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암 경험 유무에 따른 인지도식의 차이 : 우울과 불면 증상을 중심으로

        진시영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울과 불면은 암환자들이 가장 빈번하게 겪는 심리적 문제이며, 효과적인 근거기반치료로 인지행동치료가 활용되고 있다. 인지도식의 파악은 인지행동치료에 있어 매우 핵심적인 요소로, 일부 연구에서는 같은 우울과 불면 증상이라도 암과 같은 심각한 질병에 의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인지도식에 차이가 있음을, 다른 연구에서는 차이가 없음을 보고한다. 우울과 불면을 경험하는 암환자들에게 효과적인 개입을 제공하기 위해, 암 유무에 따른 인지도식 차이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사한 수준의 우울과 불면 문제를 경험하는 암환자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암 유무에 따라 인지도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우울한 암환자 42명, 암 경험 없이 우울한 대상자 22명, 암 경험 없이 우울하지 않은 대상자 98명, 불면 겪는 암환자 23명, 암 경험 없이 불면 겪는 대상자 42명, 암 경험 없이 불면 겪지 않는 대상자 78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집단별 역기능적 인지도식을 비교하고자 역기능적 태도, 긍정적 자동적 사고, 자신관련단어평가 척도를 실시하였다. 암 여부에 따른 인지도식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유사한 수준의 우울과 불면 문제를 호소하는 암환자와 일반인을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우울한 암환자가 우울한 일반인보다 부정적인 인지도식을 가지고 있음이 나타났으며. 불면을 경험하는 암환자가 불면을 경험하는 일반인보다 부정적 인지도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울 또는 불면을 경험하는 암환자가 동일한 증상을 경험하는 일반인에 비해 더욱 역기능적인 인지도식을 가지고 있어 인지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위 같은 결과의 연구적, 임상적 함의와 함께 본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Depression and insomnia are the most frequent psychological problems in cancer patients. Some studies report that cognitive schemas may differ in the presence of a serious disease such as cancer, eve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ame symptoms of depression and insomnia. The understanding of cognitive schema is a critical component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since its main goal is to reconstruct maladaptive thoughts. In this study cancer patients and healthy participants who were experiencing similar levels of depression and insomnia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cognitive schema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cancer. A total of 65 cancer patients (42: experiencing depression, 23: experiencing insomnia), 64 people experiencing depression and insomnia without a cancer diagnosis (22: experiencing depression, 42: experiencing insomnia) and 176 people with no cancer and no psychological problems (98: no depression 78: no insomnia) were recruited. In order to compare differences in cognitive schema, the dysfunctional attitudes scale, positive automatic thought scale and a computer task measuring emotional bias were administer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cognitive schema in the presence of cancer, groups were categorized by matching cancer patients to healthy participants who complained of similar levels of depression and insomnia. A one-way ANOVA showed that the depressed cancer pati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dysfunctional cognitive schema than the depressed healthy participants (negative bias, dysfunctional attitude). Also, the cancer patients who experienced insomni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negative bias than the healthy participants experiencing insomnia without cancer. The study implied that people who have depressive symptoms and insomnia symptoms with cancer have higher levels of dysfunctional cognitive schema than those without cancer.

      • 미디어 퍼포먼스 아트의 신체성 확장에 관한 연구 : - 연구자의 NEW FORMS 작업을 중심으로 -

        진시영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연구자는 지난 20여 년 동안 미디어 아티스트로서 자연과 인간, 자연의 빛과 인공의 빛, 실재와 가상이라는 주제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왔으며, 신체의 움직임을 미디어를 통해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에 대해 탐구해왔다. 특히 200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신체 자체와 신체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다양한 매체를 실험하였다. 2008년부터는 신체의 움직임을 LED 빛의 흔적으로 변환하는 작품으로 나아갔다. 최근에는 무용수와의 협업 공연을 통해 무용수의 춤을 본인의 미디어 아트(media art) 작업과 결합하는 시도를 통해 작업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디지털 기술이 결합된 미디어 퍼포먼스 아트에서 신체성을 어떻게 확장시킬 수 있는지 고찰해보는 것에 있다. 본고에서는 신체성 담론에 대한 철학적·미술사적 접근을 통해 시대의 흐름에 따른 신체성에 대한 개념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동시대 예술과 미디어 퍼포먼스에서의 신체성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인의 작품의 철학적 배경과 신체성 표현의 차별성을 정립함으로써 연구자의 작품세계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확고하게 다지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고찰하고자 했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성 담론이 철학적, 미술사적 측면에서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가? 둘째, 동시대 미디어 퍼포먼스에서 이러한 신체성의 개념이 어떤 의미를 갖는가? 셋째, 연구자의 작품에서 신체성에 대한 탐구가 어떤 방식으로 확장되고 있는가? 이상 세 가지 논의로 압축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2장에서는 미디어 아트와 퍼포먼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미디어 퍼포먼스 아트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았고, 3장의 1절에서는 신체성의 개념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하여 철학적, 미술사적 접근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철학사적으로 신체는 이원론의 극복으로부터 세계 경험의 매체로서 논의되어 왔으며, 미술사에서 신체는 작품의 주제에서 작업의 재료로서 드러나는 한편, 특히 1990년대 이후 과학기술에 의한 신체의 디지털적 변형을 포함하여 세계 경험을 확장하는 다양한 양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2절에서는 신체성을 강화하고 있는 미디어 퍼포먼스에 대한 해외 사례로서 세 팀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작품들에서 시각적으로 신체를 확장하기 위한 기술을 통해 신체성이 강조되는 한편, 신체와 미디어가 실시간으로 반응하는 기술을 통해, 실제의 신체와 가상적 신체 이미지가 상호 소통함으로써 시·공간을 확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는 위의 논의를 바탕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신체성을 탐구한 연구자의 미디어 아트 작품들을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 시기는 신체의 움직임과 매체를 실험했던 시기이며, 두 번째 시기는 신체 이미지의 재매개화를 탐구한 시기로서, 신체의 움직임을 LED dot이라는 디지털 픽셀로 변환시킨 <Sign>과 그것을 다시 회화로 재매개화 시킨 <Flow>라는 작품이 있다. 세 번째 시기는 이러한 신체의 움직임을 디지털 기술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체와 미디어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적 요소를 강조하거나 실제 무용수의 움직임과 가상적 신체 이미지의 결합을 추구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무용학 측면에서 논의되었던 미디어 퍼포먼스와 신체성에 대한 담론을 철학적, 미술사적 측면에서 연구자의 작품세계에 대하여 고찰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무용학 측면에서의 논의가 미디어 매체를 단순히 무용을 돋보이게 하는 보조적 수단으로 인식했다면, 본고는 미디어 매체를 사용하는 미디어 퍼포먼스 아트 중심으로 신체성 확장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신체성 담론의 변화를 철학사적·미술사적 접근을 통해 살펴보고, 미디어 퍼포먼스에서 신체성이 확장된 해외 사례를 분석한 결과, 오늘날 동시대 미디어 퍼포먼스에서 나타나는 신체성은 ‘디지털 신체성’으로 확장될 수 있다고 본다. 이는 연구자의 작품에서 초기 작업부터 시작된 신체성에 대한 탐구가 ‘신체 움직임의 매체 실험’에서 ‘재매개화 된 신체성’, ‘디지털 신체성’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특히 연구자의 미디어 퍼포먼스 작품 <New Forms>에서부터 인터랙티비티를 통한 디지털 신체 이미지의 확장으로 나아갔다고 할 수 있다. <Pass>에서는 음악과 같은 라이브 요소와 구조물 등의 설치적 요소를 강화함으로써 무용수의 신체와 디지털 이미지화된 신체성의 표현에 맥락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Transcendence>에서 나타난 디지털 신체성은 시각성의 강화와 결부되어 시·공간을 초월하는 장소로서의 신체이자, 실재와 가상이 공존하는 장소로서의 신체로 확장시켰으며,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장치로서 사용하였다. 또한 이러한 협업적, 탈경계적 특성의 미디어 퍼포먼스에 대한 연구는 단순한 공연 예술에서 확장된 개념이 아닌, 오늘날 동시대 예술에서 ‘총체적 예술’이라는 관점에서 제시될 수 있다고 본다. 이는 무엇보다도 개별 감각의 요소가 총체적으로 작용하는 ‘신체’를 고려하여 파악되어야 한다고 본다면, 본고의 ‘신체성의 확장’이라는 주제는 흔히 시각 위주의 분석이 되기 쉬운 미디어 퍼포먼스의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서 그 의의가 있다. For the last 20 or so years, this author as a media artist has been constantly interested in the topics of nature and mankind, natural light and artificial light, and substantiality and virtuality and explored how the body movement can be expressed through media. Particularly, from the early 2000's, this researcher has been doing experiments on various media decisively by using the body itself and its movement. From 2008, the work was intended to convert the body movement into the traces of LED light. Lately, this researcher is extending the area of work with an attempt to combine her media art with a dancer’s dancing through collaborative performance with the dan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how physicality can be extended in media performance art combined with digital technology. This researcher is going to examine how the concept of physicality has been changed by time with philosophical as well as art historical approaches to the discourse of physicality and figure out the meaning of physicality in contemporary art and media performance. Moreover, this author will establish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her works and discrimination of them in expressing physicality in order to lay the theoretical grounds for the world of her works firmly. Questions to be dealt with here in this study intensively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they discoursing on physicality in philosophical and art historical perspectives? Second, what meaning does physicality have in contemporary media performance? Third, in what ways, is this researcher’s exploration on physicality extended with her works? The contents can be summed up with three areas above. Based on her consciousness of the matters, in Chapter 2, theoretical consideration is done over media art and performance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media performance art. In Section 1 of Chapter 3, how the concept of physicality has been changed by time is examined with philosophical and art historical approaches to it.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body has been discussed as something to overcome in terms of dualism and as a medium to experience the world. In the history of art, the body is used as the material of works to reveal the theme. Meanwhile, particularly after the 1990's, various aspects are found like the extension of experience about the world including digital transformation on the body through scientific technology. Based on that, in Section 2, three teams are selected from overseas cases of media performance to enhance physicality and then analyzed. It has been found that in those works, physicality is stressed through technology to extend the body visually; however, with technology to make the body and media react in real-time, it is possible to extend time and space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al body and the virtual body image. In Chapter 4, based on the discussion above, this author divides her works of media art exploring physicality from the early 2000's up to now largely with three periods and analyzes them. The first period was when she did experiments on the body movement and media. The second period was when she explored the re-mediation of the body image. There are works titled as Sign converting the body movement into the digital pixels of LED dots and Flow re-mediating it into a painting. The third period was when she stressed interactive elements allowing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media by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programs for the body movement or pursued combination between a real dancer’s movement and virtual body imag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nsidered the discourse of media performance and physicality that has been dealt with in the perspective of dance studies so far here in philosophical and art historical perspectives with the world of this researcher’s own works. In the perspective of dance studies, media are regarded as an auxiliary means simply to highlight dance; however, this author sees that the extension of physicality has been realized through media performance art using media. This thesis has examined how the discourse of physicality has been changed with philosophical and art historical approaches and analyzed overseas cases of media performance in which physicality is extended. According to the results, physicality found in today’s contemporary media performance can be extended to ‘digital physicality’. This is also revealed from the fact that exploration on physicality that started from the initial stage of this author’s work is extended into ‘re-mediated physicality’ or ‘digital physicality’ from ‘experiments on media for the body movement’. It led to the digital extension of the body image through interactivity particularly from this researcher’s media performance work, New Forms. In Pass, live elements like music or installation elements like structures are stressed that it produces contexts for transforming the dancer’s body and physicality as digital images. Also, digital physicality shown in Transcendence realized extension into the body as a place beyond time and space and as a place where substantiality and virtuality coexist, and it was employed as a device that connects the past to the present, with fortified visuality. Also, this research on media performance equipped with collaborative and trans-border characteristics can be presented not as the concept merely extended from performing arts but in the perspective of ‘holistic art’ in today’s contemporary art. If we see that the elements of an individual sense should be understood in consideration of ‘the body’ that works holistically, the topic of this study, ‘the extension of physicality’, can be regarded significant as part of the effor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search on media performance that may easily end up being an analysis only dealing with the 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