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중 양대강국체제의 부상과 한국의 중견국 외교 전략

        차정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5 신안보연구 Vol.- No.184

        After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the rise of China and the relative decline of U.S. hegemonic power has brought the new global order, "U.S.-China, G2(Group Two) Era". This new global order has been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foreign policy of every states in the world. Especially the rise of China and the emergence of new global order "G2" has given the momentum for the Asian States including Korea to review the old foreign policy and build the alternative international strategy. This paper emphasizes on differences between the old bipolar system of Cold war era and the G2 era of U.S.-China. While the Cold war era has led by the "Military based power politics" and "the global order of strict dichotomy", the new "G2 era" has led by the "complex power competitions" like economic power, military power, network capacity, and political leadership and "the global order of overlapped and multipolar network". The G2 era is building on the division of powers between Group 2,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multilateral partnerships. The most states in the G2 era are searching the new types of international strategies, not stick to one hegemone but open to any hegemonic power in selective cooperation strategy. These changes of global order has been enhancing the distribution of power and the global democracy. Under these new environments, the relationships of great powers U.S.-China will keep in the "dual structures of cooperations and competitions" and Korea with geopolitical importances, economic power, and the soft power can have the opportunities to play the important and decisive role in the G2 era as the middle power. This paper suggests the visions and action programs which Korea can implement as “the Third power" in the new G2 era.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중국의 급속한 부상, 미국의 상대적 쇠퇴에 따른 'G2(미중 양대강국) 체제‘의 부상은 한국은 물론 전 세계 국가들의 핵심화두이면서 중대한 외교과제가 되고 있다. 특히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들에게 중국의 부상에 따른 지역질서의 변화는 기존 외교정책에 대한 재점검과 대안수립을 촉진하는 대외환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21세기 정보화․세계화의 시대 미중 양대강국체제가 미소 냉전시기 ‘군사력 경쟁중심’ ‘배타적 이원적 국제질서’와 달리 ‘복합적(경제력, 군사력, 리더십, 네크워크력) 경쟁, 스마트파워 경쟁’ ‘중첩적 다원적 그물망 구조의 국제질서’라는 점에 주목한다. 즉, 미중 양대강국이 경제권력과 정치권력을 분점하는 속에서 양대강국간 국제기구와 다자체제경쟁이 강화되고 세계국가들은 어느 특정강대국과의 배타적 협력이 아닌 이익에 따라 협력과 견제를 선택적으로 전개하면서 실질적으로 권력분산과 글로벌민주주의의 가능성이 확대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미중 신양극체제의 특징이 미중 양대강국간 ‘협력과 경쟁’의 이중구조를 지속시키고, 나아가 지정학적 위상과 경제력, 문화력을 갖춘 한국이 ‘제3의 강국(the Third Power)'로서 역할할 수 있는 전략적 기회의 시기가 될 것이라는 인식 하에 비전과 과제를 제시한다.

      • KCI등재

        중국 개혁개방 초기 국가주도의 ICT 발전전략과 정책 분석

        차정미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2019 동북아연구 Vol.34 No.2

        Under the Kim Jong-un regime, North Korea is focusing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presenting its goal of becoming a knowledge economy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Expectations are high for North Korea's reform and openness after the rise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in 2018 and for possible inter-Korean cooperation in the ICT sector. But, it is true that there are vague expectations that the ICT sector will be a key part of inter-Korean cooperation amid the lack of detailed analysis and prospects on how ICT development strategies and external cooperation will be pursued after the North's reform and opening. This paper examines China's ICT development awareness and strategy, support policy and technical cooperation network since the China’s Reform and Open Policy in 1978, which is helpful for predicting and analyzing aspects of ICT development strategy and external cooperation network after North Korea's reform and opening. It analyzes how the nation played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ICT industry in terms of the policy leader's perception and will, the government's institutional financial support and network support to promote foreign technology exchanges, and present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of ICT development strategies, policies and network strategies after China's past reform and opening of North Korea.

      • KCI등재

        시진핑 시대 중국의 대전략: ‘세기의 대변화론-중국몽-일대일로’ 연계분석을 중심으로

        차정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22 국가안보와 전략 Vol.22 No.2

        China's strategy is a key factor that forms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21st century. With the rise of China, various academic studies have debated on whether China has the grand strategy and whether China pursues global hegemony. The grand strategy is closely linked to the state’s perception o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and its own capacity. Grand strategy is the highest goal and interests that the state pursues based on the clea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The grand strategy is the overall framework of goals and means to achieve the national long term purpose. There is needed to analyze the state’s perception o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and its overall strategy linking between the national long term ends and means in order to analyze the grand strateg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China’s grand strategy in Xi’s era, focusing on linkage analysis between Chinese discourse on the Great Changes unseen in a Century (百年未有之大变局), Chinese dream of rejuvenation and BRI. 중국의 대전략은 21세기 국제관계를 형성하는 핵심결정요소라고 할 수있다. 중국의 전략이 지역패권 추구인지 글로벌 패권추구인지, 기존질서에 대한 수정주의인지 순응주의인지에 대한 다양한 학계의 논쟁은 결국 중국의 대전략이 미래 국제질서에 미치는 결정적 영향요소라는 인식에 근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중국의 강대국화와 함께 중국의 대전략에 대한 연구가 부상하고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적으로 중국의 대전략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고, 시의성 있는 체계적 분석이 취약한 현실이다. 대전략은 국제환경의 본질에 대한 분명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 환경에서 국가가 추구하는 가장 높은 목표와 이익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전략과 수단을 포함한 전체적 틀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의 대전략을 국제환경 인식, 국가의 장기목표, 핵심 전략과 자원이라는 차원에서 ‘세기의 대변화-중국몽(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일대일로’를 연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중국 대전략의 목표와 내용을 분석한다. ‘세기의 대변화론’을 통해 중국이 보는 국제질서의 변화와 미래를 분석하고, 중국이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장기목표 실현을 위해 일대일로를 중심으로 세기의 대변화 인식을 어떻게 풀어가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나아가 중국 대전략의 국제질서적 함의와 한국외교에의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중국의 군사혁신 : 군사지능화와 군민융합(CMI) 강화를 중심으로

        차정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20 국가안보와 전략 Vol.20 No.1

        The focus of this paper is the China’s RMA(Revolution of Military Arrair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is paper analyzes the China’s strategy to build up the military technology and its strategy of military intelligence in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hen the military is becoming more dependent on technology. This paper argue that China’s military strategy is more focusing on the technological building as the responding strategy toward the great power competition on the military power, and China is more putting the emphasis on the technology development- especially AI technology by the Civil-Military integration(CMI). The China’s military balancing toward the U.S. has focused on the catching up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s key technologies- AI, big data, aerospace, and IOT(Internet of Things). These China’s military strategy can be regarded as a asymmetric balancing with the technological breakthrough. It analyzes the China’s military strategy to get the technological advance in the new round arms race of 4th IR era and its governance for developing the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And it also analyzes the new trend of focusing on the AI technology and CMI system’s working on the getting the military technological advance in 4th IR era. The China’s Military Intelligence and CMI system of defense technology for the civil and military use are getting more expanded and it may open the new era for the U.S.-China competition in the military aspects. 중국건국 100주년인 2049년까지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이뤄내겠다는 중국몽(中國夢)은 중국군을 세계일류 강군으로 만들겠다는 강군몽(强軍 夢)을 핵심요소로 하고 있다. 19차 당대회에서 시진핑 주석이 군사지능화의 가속화와 정보통신체계에 기반한 전투력의 제고를 강조한 바와 같이 중국 강군몽은 군사지능화(军事智能化)를 핵심담론으로 하고 있다. 한편, 강군몽 추진의 핵심체계는 군민융합(Civil-Military Integration, CMI)으로, 중국공산당은 2017년 시진핑을 위원장으로 하는 군민융합발전위원회(中央军民融合发展委员会)를 설치하여, 중국 군사혁신 실현을 위한 민군협력을 강화해 가고 있다. 5G, 인공지능, 양자컴퓨터, 드론 등 4차 산업혁명시대 핵심 분야에서 중국 기술력이 급속히 부상하는 상황은 중국이 지능화, 정보화, 자동화, 무인화라는 군사혁신을 추구하면서 이를 위한 민군협력강화를 가속화하는 주요한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 군사력 측면에서 미국에 열세인 중국의 군사전략은 전통적, 전면적 군사력 추격 전략이라기보다 5G, AI, 드론, 우주, 사물인터넷 등 4차산업혁명시대 미래 핵심기술을 활용한 상쇄전략을 핵심으로 한다. 본 논문은 첨단군사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의 대미 군사전략을 비대칭 세력균형(asymmetric balancing)으로 보고, 군사지능화를 핵심으로 한 중국의군사기술혁신 전략, 군사기술혁신 추진체계의 변화, 특히 군민기술협력을핵심으로 하는 군민융합체계(Civil-Military Integration, CMI)를 분석하고, 국영 방위산업체들을 중심으로 중국 군사기술혁신의 구체적인 내용과민군협력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결론에서 중국의 군사지능화 전략이 한편으로는 군사력 강화의 기반이면서 한편으로는 핵심기술기반의 경제성장 전략이라는 이중목적(dual-purpose) 전략이라는 점에서 향후 중국의 군사지능화 전략과 군민융합정책은 더욱 가속화할 것이고, 4차 산업혁명 시대 미중 군사력 경쟁은 새로운 군비경쟁의 양상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 KCI등재

        미중 사이버 군사력 경쟁과 북한 사이버 위협의 부상 -한국 사이버안보에의 함의-

        차정미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19 통일연구 Vol.23 No.1

        With the rise of cybersecurity issues, hegemonic power struggle between U.S. and China leads to the arms race of two country in cyber space. They are strengthening the role of the military for cybersecurity. In addition to establishing a separate cyber command, the two countries are taking institutional measures to strengthen the status and integration capabilities of the cyber command. They are also developing technological efforts to strengthen attack and deterrence in cyberspace and necessary structures for public-private cooperation. With cyber arms races between U.S. and China intensifying, North Korea’s cyber-attack capacity is rapidly becoming stronger and bolder and is pointed out as the greatest threat to global security. Since North Korea has been identified as the backbone of Ransomware in 2017, North Korea has emerged as a major rogue state in cyberspace. The rise of North Korea threat along with the arms races between U.S. and China in cyber space is a major influence on the security environment in South Korea.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and necessity in cyber security in South Korea, it is true that there is still a specific discussion and alternatives on how to face cyber security in South Korea.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South Korea’s security situation in the cyber space resembles the traditional security situation-facing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nd the US-China compet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ncreasing threat of cyber security and the constraints of cyber security cooperation on the rise of cyber security competition between U.S. and China. In the conclusion, the policy implication of these intensifying cyber arms races between U.S. and China and the rise of NorthKorea threat in cyberspace is investigated and policy options for cyber security of South Korea are suggested. 사이버공간은 육지, 바다, 항공, 우주에 이어 강대국 간의 군사력 경쟁이 전개되는 다섯 번째의 전장이 되고 있다. 미중간 패권경쟁 속에서 양국은 사이버 안보를 위한 군대의 역할을 강화하고있으며, 사이버 사령부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은 물론 최근 사이버사령부의 위상과 통합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적 조치들을 취하고 있다. 또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공격력과 억지력을 강화하기위한 기술적 노력, 그리고 민관협력의 필요한 구조들을 발전시키고 있다. 사이버 공간의 미중 군사력 경쟁이 첨예화되는 한편으로북한의 사이버 공격력은 세계안보의 최대 위협이라고 지적될 만큼 급격히 강화되고 있고 또 대담해지고 있다. 2017년 랜섬웨어의배후로 북한이 지목된 이후 사이버 공간에서 북한은 대표적인 불량국가로 부상하면서 세계의 우려와 경계가 높아지고, 이에 대한제재와 적극적 대응의 필요성들이 논의 되고 있다. 주요 강대국들의 사이버 군사력 경쟁과 함께 사이버 공간에서 의 불량국가 북한의 부상은 한국의 안보환경에 주요한 영향변수이다. 한국에서 사이버 안보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대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이 어떠한 사이버 위협에 처해 있는지 어떠한 방향에서 사이버 안보를 강화해야 하는 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와 대안이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은 미중간 사이버 경쟁을 군사안보적 측면, 즉 미중 양국 간 사이버 군비경쟁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는 한편, 북한 사이버 위협의 부상과 이를 둘러싼 미중경쟁구도를 함께 분석한다. 본 논문은 사이버 공간에서 한국이 처한 안보정세가 북핵문제와 미중경쟁에 직면해있는 전통적인 안보정세를 닮아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미중 사이버 군사력경쟁과 북한위협의 부상에 따른 한국 사이버 안보 위협의 증대와 사이버 안보협력의 제약을 살펴보고, 한국 사이버 안보정책에 주는 함의와 정책적 과제를 제시한다. 미중 패권경쟁의 강화 속에서 한미동맹과 한중협력을 병행 발전시켜야 하는 과제, 그리고 비핵화와 함께 한반도 평화안정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사이버 공간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이에 대한 전략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KCI등재

        미중 패권경쟁과 인공지능 군사력 경쟁

        차정미 세종연구소 2022 국가전략 Vol.28 No.3

        The competition for hegemony between the US and China has been focusing on the emerging technology sector, which is recognized as a key factor in securing leadership in the future order. In particular, with the recognition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ill be a game changer that determines future economic growth and military power, the future national and defense strategies of the US and China are paying atten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ccelerating the competition for AI technology-led competition and militarization. The competition for militar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have been getting severe between the great powers. Therefor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technological deterministic perception that is causing the AI ​​arms race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focuses on two great powers’ strategic perceptions on the AI technology. And this study analyzes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US and China’s AI arms race focusing on the military structure innovation and increasing military forces relating with AI, the increasing investment on AI military technology, and competition of the AI military norm.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e policy implication of this great powers’ AI arms race. 미중 경쟁은 미래 질서 리더십 확보에 핵심요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인식되는 신흥기술 분야 주도권 경쟁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이 미래 패권국을 결정하는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는 인식 하에 미중 양국은 인공지능 기술 주도를 핵심 국가전략으로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이 미래전쟁의 양상을 변화시킬 것이라는 인식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군사화의 중요성을 제고하고 있다. 이에 미중 양국은 인공지능 기술 주도 경쟁과 군사화 경쟁을 가속화하고 있다. 현재의 압도적 군사우위를 유지하고자 하는 미국과 지능화 혁신을 통한 비약적 발전으로 미국과의 격차를 좁혀가고자 하는 중국이 모두 인공지능을 군사혁신의 핵심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공지능의 군사력 경쟁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중 양국간의 인공지능 군사력 경쟁을 초래하고 있는 기술결정론적 인식에 주목하고, 미중 인공지능 군사력 경쟁의 전략인식과 이에 근거한 구체적인 군구조혁신, 군사기술 혁신, 규범 주도경쟁 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미중 양국이 가진 인공지능에 대한 전략인식, 즉 인공지능 기술이 패권경쟁과 군사력 경쟁의 핵심이라는 인식을 분석하고, 이에 근거한 양국간의 인공지능 군사력 경쟁의 구체적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미중 양국의 인공지능 군사력 경쟁의 미래와 국제정치적 함의를 제시한다.

      • KCI등재

        중국의 “디지털 실크로드(数字丝绸之路)”: ‘중화 디지털 블록(China-centered Digital Bloc)’과 ‘디지털 위계(Digital Hierarchy)’의 부상

        차정미 현대중국학회 2020 現代中國硏究 Vol.21 No.4

        This paper analyzes China’s ‘Digital silk road’, which is creating a digital ecosystem in which the digital infra and economy of ‘One belt One Road Initiative(BRI)’ member countries are connected and integrated with China. China’s Digital Silk Road provides and integrates not only the ICT infrastructure and services, but also ICT devices, products, data and technical standards, platforms, and contents which penetrate the entire digital economy of the BRI countries. This paper analyzes the expansionism and sino-centrism of China’s Digital Silk Road using the theoretical concepts of hegemony and hierarchy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 detailed expansion strategy of digital silk road is classified into three areas of ICT infrastructure, data, and standard. This paper also explains how the China is getting the hegemony in the region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economy era. China’s digital silk road strategy goes beyond technical cooperation and network cooperation to form China-centered digital ecosystem and digital block. It emphasizes that it can produce a new hierarchical order of hegemony in the digital age. 본 논문은 일대일로 국가들의 디지털 인프라와 데이터 등을 중국에 연결하고 통합하면서 중국 주도의 디지털 생태계를 만들어 가고 있는 중국의 ‘디지털 실크로드(数字丝绸之路)’를 분석한다. 디지털 실크로드는 시진핑 체제 중국이 주력하는 일대일로 프로젝트의 하나로, 일대일로 국가들에게 디지털 인프라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IT기기와 상품의 수출, 플랫폼과 컨텐츠의 수출, 이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수집과 기술표준의 확산 등 해당 국가의 디지털 경제 전반에 침투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디지털 시대 중국의 헤게모니를 강화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디지털 실크로드의 구체적인 팽창전략을 ICT기반시설, 데이터, 표준의 세 가지 분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중국의 디지털 실크로드 전략이 단순히 기술협력과 네트워크 협력을 넘어 중국중심의 디지털 생태계, 디지털 블록을 형성하고 이는 디지털 시대 새로운 위계질서, 헤게모니 질서를 양산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중국이 공동번영과 인류운명공동체를 내세우면서 저발전국가들에 대한 기술, 경제, 정책적 지원과 상호 연계라는 측면을 강조하고 있는 디지털 실크로드가 한편으로는 디지털 시대 참여국가들의 대중국 의존을 심화시키면서, 디지털 시대 새로운 헤게모니 질서를 구축할 수 있다고 보고 디지털 경제시대 미중간 헤게모니 경쟁의 심화 가능성을 전망한다.

      • KCI등재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한국 학계의 인식 분석: 정체성 정치를 중심으로

        차정미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9 문화와 정치 Vol.6 No.1

        The rise of China’s Northeast History Project issue in 2004 has become a key diplomatic issue in South Korea-China relations, worsening South Korean People’s view of China. What has been the South Korean Scholars’ perception of the specific threat inherent in China’s Northeast History Project?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formation and background of South Korean Scholars’ view of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threat, rather than the specific historical debates of Goguryeo and Balhae around the China’s Northeast History Project. Especially, I argue that in the aspect of South Korea-China relation, this Chinese projec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dentity politics of Korea. This analysis of the South Korea’s negative perceptions of the Project based on identity politics can draw significant policy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and China relations in the future. 2004년 부상한 중국의 동북공정 이슈는 한국인들의 대중국 인식을 급격히 악화시키면서 한중관계의 핵심 외교현안으로 다뤄졌다. 이미 10여 년의 시간이 흘렀지만 동북공정 이슈가 형성한 대중국 위협인식은 여전히 한국인들의 대중국 인식에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실제 중국 동북공정은 단순히 역사주권의 문제를 넘어 중국의 부상과 함께 경계되어온 중화주의, 패권주의에 대한 위협인식이 중첩되면서 정치외교적 인식과 이슈가 결합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단순히 동북공정 프로젝트의 연구들이 담고 있는 고구려사, 발해사 등의 구체적인 역사적 내용 논쟁이 아닌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한국의 정치외교적 위협인식의 형성과 배경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둔다. 특히 한중관계에 있어 정체성 정치가 본격화되는 이슈로 역할하였다는 점에서 동북공정 이슈에 대한 한국인들의 대중국 인식과 한중관계에 대한 영향을 정체성 정치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본 논문은 동북공정 인식의 분석에 있어 분석의 단위를 지식인, 학자들을 중심으로 하고, 학계의 학술논문과 학자들의 언론 칼럼, 인터뷰 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한국이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해 갖는 우려와 반발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인식과 주장을 가지고 있고 또한 이러한 인식과 주장의 배경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 중국의 동북공정이 단순히 과거 역사연구가 아닌 미래의 대내외 전략 추진의 토대를 만들어가는 정치연구 차원에서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향후에도 한중 양국 간에는 정체성에 기반을 둔 갈등이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는 데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 KCI등재

        미중 전략경쟁과 중국의 역사적 비유(historical analogy) : 치욕의 100년사와 항미원조전쟁

        차정미 세종연구소 2023 국가전략 Vol.29 No.2

        With the recent intensification of the U.S.-China rivalry, historical analogies are often used to analyze and predict the future of the U.S.-China rivalry, both in academia and among policymakers. Some analyzed the U.S.-China rivalry by comparing it to the U.S.-Soviet relationship during the Cold War, while others predicted the future of U.S.-China relations through the Thucydidesian trap of the war between Athens and Sparta. In this way, history is used as a major source of reasoning in analyzing and predicting today's U.S.-China relations, and provides lessons and evidence for policymakers. Despite the various historical analogy debates in the U.S.-China relationship, it is hard to see the research and attention to Chinese historical analogies in the U.S.-China relationship.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how China uses its past history to interpret and respond to U.S.-China relations in an environment of U.S.-China competition and intensifying Western anti-China approach, focusing on China's historical analogy in the era of U.S.-China competi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China's historical analogy in the context of U.S.-China relations, focusing on two histories that have been strategically utilized in supporting the China's assertive attitude toward the United States, Chinese domestic cohesion with loyalty to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 promotion of patriotism and self-confidence: “Century of Humiliation” after the Opium War and the “War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抗美元朝戰爭, Korean War).” 최근 미중 경쟁의 심화와 함께 학계는 물론 정책결정자들 사이에서도 미중경쟁을 분석하고 전망하는 데 있어 역사적 비유가 자주 사용되고 있다. 미중 경쟁을 냉전시기 미소관계에 빗대어 분석하기도 하고, 아테네와 스파르타의 전쟁이라는 투키디데스의 함정으로 미중관계의 미래를 전망하기도 한다. 이렇듯 과거 역사는 오늘날 미중관계를 분석하고 전망하는 데 주요한 추론의 근거로 활용되기도 하고, 정책결정자들의 정책결정을 위한 교훈과 근거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렇듯 미중관계와 연계된 다양한 역사적 비유 논쟁에도 불구하고, 미중 경쟁을 규정하는 중국의 역사적 비유에 대한 연구와 관심은 상대적으로 취약하였다. 본 연구는 미중경쟁과 서구의 대중국 견제가 심화되는 환경 속에서 중국이 어떠한 과거 역사를 소환하여 미중관계를 해석하고 대응해 가는지, 즉 미중경쟁 시대 중국의 역사적 비유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특히 본 연구는 미중관계에 대한 중국의 역사적 비유를 분석하는 데 있어 중국의 대미 강경태도와 공산당을 중심으로 한 국내적 결속, 애국주의와 자신감의 고취라는 측면에서 전략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두 개의 역사- 아편전쟁 이후 ‘치욕의 100년사(百年国耻)’와 ‘한국전쟁(항미원조전쟁.抗美援朝戰爭)’ - 을 중심으로, 중국의 역사적 비유를 분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