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장애와 심리적 외상 - 지적장애인의 ‘특징적’ 행동에 대한 새로운 시선

        채기화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6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1

        It is found that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more inclined to have mental issues than people without handicap. In addition to the circumstances that they are usually treated differently and left out, they live in an environment where they face ordeals such as violence and that might cause them trauma. The mental health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owever, has rarely been considered among the special education or rehabilitation field. Their behavioral and emotional changes are considered to be the typical symptoms of their disabilities, not the results their stressful situations. Such limited recognition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may threaten their mental health again.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aumatic life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typical’ behaviors. The study further discusses what kind of attitude is needed for the caretakers who are looking after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study, there are many dangerous factors that can cause trauma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ir surroundings. So-called ‘typical’ behavior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ch as aggressive behavior, self-injury, depression, and helplessness are very similar to the neurophysiological reactions of trauma. Therefore, the caretakers who are looking after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ust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ir life to engage with their emotions and behaviors. The caretakers are also needed to be more sensible to traumas so they can empathize with the expression of internal agon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change the causes of their traumas. That way the caretakers can alleviate their mental sufferings. 지적장애인들은 비장애인들보다 정신적인 문제를 갖게 될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지적장애인들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차별과 배제 외에도 폭력을 비롯한 여러 위험이 잠재되어 있는 환경에서 살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정신건강은 이제까지 장애 관련 분야에서조차 별다른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지적장애인이 보이는 행동과 정서의 변화는 스트레스 상황의 결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단지 지적장애의 ‘증상’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하다. 지적장애에 대한 이러한 제한된 인식은 다시금 지적장애인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지적장애인의 외상적 삶의 상황과 그들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적’ 행동의 연관성을 조명해보고, 이에 의거해서 지적장애인들을 돌보는 사람들에게 요구되는 태도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지적장애인의 생활환경에는 외상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요인들이 편재되어 있다. 또한 외상경험에 따른 신경생리적 반응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지적장애인의 ‘특징적’ 행동과 정서라고 이해하는 타인에 대한 공격행동, 자해행동, 우울, 무기력 등과 매우 유사하다. 이런 결과를 놓고 볼 때 지적장애인들을 돌보는 사람들이 지적장애인들의 정서와 행동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들의 삶의 맥락을 이해해야 한다. 아울러 외상에 대한 감수성을 높여 지적장애인들의 내적 고통의 표현에 공감하고 외상요인을 변화시킬 수 있어야 이들의 정신적 고통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체장애 청소년의 정체성발달과 신체와의 대면

        채기화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5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8 No.2

        We live in the time where it is difficult to integrate ourselves with our bodies. Our bodies and experiences are only to be objectified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there are narrow criteria for bodies to meet and where bodies are standardized in a certain way. There were three major topics discussed in this study on adolescents with physical impairment: how adolescents with physical impairment interact with their own bodies, which are the root of their identity, against the negative perception outside, why the adolescents’ confrontation with impaired body should be supported, and how to boost up those interacting activities for students with physical impair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hysical impairment could be critical to one’s identity, however people tried to keep their identity with coping mechanism. The impairment experiences were recognized and assessed through not only social factors but also individual factors. Students at school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face their impairment, and express their own experiences about their body. They could develop their own ways of coping and build realistic prospect upon their lives while they communicated with other students with impairment. This necessary process was to be widely supported. 우리는 자신의 몸과 조화를 이루기 어려운 시대에 살고 있다. 신체에 대한 협애한 표준이 상정되고 그에 따라 신체의 획일화가 가속화되는 사회에서 자신의 신체와 그 신체의 경험은 대상화될 뿐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신체손상이 있는 청소년들이 외부의 부정적 시선 속에서 정체성의 근간이 되는 자기 신체와 어떻게 교류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손상이 있는 자신의 신체와 마주하는 과정에 대한 지원이 왜 필요한지, 그 과정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지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손상은 정체성에 중대한 위협이 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인간은 나름의 대처방법을 동원하여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한다. 또한 손상과 그에 대한 경험은 사회적 요소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개인의 자서전적 요소에 의해서 지각되고 평가된다. 그렇기 때문에 특히 신체에 대한 평가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 청소년기에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손상과 마주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손상과 관련된 경험을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 자신의 신체와 보다 조화로운 관계를 맺고, 나아가서 삶에 대한 현실적인 전망을 세울 수 있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진행성 질병이 있는 학생을 위한 교육현장에서의 동행: 그 의미와 과제

        채기화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7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0 No.3

        Students who have terminal illness are confronted with various challenges from intolerable situations of their daily life. In addition, they have to cope with a variety of difficulties from disease proceeding. Besides, their existential situations are stimulating our attention to deal with death and mourning that matters little in School.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student's psycho-social situation which should be a precondition of supporting school activities for teachers and tasks which are indispensable for teachers who want to support the students. Although students with terminal illness recognize that their persistent physical state and dangers, they could not find partners who help to communicate and reorganize their emotions. Of all things, if teachers want to support students with terminal illness, they should be faced with illness and death by themselves indeed. Through this process, they have to change their essential perception for illness, dying and death. 진행성 근이양증, 암, 낭포성 섬유증과 같이 이른바 생명을 위협하는 진행성 질병이 있는 아동과 청소년들의 학교교육은 미래의 자기실현을 위한 준비보다 현재의 문제극복이 당면과제가 된다는 점에서 학교교육에 전혀 새로운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 또한 그들의 실존적 상황은 이제까지 특수교육이나 일반교육에서 애써 외면해온 죽음, 애도와 같은 문제들을 교육현장에서 다룰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진행성 질병이 있는 학생의 학교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되는 그들의 심리사회적 상황을 조망해보고, 그에 따라 교사에게 요구되는 과제는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진행성 질병이 있는 학생들은 더 이상 좋아지지 않는 자신의 신체적 상태와 그것이 몰고 올 위험을 확연하게 감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감정을 정리하고 소통하는데 도움이 될만한 사람을 발견하지 못하고 침묵 속에서 혼란과 고립을 견디고 있는 상황이다. 교사가 아동과 청소년이 직면한 병이나 제한된 그들의 삶의 과정을 동행하려면 무엇보다도 교사 스스로 병이나 죽음과의 대면이 필요하다. 이는 또한 교사교육과정의 변화를 요구한다.

      • KCI등재

        지체부자유 소녀의 성정체성 발달과 그에 따른 교육적 과제

        채기화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2

        신체가 자기신뢰감이나 정체성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청소년기에 소녀들의 성정체성 발달은 소년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소녀들은 사회의 시선에 의해 규정된 신체의식으로 자신의 신체와 불화하게 되고, 여성의 성역할에 대한 사회의 낮은 평가로 성역할 동일시를 통해 자기신뢰감을 충분히 발전시키기 어렵다. 특히 지체부자유 소녀들은 그들의 신체조건과 사회 환경으로부터의 고립으로 성정체성을 발달시키는 것이 더욱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체부자유 소녀들의 성정체성 발달을 제어하는 사회적, 심리적 요인들을 조명해보고 그들이 스티그마에 대응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보호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어떤 교육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논의하였다. 사회에서 요구하는, 미학적 아름다움과 완벽한 신체기능을 보유한 이상적‘성적 표준’과 사회규범에 의해 각인된 협애한 성역할 구분은 그들의 정체성을 위협한다. 지체부자유 소녀들의 성정체성 발달을 위해서는 그들의 성별특성을 고려한 교육적 지원이 요구된다. In the adolescence phase, the development of sexual identity of girls show different patterns compared with those of boys. The girls who got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may experience disharmonious body of self, and may not be able to establish self-reliance due to poor estimation on gender roles of female. Particularly, gir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their adolescence phase may experience harder to develop sexual identity and to accept gender roles, because of the physical condition of self as an aspect of the world. Based on this rationale, I elucidated psycho-social factors that influence over the development of sexual identity and gender role of gir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discussed the educational strategy that could help them to protect and develope their identity against stigma. The primary appreciation of one’s own body may be easily disturbed when we are in the company of others who make us aware of the 'abnormality' of body. Gir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re under threat from the standardization of fixed notion on gender roles. Therefore, educational supports, based on sexual difference, are quit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sexual identity of gir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KCI등재

        지체장애학생의 만성통증 - 어떻게 이해하고 접근할 것인가?

        채기화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7 No.3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ay suffer from chronic pain caused by different reasons: their actual physical disability itself brings chronic pain but also the deformity and other diseases derived from their physical disability place them in chronic pain. This study looked over the features of chronic pain from a subjective perspective based on the conventional medical understanding and examined the psycho-social factors of how pain develops into suffering. People with agony feel socially isolated because of the incommunicable torment. When they fall into silence about their pain, it turns into suffering. The chronic pain and physical dysfunction changes the body image causing disruption of self-image as well as the relationship with the world. Considering the decisive effect on disabled children’s identity and character building, it needs to make a new leap forward to understand the pai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Self-articulation is particularly necessary to not be conquered by pain, but to cope with it. It needs to encourag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express their painful experiences and provide them with more psychological space for articulation. 지체장애학생들은 대부분 기존의 장애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신체의 변형, 동반되는 다른 질병으로 인해서 만성통증을 경험한다. 이 연구에서는 지체장애학생의 만성통증을 새롭게 조명해보고자, 만성통증에 대한 의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통증의 특징을 주관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통증이 고통으로 발전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검토해 보았다. 통증을 겪는 사람은 통증의 소통불가능성으로 인해서 더욱 사회적 고립감을 느낀다. 자신의 통증에 대해 침묵하게 될 때 통증은 고통이 된다. 또한 통증과 신체기능부전은 신체상의 변화를 불러오고, 나아가서 자기 자신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세상과의 관계도 변화시킨다. 만성통증이 장애학생의 정체성과 인격발달에 미치는 결정적인 영향을 고려한다면 우리는 교육현장에서 지체장애학생들이 겪는 통증을 새롭게 이해하고 그것에 다가갈 수 있어야 한다. 통증에 정복당하지 않고 통증을 ‘다룰 수 있는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 경험에 대한 자기발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지체장애학생의 통증경험에 대한 표현을 격려하고, 자기발성을 위한 심리적 공간을 넓혀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 KCI등재

        중도장애인의 사별경험과 애도에 대한 지원

        채기화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6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9 No.3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death loss and grief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explored proper supports for their grief.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y experienced and grieved over the death of the close people including their parents and discussed to support their grief. This study also reflected upon which kind of attitude was needed for caregivers to assist them in mourning. Results: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knew about death through their various experiences in life although they might not be fully understanding the conventional concept of death. Loss experiences changed many things in their lives, which could be a more shocking experience compared to that of people without disabilities. Yet they were often left out of the chances of grieving. It was needed to allow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to gain more specific and hands-on experiences of death so they were aided to understand and engaged the loss. In addition, it was imperative to encourage them to express their complex feelings with a language, rituals, and symbols so they could resolve their complicated emotions. Conclusion: Through mourning process, they could get accustomed to the life after loss, understand their own death, and be prepared for it. In order to achieve that, caregivers needed to critically deal with their own attitudes towards death and grief and discuss them openly.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장애인들의 사별경험과 애도의 문제에 주목하여 그에 필요한 지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중도장애인들이 부모를 비롯한 가까운 사람의 죽음을 어떤 방식으로 경험하게 되는지 살펴보고, 그에 따른 애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이들의 애도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지 논의하였다. 또한 이들의 애도를 지원하기 위해서 조력자들에게 요구되는 태도가 무엇인지 성찰해보았다. 연구결과: 중도장애인들은 기존의 죽음개념을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삶에서의 여러 경험을 통해서 죽음에 대해 알고 있다. 이들에게 가까운 사람의 상실은 슬픔의 감정을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생활의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비장애인의 경우보다 더욱 충격적인 경험이 된다. 그럼에도 이들은 가까운 사람들과 작별하고 애도할 수 있는 기회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중도장애인들에게 죽음을 보다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 상실에 대한 이해와 수용을 도와야 한다. 또한 사별에 따른 복합적인 감정을 언어, 의식, 상징 등으로 표현하여 해소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지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론: 중도장애인들 역시 애도를 통해 비로소 사별 이후의 삶에 적응할 수 있고, 나아가서 자기 자신의 죽음에 대한 이해와 준비도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죽음과 애도에 대한 조력자들의 자기성찰이 우선되어야 한다.

      • KCI등재

        정신지체아동의 사춘기

        채기화(Chae Ki Hwa) 한독교육학회 2004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9 No.2

        정신지체아동의 사춘기는 많은 경우 부모나 교사 등 주위사람들로부터 그 자체가 부정되거나 제대로 이해 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정신지체아동이 사춘기에 보이는 일련의 변화는 장애에 고착되어 해석되며 통제할 수 없고 병리적인 색채를 띄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아동이 사춘기를 어떻게 경험하는지를 사회심리와 정신분석의 이론에 의거하여 새롭게 조망해 보았다. 연구결과를 보면 정신지체아동의 경우 사춘기에 성적 발달과 심리, 사회적 발달의 불일치가 첨예화되어 나타난다. 이들은 사춘기에 성적 연령과 지적 연령의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 장애와 관련된 정체성에 관한 물음, 신체의식, 독립에 대한 욕구 등과 관련된 문제들과 대면하게 된다. 정신지체아동의 사춘기 과정의 어려움을 완화시키고 성인으로의 과정을 돕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이들의 심리사회적 발달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Puberty is the time of life when children go through a lot of sexual(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nges. Especially children are developing their characters through the contact with social environment in their puberty. Due to the challenging power of this age, not only the children who are reaching puberty but also their parents and teachers have a conflicts and problems. But they have to make new efforts for the adaptation to the puberty. In the case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however, they are forced to be given up the puberty itself, or they are unlikely to be understood properly by the others who are nearby them. It makes them more difficult in spending their puberty. In addition a series of changes emerging in their puberty are interpreted with their disability. Therefore some people think they are uncontrollable or pathological. In this study discuss the problems that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have faced and the appropriate support to the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in puberty have been faced with a large disagreement between sexual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It shows us that they also have confronted the difficultie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sexual and intellectual age, the questions to their identities, the body-image, and the matters like need of independent living. First of all, we need to support psycho-social development to relieve their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reaching puberty and to help them in that of becoming adults.

      • KCI등재후보

        지적장애 아동의 상실경험과 애도작업

        채기화 ( Ki Hwa Cha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09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2 No.2

        지적장애 아동들은 일반아동들보다 삶의 과정에서 사별을 비롯한 다양한 상실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그들이 가까운 사람의 죽음을 경험할 때 그들의 애도는 사회적으로 지지받지 못한다. 지적장애가 있는 아동들은 인지기능의 저하로 인해 죽음을 이해하지 못 할뿐만 아니라 사별에 따른 슬픔을 제대로 지각하지 못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사회적 지지가 결여된 애도는 억압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실과 애도를 다룬 정신분석학과 발달심리학의 문헌을 통해 상실에 대한 애도가 결여될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지적장애 아동들에게 상실은 어떻게 지각되는지, 상실에 대한 정서반응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그들의 애도과정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지적장애 아동들이 상실과 대면하고 상실의 경험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비장애 아동들보다 더욱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외상의 경험 후 경직된 감정의 표현을 위해서는 외부와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통로가 마련되어야 하며 생활의 재구조화를 위한 지원이 요구된다. In comparison to non-handicapped childre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have various traumatic experiences through their socialization and are more vulnerable to depression or other mental problems. However, even when they grieve a death loss, they find it hard to get emotional support from other people. Because mentally retarded children are often regarded as incapable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death and having direct emotional experience of death. Howeve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require more effort to confront with various challenges from their critical situatio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can learn to cope with trauma, when they could find coping-partners who encourage with empathy to express their covert grief and reorganize their emotion.

      • KCI등재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본 아동의 공격성과 교육적 개입

        채기화 ( Chae Ki-hwa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4 No.2

        교육현장에서 아동의 공격적인 행동은 이제 더 이상 새로운 일이 아니다. 그들이 나타내는 공격성의 빈도와 그 정도는 더욱 심해져 이제 일상화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특히 초기 아동기의 공격성에 주목하고 그에 대해 진지하게 반응하여야 한다. 이 시기에 공격성에 대한 교육적 개입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아동의 공격적 성향은 지속되고 고착되어 앞으로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격성의 원인과 그에 따른 교육적 접근방법을 정신분석과 발달심리이론에 의거하여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공격성은 초기 대상과의 관계에서 경험한 거절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교육적 접근은 아동이 재연하는 장면과 아동의 행동이 불러일으키는 자기감정에 대한 성찰로 시작된다. 교사는 아동의 행동에 반응- 즉 대답을 하게 되는데 이때 버텨주기와 간직하기는 매우 중요하다. Controlling aggressive behavior by children in school has always been a challenge for professionals. As the frequency of a child's aggression increases, their teachers become more apathetic. However, teachers need to identify aggression early and response appropriately to the behavior. If teachers fail to adequately intervene, the child's aggressive dispositions are reinforced and have negative influences on their future development. This study presents causes of aggression and educational intervention approaches based on theories of psychoanalysis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aggression in children is caused by parental rejection during the child's primary object-relation phase. Educational intervention approaches for these children needs to begin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child's intent and reflect on the cause of the child's behavior. The teachers next learn to response to the true intent of the child's behavior. During this stage, holding the child and containing their actions are very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