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계 미국인 학생들의 한국어 학습과 정체성에 대한 견해

        지민정 ( Min Jung Jee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36 No.-

        본 연구는 미국의 한 대학에서 한국어 수업을 듣고 있는 22명의 한국계 미국인 (Korean-American heritage learners) 학생들에게 한국어 학습과 자신들의 정체성 (identity)에 관한 의견을 조사 분석한 것이다. 설문지에서 학생들은 정체성, 한국 문화 행사 참여, 교실 밖에서 한국어 사용 등에 관한 질문과 좀 더 구체적인 대답을 요구하는 아홉 가지 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에 답을 하였다. 또한 학기 말에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 대부분이 자신이 한국인이라는 것, 혹은 그 문화의 일부분이라는 것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다른 민족에 대한 생각도 긍정적이었다. 학생들의 부모님들은 대부분 한국어 교육에 관심이 많아 한국어 학습 기회를 학생들이 어렸을 때부터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학생들은 일상생활에서 말하기와 듣기에서는 거의 어려움을 보이지 않았으나, 읽기나 쓰기 등은 많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문화나 역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없어서 수업시간에 따로 다루었으면 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따라서 일반 수업과는 달리 한국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수업에서는 읽기와 쓰기를 연습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와 역사 등 한국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한국의 우수성 등에 관한 교육도 하여 한국어 교육을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뿌리에 대한 긍지와 한국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 연구

        지민정 ( Min Jung Jee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어 교육 Vol.26 No.2

        본 연구는 미국에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동기를 분석하였다. 92명의 한국어 학습자가 10가지 하위변인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작성한 결과를 4가지 변인(성별, 한국어 숙달도, 한국어 학습 목적, 계승어로서 한국어 학습)에 따라서 학습 동기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10가지 학습동기 하위변인과 4가지 변인의 상관관계도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M=3.65)가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한국어를 배우고자하는 열망(M=4.28)이 가장 높았다. 학생들의 통합적 동기(M=3.81)와 도구적 동기(M=3.82)가 높은 반면, 불안(M=2.92)과 한국어 학습의 실패를 자신의 노력이 아니 주변으로 돌리려는 경향(M=2.00)이 낮게 나와 한국어 학습자들은 이미 좋은 언어 학습자의 자질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도구적 동기가 다른 변인들과 가장 많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불안과 자기효능감은 서로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 KCI등재

        재미동포 한국어 학습자들의 언어학습 신념에 관한 연구

        지민정 ( Min Jung Jee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6 한국어 교육 Vol.27 No.2

        본 연구는 계승어로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재미동포 학생들의 언어학습 신념에 관한 연구이다. 미국의 한 국립대학에서 계승어로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6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Horwitz(1987)가 개발한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Inventory(BALLI)”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응답을 분석해 본 결과 자신의 정체성(한국인 또는 미국인)에 따라 크게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두 그룹의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비슷하게 답을 하였으나, BALLI의 5개의 하위요소 중 “외국어적성” 카테고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신의 정체성을 한국인으로 인식하는 학생들은 자신을 미국인으로 생각하는 학생들보다 외국어를 잘 하는 것이 타고난 재능이라고 믿는 경향이 강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자신의 한국어 말하기 능력이 더욱 더 향상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생각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자신을 미국인으로 생각하는 학생들보다 한국어를 배우는 것에 대하여 좀 더 강한 동기를 보였으며 한국어로 말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도 더 적었다.

      • KCI등재

        고등학교 영어수업시간에 한국어와 영어 사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

        지민정 ( Min Jung Jee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2 외국어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고등학교 영어 수업에서 교사의 한국어(L1)와 영어(L2) 사용에 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13명의 고등학교 영어 교사와 367명의 고등학생들이 설문 조사에 참여하였다. 교사용 설문지의 주요 내용은 수업시간의 여러 활동 중에서 교사가 생각하는 실제 영어/한국어 사용과 이상적인 영어/한국어 사용에 관한 것과 영어를 최대한 많이 사용하라는 현 영어교육 정책에 관한 의견을 묻는 것이었다. 학생용 설문지는 교사가 영어 시간에 영어 또는 한국어 사용에 대한 의견을 묻는 것이었다. 분석 결과, 교사들은 자신들이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것 보다는 덜 영어를 사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자신들의 영어 실력 부족, 학생들의 이해 부족, 진도, 시험, 많은 학생 수 등이 영어로만 영어 수업을 하는데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학생들은 교사가 사용하는 영어의 50% 정도를 이해한다고 답했고, 수업시간에 교사가 영어를 사용하는 것이 자신들의 영어 듣기 능력 향상에 가장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영어수업 시간에 교사들이 영어 또는 한국어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는 특정 언어를 선호하는 경향은 낮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instructional language, either Korean (L1) or English (L2), in order to provide insights for using English in Korean highschool context. 13 highschool English teachers and 367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dopted by Bateman`s (2008) study, surveys and open-ended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to teachers. Regarding teachers` use of English in the class, survey items to students were adopted by Liu, Ahn, Baek, and Han`s (2004) study. The study also compared the teachers` actual uses of English and ideal uses of English in the class, based on functions of English use. The result showed that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y used less English than their ideal use in the survey. Moreover, they expressed some worries about the English-only or the maximum use of English in the class. Most students understood their teachers` English in the class, but they did not show a strong preference to Korean or English as the instructional language. Suggestions such as developing various English programs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in order for them to enhance English were aroused.

      • KCI등재

        EFL 및 KFL 환경에서 실시간 토론이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변지현 ( Byun Ji Hyun ),지민정 ( Jee Min Jung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20 현대영어영문학 Vol.64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telecollaborative online discussion in fostering critical thinking skills in EFL and KFL college students. For the study, EFL students in Korea and KFL students in Australia participated in the online discussion. To collect data, students’ online discussion scripts, questionnaire, interview, and team reports were employed. The following two results were yielded. First, both EFL and KFL students did not place much value on the role of telecollaborative discussion in developing one’s critical thinking skills. Rather, both groups of students seemed to believe that online discussions can offer opportunities to expose learners into diverse perspectives which can be limited due to sociocultural differences. Second, a majority of EFL and KFL students reported that online discussion should have various platforms to encourage one’s participation.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elicited. First, online discussion can be an important platform to exchange one’s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Engaging in online discussion with various topics including critical issues, students can broaden their insight, recognize different perspectives, ultimately, develop critical view. (Hannam University · University of Queensland)

      • KCI등재

        COVID-19 시대 원격 기반 교양 영어 수업에 대한 대학생 학습자들의 인식

        변지현 ( Byun Ji Hyun ),지민정 ( Jee Min Jung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21 현대영어영문학 Vol.65 No.2

        Sinc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d confirmed Coronavirus as pandemic, rapid changes are occurred in almost all aspects of our lives including social,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Among them, educational environments are one of the most impacted areas.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mode or delivery of class was forced to be online (either synchronous or asynchronous) and almost all universities in Korea offer courses via onlin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online clas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students’ perceptions on synchronous online class. A total of 33 EFL students, enrolled in an English elective course in a private university in Korea, particip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survey, students’ log, interview and open-ended questionnaire. The classes were conducted via ZOOM for 15 weeks, and the students participated online discussions with students from six Asian universities using Skype live session for four weeks (week 8 to 10). Overall,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synchronous interaction and feedback during ZOOM class. However,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online discussion session via Skype.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elicited from the study. First, instructors need to offer various IT platforms in online discussion class. Second, in-depth orientation to the use of the platform is necessary for learners’ understanding. (Hannam University ·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 The Effects of Different Foreign Language Learning on Levels of Foreign Language Anxiety

        Byun, Ji-Hyun(변지현),Jee, Min Jung(지민정)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2 학습과학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외국어의 종류가 학습자의 외국어 학습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대상은 스페인어, 일본어, 중국어, 영어를 제 2외국어로 선택하고 있는 외국어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들이었다. 데이터의 분석 결과 네 반의 외국어 학습 불안감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기술통계 측면에서 관찰했을 때 평균에서 적당한 수준의 외국어 학습 두려움 차이가 나타났다. 4개의 외국어 그룹 중 스페인어 반 학생들에게서 가장 높은 외국어 학습 불안이 나타난 반면 영어반 학생들에게서는 가장 낮은 외국어 학습 불안이 나타났다. 또한 영어와 중국어 반 학생들은 성적이 높을수록 외국어 학습 불안이 높았지만, 스페인어 반 학생들은 중간 정도의 성적을 가진 학생들이 가장 높은 외국어 학습 불안을 보였다. 일본어 반에서는 성적인 낮은 학생들이 중간 정도의 성적을 가진 학생들보다 더 높은 외국어 학습 불안감을 보였다. The main aim of the present paper is to investigate how different foreign languages influence learners" anxiety level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high school student who were placed in the following four different foreign language learning groups-Spanish, Japanese, Chinese, and English. The dat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ut showed a moderate level of mean score of foreign language anxiety. More specifically, among those four groups, the Spanish learne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nxiety whereas the English major learners yielded the lowest level of anxiety. Student in the English and Chinese classes showed similar patterns of anxiety : the higher the scores were, the higher the anxiety level was. However, students in the Spanish class, mid-achievement group had the highest anxiety level, and in the Japanese class, the low-achievement group had a higher anxiety level than the mid-achievement group.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