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 화학교사 교육에서 클리커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차정호,Cha, Jeongho 대한화학회 2013 대한화학회지 Vol.57 No.4

        이 연구에서는 경북 지역의 사범대학에 개설된 화학교육론 강좌에 클리커로 알려진 교실 응답 시스템을 적용한 뒤 이에 대한 예비 화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강의 첫 시간에 클리커의 교육적 활용 방법과 사용법에 대해 소개한 뒤, 수업 중 평균 4-5개의 질문을 제시하였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예비교사들에게 클리커로 입력하게 한 뒤, 응답 분포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제시된 질문은 학습 내용을 회상하는 질문, 관련 내용에 대한 이해정도를 점검하는 질문, 어떤 사안에 대한 견해를 확인하는 질문, 이해가 어려운 내용에 대한 질문이 다양하게 포함되었다. 학기 말에 클리커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리커트 형식과 에세이 형식으로 조사한 결과, 예비 화학교사들은 클리커 활용의 인지적 효과, 정의적 효과, 그리고 매체 특성 측면 모두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8가지 클리커 질문 유형 중 예비교사들이 선호하는 유형은 개념 이해 질문과 학습 점검 질문이었다. 클리커를 활용한 구체적인 사례와 연구 결과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도 포함되었다. In this study, clicker, also known as classroom response system, was applied to the chemistry method course at the university in Gyeongbuk, and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erceptions of clicker were surveyed. Before starting lecture, operation and class application of clickers were introduced to preservice teachers, and then 4-5 questions were presented to them in most classes during the term. After preservice teacher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s, lecturer gave feedback based on the class answer distribution. Questions presented to preservice teachers were recall and/or understanding questions on learning contents, opinion questions, and questions about muddiest point. At the end of semester, preservice teachers were asked to rate their perception of clikers in terms of likert scale and essay type. They had positive perceptions of clicker use in aspects of cognitive effects, affective effects and media characteristics. They preferred conceptual understanding questions and monitoring questions among 8 clicker question types. Some cases using clickers in lecture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also included.

      • KCI등재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성별에 따른 협동적 문제해결학습의 효과

        차정호(Cha Jeongho),이혜인(Yi Hyein),김유정(Kim Youjung),노태희(Noh Tae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7 열린교육연구 Vol.15 No.1

          이 연구에서는 협동적 목표 구조를 강조한 문제해결학습이 중학생의 학업 성취도,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학습 곤란도에 미치는 효과를 성별에 따라 조사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남녀 공학 중학교의 2학년 중 세 학급(106명)을 비교 집단, 소집단 문제해결학습 집단, 협동적 문제해결 학습 집단으로 배치한 후, 혼합물의 분리 단원에 대하여 12차시 동안 수업을 진행하였다. 두 처치 집단에서는 5차시 동안 단원 내용을 간단하게 학습한 후 7차시 동안 3차례의 문제인식-문제해결-발표물 창안-발표 및 토의로 구성된 문제해결활동을 진행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협동적 문제해결학습 집단의 여학생들은 학업 성취도 점수가 비교 집단의 여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았다.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나 학습 곤란도 점수에서는 세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여학생들은 협동적 목표 구조를 강조하는 평가 방법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oblem solving learning model emphasizing cooperative goal structure and gender upon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attitude toward science instruction, and learning difficulty. Three classes of 8th graders (N=106) at a co-ed middle school in Seoul were assigned to a comparison group, a problem solving learning (PS) group, and a problem solving learning emphasizing cooperative goal structure (PS-C) group. They were taught about separation of mixture for 12 class hours. Two PS groups solved 3 problems based on Search-Solve-Create-Share model for 7 class hours after brief introduction to the content for 5 class hours.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the achievement test scores of the girls in the PS-C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girls in the comparison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scores of the attitude toward science instruction and the learning difficulty. The girls showed negative perceptions of the evaluation method emphasizing cooperative goal.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시각장애 중고등학생의 물의 상태변화 개념에 대한 사례 연구

        김학범,차정호,Kim, Hak Bum,Cha, Jeongho 대한화학회 2018 대한화학회지 Vol.62 No.1

        이 연구에서는 시각장애를 가진 중고등학생의 물의 상태변화 개념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린 시각장애학생 대상의 과학탐구 활동에 참여한 중학생 16명과 고등학생 15명으로, 이 중 14명은 전맹, 13명은 저시력이었으며 나머지는 파악되지 않았다. 탐구활동은 이 연구를 위해 제작한 물과 얼음의 분자모형을 참여 학생들에게 개별적으로 탐색하면서 연구자와 대화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이 모형에 대한 탐색을 마친 후 물의 상태변화 개념과 관련지어 설명하도록 하였으며, 모형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면담을 실시하였다. 모든 대화는 녹음되었고 그 자료를 전사한 뒤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장애학생들은 활동에 사용된 모형의 재료와 개수에 대해서는 정확히 대답하였지만 무엇을 표현한 모형인지 설명하기 어려워하였다. 물의 분자와 상태변화에 대해 배운 경험이 있다고 대답하였으나 그 개념에 대해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거나 현상적인 경험에 기초한 수준에 불과했다. 활동을 통해 시각장애학생들은 물과 얼음의 분자구조와 상태변화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고, 연구에서 사용된 모형이 필요하며 유용하다고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visually impaired secondary students' conception of "changes of state of water" was explored. Science inquiry activity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as implemented to 16 middle school students and 15 high school students from school for the blind. 14 of them were totally blind, 13 had low vision and the others were not identified. Inquiry activities were conducted by communicating with the researcher while students were individually exploring the molecular models of water and ice developed for the study. After the exploration, students were asked to explain the concept of changes of state of water with the model they explored. Opinion on the need and the usability of this kind of tactile model was also asked to them. All conversation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As a result,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swered exactly about the materials used for the model and their numbers. However, they didn't know what the model stood for. They had experiences of learning molecule of water and changes of state of water, but it was a phenomenon and superficial understanding. Students got to understand the molecular structures of water and ice, and had a positive perception on the need and the usability of the model.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얼음의 분자구조에 대한 암실 속 과학탐구 활동에서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에 대한 예비 화학교사들의 인식

        김학범,차정호,Kim, Hak Bum,Cha, Jeongho 대한화학회 2017 대한화학회지 Vol.61 No.5

        이 연구에서는 예비 화학교사들이 암실 속 과학탐구 활동을 통해서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에 대한 탐색과정과 이해를 조사하고, 이로부터 시각장애학생의 과학 교수 학습지도에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경북 지역의 사범대학 3학년에 재학중인 예비 화학교사 21명에게 '얼음의 분자구조'에 대한 모형을 암실 속에서 탐색하게 하였다. 암실에서 이루어진 연구자와의 개방적 대화와 끝난 다음의 자유토론을 녹음하여 전사한 뒤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 화학교사들은 암실 속에서 '얼음의 분자구조' 모형을 탐색하고 학습내용을 구상하면서 시각장애학생의 학습상황이 자신의 생각과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얼음의 분자구조는 잘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자신의 암실활동 경험에 비추어 시각장애학생이 학습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예비 화학교사들은 연구자가 제시한 분자모형을 개선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on the learning situations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rough scientific inquiry in a darkroom and to propose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wenty-on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from college of education in Gyeongbuk were encouraged to explore individually hands-on model for the molecular structure of ice freely, and had a discussion with a one of the researchers during the activity. All the conversation and discussion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for analysis. As a result,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realized that learning situ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was quite different with their perception while exploring and figuring out hands-on model of the molecular structure of ice in the darkroom. They already learned and could see this model by themselves but also recognized that visually impaired students had inconvenience and difficulty in learning science concepts. Based on these reflections, som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suggested directions for modification to fit visually impaired students' needs more.

      • KCI등재

        시각장애 초등학생의 용해 개념에 대한 사례 연구

        김학범,백상수,차정호,Kim, Hak Bum,Baek, Sangsu,Cha, Jeongho 대한화학회 2013 대한화학회지 Vol.57 No.4

        이 연구에서는 시각장애를 가진 초등학생의 용해 개념 특성을 조사하였다. 서울시 소재 시각장애 초등학교 5학년 학생 4명(3명은 전맹, 1명은 저시력)을 대상으로 용해 현상, 용액의 균일성, 용해 시 질량의 보존, 그리고 용해 시 부피의 변화에 대하여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모든 인터뷰 상황은 녹화되었고 그 자료를 전사한 뒤 분석하였다.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시각장애 학생들은 용해 현상, 용해의 균일성, 용해 시 질량의 보존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었지만, 용해 시 부피변화에 대해서는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였다. 전반적으로는 같은 학년의 일반 학생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지만, 용해의 균일성에 대해서는 오히려 더 바르게 알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설명 수준은 현상적 경험에 기초한 피상적 수준에 불과했다. 일부 시각장애 학생은 입자 수준의 설명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ly impaired elementary students' conceptions on dissolution were investigated. The semi-structured interviews about phenomenon of dissolution, uniformity of solution, conservation of mass on dissolving and volume change during dissolving were conducted with 4 fifth-grade elementary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ree were blind, and one had low-vision).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after transcription. As a result,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knew well about the phenomenon of dissolution, uniformity of solution, and conservation of mass on dissolving, while they couldn't explain volume change during dissolving. Althoug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ere found to have similar level of understanding with students without visual impairments, they had sounder understanding about uniformity of solution. Howeve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had superficial understanding based on phenomenal experiences. Some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ried to give micro-level explanation.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학교현장실습 기간 중 e-멘토링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와 실습지도교수의 인식

        백상수(Sangsu Baek),차정호(Jeongho Cha),오정숙(Jungsook Oh)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e-멘토링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 및 실습지도교수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경북 지역에 위치한 사범대학의 4학년 학생과 실습지도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학교현장실습을 마친 후인 4학년 6월 초에 실시하였으며, 다양한 전공 영역의 예비교사 134명(남 33명, 여 101명)과 실습지도교수 23명(남 13명, 여 10명)의 응답을 얻었다. 분석결과, 예비교사들은 e-멘토링을 통해 교육활동 계획, 실시, 평가에 대한 지도 요구가 가장 높았고, 멘토에게는 정기적이고 규칙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역할에 대한 기대가 가장 컸다. 또한 멘티는 실습지도교수와 동료들로부터 적극적으로 배우는 역할을 해야한다고 인식하였고, 바람직한 교수와 학생 비율은 교수 1명과 실습생 2-3명이었다. 실습지도교수들의 경우, e-멘토링을 통해 교육활동 계획, 실시, 평가에 대한 지도 요구뿐 아니라 실습생의 어려움을 듣고 나누고자 하는 요구가 가장 높았고, 멘토에게는 실습생이 직면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도록 지원하는 역할에 대한 기대가 가장 컸다. 또한 멘티는 실습지도교수 및 동료들과 정보를 교류하고 공유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인식하였고, 바람직한 교수와 학생 비율은 교수 1명과 실습생 4-5명이었다. 동료간 멘토링과 선배교사의 멘토링에 대한 요구도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advisors on e-mentoring after their student teaching. A survey was distributed to 185 pre-service teachers and 34 of their advisors in early June after their student teaching experience. One-hundred thirty-four (33 male and 101 female) preservice teachers and 23 advisors (13 male and 10 female) returned the survey. Pre-servic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need more instructions on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of lessons through e-mentoring. They also expected more regular and systematic feedback from their mentors. They perceived that mentees have to be more proactive in their learning from their mentors and colleagues. They indicated that desirable a mentor-to-mentee ratio would be 1 to 2-3. Advisor respondents perceived that inquiring about students’ struggles and providing support to students’ problem solving is important in addition to their lessons. They also indicated that mentees have to share information with their colleagues and cooperating teachers. They indicated that a desirable mentor-to-mentee ratio would be 1 to 4-5. Peer mentoring and alumni mentoring were also examined. Based on these results, a discussion of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 KCI등재

        STEAM 캠프를 통한 영재학급 고등학생의 융합인재소양과 창의적 인재 역량 변화

        김학범 ( Hak Bum Kim ),차정호 ( Jeongho Cha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科學敎育硏究誌 Vol.45 No.2

        미래의 과학기술 발전을 주도할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우리나라 교육부는 융합적 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융합인재교육(STEAM)은 과학기술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융합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배양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편 영재 학생 대상으로 진행되는 캠프는 생활 속에서 발견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산출물을 학생 스스로 계획하여 고안함으로써 미래 인재 역량을 함양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STEAM 기반의 캠프를 수행한 뒤 영재학급 고등학생의 융합인재소양과 창의적 인재 역량이 변화하였는지를 탐색하였다. 캠프는 프로젝트형 학생 중심의 산출물을 개발하는 과정으로 1박 2일간 광역시 소재 52개교 고등학교 영재학급 학생 517명에게 실시하였다. 캠프 실시 전과 후에 융합인재소양과 창의적 인재 역량 변화를 조사 하였다. 연구 결과, STEAM 캠프를 통해 영재학급 고등학생의 융합인재소양과 창의적 인재 역량이 유의미하게 향상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융합인 재소양의 창의, 존중, 소통 영역과 창의적 인재 역량의 사회적 특성 영역의 사회 가치 추구 요인을 제외한 모든 하위 요인이 높아졌다.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has emphasized the convergent ability for human resource cultivating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future. Based on this, Korean STEAM education aims to enhance students’ interest and their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well as to develop students’ convergenc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the camp for gifted students, students are generally introduced to produce self-directed output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in everyday life. In this study, the author aims to find out whether th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creative leader competency and STEAM literacy changed after they experienced STEAM-based camp. 517 gifted students from 52 high schools in the Metropolitan city region join the camp, which is focused on generating student-centered outputs for problem-solving in daily life context. Before and after the camp, the creative leader competency and the STEAM literacy of participants were tested and compared. From the result, we found that th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creative leader competency and STEAM literacy improv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STEAM camp. In particular, all the sub-factors except for the social value pursuit domains in the social characteristic area of creative leader competency and the areas of creativity, respect, and communication in STEAM literacy increased. Educational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2007 개정 및 2009 개정 중등 과학 및 고등학교 화학 교과서의 MBL 실험 분석

        정은아 ( Eun-a Jung ),차정호 ( Jeongho Cha ),김인환 ( Inwhan K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科學敎育硏究誌 Vol.40 No.3

        이 연구에서는 2007 개정 및 2009 개정 중등과학 교과서 및 화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MBL(microcomputer-based laboratory) 실험을 교육과정 시기, 대상 학년, 실험이 제시된 맥락, 내용 영역, 주제, 사용된 센서, 그리고 출판사 등의 측면에서 분류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MBL 실험은 2007 개정 교육과정기의 경우에는 중학교 과학교과서에서만 25번 제시되었고, 2009 개정 교육과정기의 경우에는 과학 및 화학 I, II 교과서를 통틀어 29회(중학교 19회, 고등학교 10회) 제시되었다. 전체적으로는 교육과정 개정 이후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MBL 실험은 증가하지 않은 반면, 고등학교 교과서에는 처음으로 제시되었다. MBL 실험은 중학교 1학년에 가장 많이 제시되었고, 선택탐구보다는 필수탐구에 주로 포함되었다. 센서 중에서는 운동 센서와 온도 센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산소와 이산화탄소 센서가 많이 사용되었다. 출판사별 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는 사용 빈도가 감소하였고, 일부 출판사의 교과서에서는 MBL 실험이 단 한번도 사용되지 않았다.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MBL experiments in the Korean secondary science textbooks and chemistry textbooks under the 2007 and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curriculum revision era, grade, context of experiment in the textbook, field of science, topic, sensor, and publisher. As a result, 25 MBL experiments were found in the science textbooks under the 2007 revision, and 29 experiments under the 2009 revision (19 for middle school textbook and 10 for high school textbook). MBL experiments in middle school textbooks were not increased after curriculum revision while those in high school textbook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Most of them were in the textbooks for grade 7 and presented as an essential experiment rather than optional one. Motion sensor and temperature sensor were used most frequently, and oxygen sensor and carbon dioxide sensor were followed. In aspect of publishers, a frequency of MBL experiment was decreased in most textbook and some publishers didn`t include MBL experiment at all.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안학교 교사의 생태중심주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김영주(Youngjoo Kim),차정호(Jeongho Cha),정철(Cheol Cheong),이정호(Jung Ho Lee) 한국환경교육학회 2011 環境 敎育 Vol.24 No.4

        In this study, the Kore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ecocentric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surveyed. A total of 80 teachers from 42 alternative schools across the nation answered to the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 lot of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and to practice some environmental actions inside and outside school. Over sixty percent teachers agreed with the ecocentric philosophy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most two important issues among 11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for teachers were natural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ethics. Teachers used and preferred field work for teaching environmental issues, and got teaching materials mostly from the internet. However, many of them were not satisfied with environmental activity in their schools because of their lack of professionalism. They had not enough experienc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trongly wanted to learn about field work.

      • 하구순의 과립세포종 증례보고

        허지연(Gi Yeun Hur),오석준(Suk Joon Oh),고성훈(Sung Hoon Koh),차정호(Jeongho Cha),민광선(Kwang Seon Min)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09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5 No.1

        Purpose :Granular cell tumour(GCT) is a rare benign tumour that can arise in anywhere throughout the body. Histopathological diagnosis of malignancy is difficult. We report a case of a granular cell tumor which developed on lower lip. Methods :A 58-year-old male had a palpable mass and whitish plaque in the oral mucosa for three months. Results :Under local anasthesia, the tumor was removed through wide excision including normal skin mar-gin. Immediate reconstruction using local flap was done. Pathologic observation showed nests of polygonal cells with abundant granular, eosinophilic cytoplasm and round nuclei. Immunohistopathologic staining showed posi-tive reaction on S-100 protein Conclusion :Th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granular cell tumor is derived from Schwann cells. We report here on a case of granular cell tumor of lower lip that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radical res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