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섯째, 의는 시비지심과 명확히 구분되는 반응이며, 느낌 역시 합리적 추론과 구분된다. 합리적 추론은 배외측 전전두피질에서 주로 그 작용을 일으키며, 느낌은 주로 뇌섬엽을 중심으로 하는 체성감각 영역에서 발생한다. 의의 기능인 계교상량(計較商量)은 합리적 추론을 의미하는 시비지심의 기능과 구분된다. 자각적 활동인 계교상량은 비자각적 활동인 정서(情)보다 도덕적 악에 오염될 확률이 높다. 시비지심은 정서가 유발한 사태에 대한 엄밀한 합리적, 도덕적 판단작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도덕적으로 정당화되는 활동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Yulgok‘s theory of human nature by comparing the concept of feeling that Damasio explored with neuroscience to the concept of Yulgok’s Ui. Damasio’s concept of feeling can be compared with Yulgok’s Ui in many ways. First, according to Yulgok, Jeong(情) is an unconscious response, while Ui is a conscious response. Secondly, Ui is a conscious activity performed on Jeong after the unconscious Jeong emerges. Feeling is also a conscious activity carried out on emotions after its emergence. Third, according to Yulgok, by practicing Ui correctly, that is, by practicing Seong-Ui(誠意), humans realize moral goodness. Feelings also play a role in leading humans to social and moral goodness. Fourth, Ui is an intermediate step between Jeong(情) and sibijisim(是非之心), which means rational moral reasoning. Ui has both emotion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Feeling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ational decision making process as an intermediate step between rational reasoning and emotion. Fifth, Ui is a distinctly different reaction from Sibijsim, and feelings are also different from rational reasoning. Rational reasoning mainly occurs in the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and feelings occur mainly in the somatosensory region centered on the cerebral lobe. The function of Ui(計較商量) is distinct from that of sibijisim, which means rational reasoning. The function of Ui(計較商量), a conscious activity, is more likely to be contaminated with moral evil than Jeong, an unconscious activity. Sibijisim means a strict rational and moral judgment on the events caused by Jeong and is itself a morally justified activity.

      • KCI등재

        수오지심: 도덕 정서로서의 수치심과 혐오감

        채석용 ( Chae Seok-y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2

        본 연구는 도덕 정서로서의 수오지심, 즉 수치심과 혐오감이 도덕교육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본 연구는 수치심과 혐오감의 의의를 도덕심리학의 성과를 빌려 옹호한다. 타인의 부도덕한 행태는 나의 혐오감을 유발하며 나의 부도덕한 행태는 타인의 혐오감을 유발한다. 나의 부도덕한 행태에 대한 타인의 혐오감은 나의 수치심을 유발하며 타인의 부도덕한 행태에 대한 나의 혐오감은 타인의 수치심을 유발한다. 수치심은 하이트가 제시한 공정성/상호성 모듈과 연관되며 혐오감은 순수성/위생 모듈과 연관된다. 수치심은 가족 공동체 너머 사회적 유대를 위해 진화적으로 적응한 결과이며 혐오감은 오염을 피하고자 하는 생물학적 방어 기제로서 진화적으로 적응한 결과이다. 요컨대 수치심과 혐오감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된 도덕 정서이다. 현재 도덕교육에서 수치심과 혐오감이라는 부정적 정서는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고 있다. 도덕 정서인 수오지심을 도덕교육에 반영한다면 도덕교육의 내용이 더욱 풍부해질 것이다. 그러나 수오지심을 도덕교육에 반영하는 과정에서 유의할 점이 있다. 첫째, 수오지심은 측은지심의 한계 내에서 발현되도록 지도해야 한다. 수오지심은 부정적 정서로서 자칫하면 인간의 가장 중요한 덕목인 공감 능력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 둘째, 수오지심은 사회적 조건과 결부될 때 오히려 정의롭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누스바움의 경고를 잊지 말아야 한다 This study argues that suojisim as a moral emotion, that is, shame and disgust are important in moral education. To support this argument, this study supports the significance of shame and disgust by borrowing the achievements of moral psychology. The immoral behavior of others causes my disgust, and my immoral behavior causes disgust of others. Others’ disgust with my immoral behavior causes my shame and my disgust with others' immoral behavior causes the shame of others. Shame is related to the fairness/reciprocity module presented by Haidt and disgust is associated with the purity/sanity module. Shame is the result of evolutionary adaptation for social bonding beyond the family community. Disgust is the result of evolutionary adaptation as a biological defense mechanism to avoid pollution. In short, shame and disgust are closely related moral emotions. At present, the negative emotions of shame and disgust are not treated as important in moral education. If suojisim as a moral emotion is reflected in moral education, the content of moral education will become richer. However, there is something to be not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shame to moral education. First, suojisim should be taught within the limits of compassion. Because suojisim is a negative emotion, it is possible to undermine empath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virtue of human being. Second, we must not forget the warning of Nousbaum that suojisim can lead to rather unjust consequences when combined with social conditions.

      • 개방형 스마트 스트리트 서비스와 보안

        채석(Lee Chae Seok),김종덕(Kim Jong Deok) 한국정보보호학회 2015 情報保護學會誌 Vol.25 No.2

        본 고에서는 보행 환경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서비스와 스마트 사물의 연구 개발 동향 그리고 관련 보안 문제를 소개한다. 먼저 상암 DMS, 강남 u-Street 등 기존 서비스 개발 사례를 소개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 스트리트 서비스는 대부분 폐쇄적인 수직 서비스 모형(Vertical Service Model)을 취하고 있어 기술 발전 및 서비스 요구 변화를 적시에 수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스트리트 내의 모든 스마트 사물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며 새로운 서비스를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통해 쉽게 추가할 수 있는 수평 서비스 모형(Horizontal Service Model)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우리는 이러한 배경에서 현재 연구 개발 중인 개방형 스마트 스트리트 서비스와 그 근간이 되는 콘텐츠 허브의 구조와 특징 등을 소개한다. 또 개방형 스마트 스트리트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보안 및 프라이버시 문제를 소개하고 그 해결을 위한 접근 방안들을 개괄적으로 소개한다.

      • 수출 식품 중 농약의 잔류허용기준 설정 연구 중 과일류 잔류허용기준 설정 연구(II)

        채석 ( Seok Chae ),김태화 ( Taehwa Kim ),박종우 ( Jongwoo Park ),심재룡 ( Jaeryong Shim ),정진욱 ( Jinwook Jung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우리나라의 과일류의 수출량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수입국 또한 자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시장구조의 개선과 무역장벽의 하나로 잔류농약 검사에 대하여 각별한 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세 계 각국은 수입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우리가 수출한 농산물 및 식품들이 수입국의 규제와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수입금지 및 반송 등으로 수백억원의 무 역 손실이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수출 유망 과일류에 대하여 수입국 및 Codex 농약 잔류허용기 준(안) 설정을 위한 과학적 근거 자료 마련을 위하여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제기준에 맞는 포장잔류시험을 수행하고 농산물 및 가공품 중 잔류농약 분석 및 가공계수 산출하여 배 및 사과 중 chlorothalonil의 Codex 및 수입국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설정 요청 자료 생산 및 기준(안) 마련하고자 하였다. Codex 및 수출국 기준 제안을 위한 시험계획 수립을 위해 각 주요수출 국가별 Import tolerance 설정 가이드라인을 조사하고 포장잔류시험 및 가공과정 중 잔류시험 계획을 수립하였다. 시험 수행을 위해 시험 대상작물로 사과와 배를 선정하고 시험농약으로 사과의 경우 클로로탈로닐 수화제(다코닐, 경농), 배에 대해서는 클로로탈로닐·크레속심메틸 액상수화제(경탄, 영일케미컬)을 선정하였고 Codex 및 수출국 MRL설정 기준에 적합한 잔류시험을 위해 6포장시험에 약제처리는 각 시험포장당 4반복 시험구를 두었다. 시험장소의 선발은 ``2011년 맥류, 봄감자, 사과, 배 재배면적 조사 결과``(통계청 보도자료, 2011. 6. 28)를 근거로 국내 재배면 적 상위 6개소에서 시험장소를 선발하여 사과의 경우 경주(영천), 예산, 경남지역, 충주, 경북북부 지역 및 전남지역을 선정하였고, 배의 경우는 경주·울주, 경북지역, 예산, 안성, 나주 및 충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약제의 살포는 사과의 경우, 사과 점무늬낙엽병 방제를 위한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약제를 살포하기 위해 희석배수 600 배, 살포약량은 500 L/10 a, 살포횟수는 10일 간격으로 5회 살포 그리고 살포시기는 수확예정 21일전까지 10일 간격으로 5회 살포로 시험을 계획하였고 배의 경우는 배 검은별무늬병 방제를 위한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약제를 살포하기 위해 희석배 수 1,000 배, 살포약량 500 L/10 a, 살포횟수는 10일 간격으로 4회 살포, 살포시기는 수확예정 21 일전까지 10일 간격으로 4회 살포한 후 시료의 수거는 최종약제 살포 직후, 3일, 7일, 14일, 21일, 28일 및 35일 후 시료를 수거할 예정이다. 각 작물의 포장시험은 2013년 8월 1일경에 시작하여 10 월 중순까지 수행한 후, Codex 및 수출국 가이드라인에 충족할 수 있는 농산물에 대한 가공식품 제조(쥬스화) 및 가공과정 중 농약잔류량 변화 연구 및 각 포장에서의 농약의 잔류감소연구를 수 행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Chlorothalonil의 사과 및 배에 대한 Codex 기준설정과 수출 식품 에 대한 잔류농약 안전성 확보, 수출 식품의 국제 기준 설정에 따른 국내 위상 제고 및 식품 수출 증대를 통한 국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